• 제목/요약/키워드: Submergence rate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9초

담수처리(湛水處理)가 토양(土壤)의 인산(燐酸) 흡착(吸着) 특성(特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I. 최대(最大) 흡착량(吸着量), 흡착(吸着) 평형상수(平衡常數) 및 흡착열(吸着熱)의 변화(變化) (The Effect of Submergence on Phosphorus Adsorption Charcteristics in Soils I. Changes of Adsorption Maximum, Adsorption Equilibrium Constant and Heat of Adsorption)

  • 김찬섭;유순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09-115
    • /
    • 1991
  • 담수처리(湛水處理)에 의한 토양(土壤)의 환원(還元)이 토양(土壤)의 인산(燐酸) 흡착특성(吸着特性)에 어떠한 영향(影響)을 미치는지를 검토(檢討)하기 위하여 논으로 이용(利用)되어온 강서통(江西統), 밭으로 이용(利用)되어온 중동통(中東統), 및 미경작지(未耕作地)인 예산통(禮山統)을 공시토양(供試土壤)으로 하여 담수처리(湛水處理)후 인산(燐酸) 흡착(吸着) 실험(實驗)을 실시(實施) 하였다. 흡착(吸着) 실험(實驗)의 온도(溫度)는 $5{\sim}45^{\circ}C$이었으며, Langmuir 등온흡착식(等溫吸着式)과 van't Hoff식(式)을 이용(利用)하여 인산(燐酸) 최대(最大) 흡착량(吸着量)과 흡착평형상수(吸着平衡常數) 및 흡착열(吸着熱)을 구하였다.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흡착온도(吸着溫度)의 증가(增加)는 인산(燐酸)의 흡착량(吸着量)을 증가(增加) 시켰으나, 흡착(吸着) 평형(平衡)에 도달(到達)하는 속도(速度)에는 거의 영향(影響)을 미치지 못하였다. 3시간(時間)의 진탕으로 24시간후(時間後) 흡착량(吸着量)의 80~90%가 흡착(吸着)되었으며, 12시간후(時間後)에는 흡착량(吸着量)의 변화가 없었다. 2. 인산(燐酸) 최대(最大) 흡착량(吸着量)은 담수처리(湛水處理)에 의하여 강서통(江西統)은 500mgP/kg에서 850mgP/kg으로, 예산통(禮山統)은 1,850mgP/kg에서 3,300mgP/kg으로, 중동통(中東統)은 310mgP/kg에서 670mgP/kg으로 증가(增加)하였으며, 최대(最大) 흡착량(吸着量)에 대한 온도(溫度)의 효과(效果)는 거의 없었다. 3. 흡착(吸着) 평형상수(平衡常數)는 담수처리(湛水處理)에 의하여 강서통(江西統)과 예산통(禮山統)에서는 감소(減少)하였으나, 중동통(中東統)에서는 증가(增加)하였으며, 흡착온도(吸着溫度)에 따라서는 세 토양(土壤)의 값이 모두 증가(增加)하였다. 특히 점토(粘土)의 함량(含量)이 높고 토양중(土壤中) Bray 1-P의 함량(含量)이 낮은 예산통(禮山統)이 큰 값을 나타내었다. 4. Langmuir식(式)의 평형상수(平衡常數)값을 사용(使用)하여 계산(計算)한 흡착열(吸着熱)은 담수처리(湛水處理)에 의하여 강서통(江西統)은, 2.2kcal/mole에서 3.5kcal/mole로 증가(增加)하였으며, 예산통(禮山統)은 5.7kcal/mole에서 5.5kcal/mole로 거의 일정(一定)하였다. 담수(湛水)시킨 중동통(中東統)의 흡착열(吸着熱)은 4.4kcal/mole이었다.

  • PDF

물달개비 경엽(莖葉)의 침수여부(沈水與否)에 따른 생장(生長), 양분흡수(養分吸收) 및 광합성(光合成) 비교(比較) (Effect of Submergence and Air Exposure of the Shoot on Growth, Nutrient Uptake and Photosynthesis in Monochoria vaginalis Presl.)

