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jectivity study

검색결과 532건 처리시간 0.026초

메뉴프로모션에 대한 특급호텔 종사원의 주관적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bjectivity Recognition of Superior Hotel Employees for Menu Promotion)

  • 김찬우;김동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644-653
    • /
    • 2017
  • 본 연구는 메뉴프로모션에 대한 특급호텔 종사원의 주관적 인식에 관한 주관성 유형을 파악하고자 Q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연구목적은 메뉴 프로모션에 대한 종사원의 주관적 인식에 관한 구조를 유형화 하며, 각 유형들 간의 구조화된 특성을 분석하여 향후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유형내용은 크게 총 3가지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는데, 제 1유형(N=13): 적극적인 자기 개발형(Active personal development type), 제 2유형(N=10): 평범한 메뉴 추구형(Normal menu Pursuit type), 제 3유형(N=2: 기업발전 추구형 (Enterprise Development Pursuit type) 으로, 각 유형마다 다양한 특징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호텔 종사자의 근무환경에 관련한 연구에서는 많은 자료 및 문헌을 통해 보다 정밀한 Q방법론적인 질문항목과 분석방법으로 수정 보완하여, 응답자들의 다각화된 의견을 객관적으로 분석하는데 시도하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계량적인 실증 연구와 관련한 이해 당사자들의 종합적 비교 및 발전방안이 추가되면 호텔 종사원의 근무환경에 관한 연구 방향성이 보다 심도 있고, 긍정적 연구결과가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고등학생의 남자 가정과교사 인식에 관한 주관성 연구 (A Subjectivity on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Male Home Economics Teachers)

  • 전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22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남자 가정과교사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이 어떻게 유형화 되며 인식의 각 유형은 어떤 특성이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참여자가 스스로 자신들의 의견과 의미를 만들어가는 자결적 주관성 연구에 탁월한 Q방법론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진행은 Q방법론의 일반적 절차를 따랐다. 먼저 Q모집단에서 Q표본 즉 남자 가정과교사에 대한 고등학생의 표상체계로 구성된 40개 진술문을 확정하였고, 고등학교 3학년 31명으로 구성된 P표본에 의해 진술문을 Q분류하였고, QUANL 프로그램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남자 가정과교사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유형은 4개로 도출되었고 구체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유형 1은 '개인 특성 중시형'으로, 남자 가정과교사의 '남자'라는 성과 담당 교과인 「가정」은 교사의 개인적 특성일 뿐이라는 인식특성을 드러냈다. 유형 2는 '교과 중시형'으로, 남자 가정과교사를 「가정」이라는 교과를 중심으로 인식하는 특성이 있다. 유형 3은 '역량 중시형'으로, 남자 가정과교사는 가정교과를 가르치기에 충분한 실력과 역량을 갖춘 교사라는 인식적 특성을 보인다. 유형 4는 '인성 중시형'으로, 남자 가정과교사는 가정이라는 교과에 도전한 멋진 교사라는, 교사의 인성적 특성을 중시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이 연구는 점점 증가하는 남자 가정과교사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개인의 맥락에서 심도 있게 이해하는 기초자료로 의미가 있다.

Global Big Data Analysis Exploring the Determinants of Application Ratings: Evidence from the Google Play Store

  • Seo, Min-Kyo;Yang, Oh-Suk;Yang, Yoon-Ho
    • Journal of Korea Trade
    • /
    • 제24권7호
    • /
    • pp.1-28
    • /
    • 2020
  • Purpose - This paper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predictors and main determinants of consumers' ratings of mobile applications in the Google Play Store. Using a linear and nonlinear model comparison to identify the function of users' review, in determining application rating across countries, this study estimates the direct effects of users' reviews on the application rating. In addition, extending our modelling into a sentimental analysis, this paper also aims to explore the effects of review polarity and subjectivity on the application rating, followed by an examination of the moderating effect of user reviews on the polarity-rating and subjectivity-rating relationships. Design/methodology - Our empirical model considers nonlinear association as well as linear causality between features and targets. This study employs competing theoretical frameworks - multiple regression, decision-tree and neural network models - to identify the predictors and main determinants of app ratings, using data from the Google Play Store. Using a cross-validation method, our analysis investigates the direct and moderating effects of predictors and main determinants of application ratings in a global app market. Findings -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number of user's review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ratings of a given app and it positively moderates the polarity-rating relationship. Applying the review polarity measured by a sentimental analysis to the modelling, it was found that the polarity i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rating. This result best applies to the function