  • 소창호;양규승;권용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4-20
    • /
    • 1996
  • 물달개비는 논에서 자라는 수륙양서형(水陸兩棲型) 잡초로 수중(水中) 및 토중(士中)에서 발아하여 초기에는 생장속도가 늦지만 경엽이 대기중으로 노출되면 생장속도가 빨라져 경엽부의 침수여부에 따라 생장의 차이를 보이는 잡초이다. 본 실험은 경엽부(莖葉部)가 침수(沈水)되었을 경우와 대기중에 노출되었을 경우 생장량(生長量)과 무기양분(無機養分)의 흡수량을 비고하고 기중광합성(氣中光合成)과 수중광합성(水中光合成)을 비교하여 물달개비의 생태적 특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물달개비를 3엽기 또는 5엽기까지 수경재배(水耕栽培)로 균일하게 키운 다음 수경액으로 경엽부가 침수되도록 한 침수처리와 근부(根部)만 수경액을 공급한 처리를 하여 조사 및 측정을 하였다. 생장량은 초장(草長), 염수(葉數), 염변적(葉面積) 및 생체중(生體重)과 건물중(乾物重)을 처리 후 8일에 조사하였고, 엽록소함량과 무기양분은 2일마다 8일간 조사하였다. 광합성(光合成)은 2일 간격으로 10일 동안 측정하였는데, 기중광합성은 휴대용광합성측정기(LI-6000)로, 수중광합성(水中光合成)은 $CO_2$ 전극(電極)으로 측정하였다. 1. 침수조건하에서 물달개비의 초장(草長)은 신장(伸長)되었으나, 엽수, 엽면적 및 생체중과 건물중은 감소(減少)하였다. 초장은 3엽기에 처리한 것보다 5엽기에 처리한 것이 신장속도가 빨랐다. 2. 엽록소함량은 침수처리(沈水處理) 초기에는 증가하였으나, 3엽기의 경우 처리 2일 이후에, 5엽기의 경우 4일 이후에 급격히 감소하였다. 3. 경엽부의 침수에 따른 무기양분(無機養分)의 흡수량은 $NH^+\;_4$, $NO^-\;_3$, 및 $P_2O_5$은 3엽기 및 5엽기 침수시 모두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K^+$, $Ca^{++}$$Mg^{++}$은 3엽기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5엽기의 경우 $Ca^{++}$$Mg^{++}$은 침수처리시 흡수량이 약간 증가하였다. 4. 기중광합성(氣中光合成)은 생장이 진전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수중광합성(水中光合成)은 3엽기 및 5엽기 모두 침수처리 초기에는 증가하였으나 8일 이후에는 뚜렷이 감소하였다.

  • PDF

소형 에어리프트 펌프의 성능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Small Airlift Pump)

  • 오세경;이강용
    • 동력기계공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34-39
    • /
    • 2000
  • Performance data in the literature on air lift pumps have been based primarily on pumps of long length and large diameter (high lift pumps). Since mariculture operations involve pumps of relatively short length and small diameter, performance data are required for efficient operation. To provide such data, an experimental apparatus was designed and fabricated to test all lift pumps from 2.1 to 3.4 cm inside diameter and from 40 to 300 cm in length. Instrumentation was provided to measure water flow rate and air flow rate as well as water temperature, air temperature, and pressure throughout the system. Results from this study correlate well with high lift pump data in that, for a given pump geometry, maximum water flow occurs for a specific air flow rate. Driving the pump with air flows larger or smaller than this optimum flow rate will decrease the pumping rate. The optimum flow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or low lift pumps compared to high lift pumps. However, the pumping rate for low lift pumps approaches that for high lift pumps with increasing length.

  • PDF

증기방출배관의 급격과도현상에 대한 해석적 연구 (Analytical Study on the Discharge Transients of a Steam Discharging Pipe)

  • 조봉현;김환열;강형석;배윤영;이계복
    • 에너지공학
    • /
    • 제7권2호
    • /
    • pp.202-208
    • /
    • 1998
  •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방출계통에는 상당수의 산업공정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배관을 통해 응축성 기체를 침수 분사시켜 응축시키는 과정이 포함된다. 본 연구에서는 증기방출계통 파이프와 지지문의 설계에 사용되는 동적 하중을 계산하기 위하여 증기방출 과도현상에 대한 해석을 특성기법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해석모델은 마찰이 존재하는 균일한 배관을 통해 증기가 수조로 방출되는 경우에 대하여, 증기유량 및 배관 내에 원래 존재하고 있는 공기와 물의 방출유량 등을 고려하였고 압력 및 열원, 밸브, 분지관 등을 포함하였다. 배관의 유동 특성과 동적 하중을 계통 압력, 배관 길이 및 침수 깊이의 변화에 따라 계산하였다. 계산 결과 공기와 물의 경계에서의 배관의 동적 하중, 배관 내의 물 제거 시간 및 물 이동 속도 등은 계통 압력뿐만 아니라 배관 길이 및 침수 깊이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침수에 의한 식물의 생장 촉진과 호르몬들의 작용 네트워크 (Promotion of Plant Growth by Submergence and the Action Network of Hormones)

  • 조영준;이영나;박웅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12-117
    • /
    • 2005
  • 하천변에 사는 식물들은 침수 저항성을 갖추고 있는데 그중 Ranunculus속이나 Rumex속에 속하는 일부 반수생 식물들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엽병이 급격한 생장을 일으켜 잎이 수표면에 이르게 함으로써 호흡할 수 있는 조건을 확보하는 현상은 식물체내에 축적된 에틸렌에 의하여 매개되는 현상이다. 침수 조건에서는 식물 조직 내에 에틸렌이 축적되며, 축적된 에틸렌은 옥신 등 다른 식물호르몬에 대한 조직의 감수성을 증가시켜 생장을 촉진한다. 증가된 생장으로 잎이 수표면에 이르게 되면 다시 공기를 접촉하여 호흡할 수 있게 되고, 식물체내에 축적되었던 에틸렌은 대기 중으로 확산하여 나가게 되므로 체내 에틸렌 농도가 감소하여 생장률이 침수 이전 수준으로 되돌아간다. 에틸렌에 의한 옥신의 감수성 증가는 선량 반응 곡선에 비추어 수용체의 친화도 증가가 수반되는 것으로 생각되는데, 아직 옥신 수용체가 밝혀지지 않아 분자생물학적 기작은 연구되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최근 옥신 수용체 발견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따라서 에틸렌에 의한 옥신 수용체의 옥신에 대한 감수성 조절기작을 탐구할 수 있는 길이 열릴 것으로 기대된다.

수온이 긴꼬리투구새우(배갑목: 투구새우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ter Temperature on the Growth of Triops longicaudatus (LeConte) (Notostraca: Triopsidae))

  • 권순직;전영철;박재흥;원두희;서을원;이종은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1호
    • /
    • pp.1662-1666
    • /
    • 2010
  • 수서생물에 있어서 생장이나 기타 생물학적 특성들은 수온의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긴꼬리투구새우의 생장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수온에 따른 생장률실험에서 긴꼬리투구새우는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생장률이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침수 후 14일이 경과하면 갑각길이는 $20^{\circ}C$에서 5.7(${\pm}2.1$) mm, $28^{\circ}C$에서 7.5(${\pm}0.5$) mm로 나타났다. 그리고 21일이 경과하면 $20^{\circ}C$에서 6.9(${\pm}2.8$) mm, $28^{\circ}C$에서 7.8(${\pm}2.0$) mm로 나타났다. 또한 침수 후 14일경까지는 빠르게 생장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후에는 생장이 둔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심(80 mm, 190 mm)에 따른 생장률실험에서 침수 후 19일이 경과하였을 때 평균 갑각길이는 수심 80 mm에서 9.3(${\pm}2.1$) mm, 수심 190 mm에서 9.5(${\pm}1.3$) mm로 나타나 수심의 차이에 의한 영향은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갑각길이에 따른 생체량의 분석 결과 길이가 5 mm일 때 건중량은 1.1(${\pm}0.3$) mg, 10 mm일 때 18.0(${\pm}3.7$) mg, 16 mm일 때 26.0(${\pm}0.0$) mg, 20 mm일 때 52.3(${\pm}4.0$) mg으로 나타났다. 생산력과 관련하여 갑각길이가 증가하면 알의 개수도 급격하게 증가하였는데, 갑각길이가 7.0 mm인 개체의 경우 20(${\pm}0.0$)개이고, 갑각길이가 17.0 mm인 개체의 경우 560(${\pm}0.0$)개의 알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온도는 생장과 생산력의 척도인 갑각길이와 알의 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Numerical study on the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a propeller operating beneath a free surface

  • Paik, Kwang-Jun
    • International Journal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 /
    • 제9권6호
    • /
    • pp.655-667
    • /
    • 2017
  • The results of a numerical study on the performance of a propeller operating near a free surface are presented. The numerical simulations were performed for the various advance coefficients and the submergence depths of the model propeller. The effects of the model propeller size were investigated using two different model propeller sizes for all cases. The wave pattern of the free surface and the flow structure around the propeller as well as the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propeller were investigated through simulation results. The thrust and torque fluctuated and the trajectory of the tip vortex was distorted due to the interaction with the free surface. The wave pattern of the free surface was related to the tip vortex of the propeller. The decreases in thrust and torque at the small model propeller were greater than those of the large model propeller. The reduction rate of the thrust and torque increased with the advance coefficient.

저수지 댐 붕괴 지점에 따른 침수 양상 비교 (Comparison of Flooding Pattern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Collapse of Dam body)

  • 류단쉰;이길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461-470
    • /
    • 2022
  • When an agricultural soil dam collapses, the extent of inundation and the rate of diffusion vary depending on where the collapse occurs in the dam body. In this study, a dam collapse scenario was established and a two-dimensional numerical model FLO-2D was used to closely examine the inundation pattern of the downstream residential area according to the dam collapse point. The results were presented as a flood risk map showing the changes and patterns of the extent of inundation spread. The flood level and the time to reach the maximum water level vary depending on the point of collapse, and the inundation of the downstream area proceeds rapidly in the order of the midpoint, left point, and right point collapse. In the left collapse point, the submergence appeared about 0.5 hour slower than the middle point, and the right collapse point appeared about 1 hour slower than the middle point. Since the relative damage pattern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dam collapse point, insurance and disaster countermeasures will have to be established differently.

한반도(韓半島)의 신기(新期) 지형운동(地穀運動)에 관(關)하여 (Recent Tectonism in the Korean Peninsula and Sea Floor Spreading)

  • 박병권;김서운
    • 자원환경지질
    • /
    • 제4권1호
    • /
    • pp.39-43
    • /
    • 1971
  • 한반도(韓半島)는 지형운동(地穀運動)이 없이 안정(安定)한 상태(狀態)에 있는 아시아대륙(大陸)과, 지형운동(地鼓運勤)이 활발(活廢)한 일본열도(日本列鳥)의 사이에 위치(位置)하고 있다. 한반도(韓半島)는 비재적(比載的) 좁은 동서폭(東西幅)을 가지고 있는데도 불구(不拘)하고, 동해안(東海岸)은 융기(隆起), 서해안(西海岸)은 침강현상(沈降現象)을 보여 주고 있다. 그러나 서해안(西海岸)의 침강율(沈降率)을, 지형운동(地鼓運勤)이 거의 없이 안정(安定)한 상태(狀態)의 북미(北美) 동해안(東海岸)의 침강율(沈降率)과 비교(比較)해 보면 한반도(韓半島)의 서해안(西海岸)은 동해안(東海岸)과 함께 서서(徐徐)히, 융기(隆起) 하되, 다만 시차적(示差的) 융기현상(陸起現象)을 보이는 듯 하다. 이러한 융기현상(陸起現象)은 동해안(東海岸)(일본해(日本海))을 따라 전개(展開)하는 현상(現象)이다. 태평양(太平洋) mantle convection이 일본해구(日本海溝)를 따라 아세아대륙(大陸)으로 plunge 하는 데서 발생(發生)하는 압축응력(壓縮應力)에 기인(基因)하고 있을 것 같다. 또한 이러한 strain은 동해(東海) 일대(一帶)의 높은 heat flow에 의(依)해서 가속(加速)될 것 같다. 이와 같이 근세(近世) 한반도(韓半島)의 지형운동(地穀運動)을 해저확장설(海底擴張說) (Sea Floor Spreading Theory)로서 설명(說明)할 수가 있으며, 휴화산(休火山)인 백두산(白頭山)과 한라산(漢筆山)을 한반도(韓半島)가 서진(西進)한 증거(證據)로 간주(看做)할 수도 있다.

  • PDF

환경조건(環境條件)이 적미(赤米)(사레 : Oryza sativa L.)의 발아(發芽) 및 출아(出芽)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Environmental Conditions on Germination and Emergence of Red Rice (Sare : Oryza sativa L.))

  • 이동우;홍유기;김재철;김영호;송요성;김희동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43-148
    • /
    • 1984
  • 잡초(雜草)로서 문제시(問題視)되고 있는 赤米(적미)(사레) 5품종(品種)을 공시(供試)하여 발아(發芽) 및 출아특성(出芽特性)을 구명(究明)코자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적미(赤米)는 습윤상태(濕潤狀態)보다 담수상태(湛水狀態)에서 발아율(發芽率)이 현저(顯著)하게 낮았다. 2. 적미(赤米)의 영(穎)에 일부(一部) 상처(傷處)를 내면 발아율(發芽率)이 높아졌고 영(穎)을 완전(完全)히 제거(除去)하므로서 발아율(發芽率)이 더 높아졌다. 3. 적미(赤米)는 재배도(裁培稻)인 추청(秋晴)벼에 비(比)하여 깊은 복토심(覆土深)에서도 높은 발아율(發芽率)을 나타냈으며 평균(平均) 출아일수(出芽日數)도 추청(秋晴)벼 보다 빨랐다. 이는 적미(赤米)에서 지중경(地中莖)이 긴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4. 염분농도(鹽分濃度)에 따른 발아율(發芽率)으 0~0.4% 사이에서는 몽근사레를 제외(除外)하고 큰 차이(差異)가 없었다. 5. 갈색까락사레는 pH가 높을수록 출아율(出芽率)이 높은 경향(傾向)이고 기타(其他) 품종(品種)은 pH에 크게 영향(影響)을 받지 않았다. 6. 적미(赤米) 발아(發芽)는 토양(土壤)이 pH, 온도(溫度), 염분농도(鹽分濃度)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깊은 복토심(覆土深)에서도 쉽게 출현(出現)되어 불량환경(不良環境)에 적응(適應)하는 능력(能力)이 강(强)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담수(湛水) 상태(狀態)에서는 발아율(發芽率)이 낮으므로 초기(初期) 물관리방법(管理方法)으로 적미발생(赤米發生)을 경감(輕減)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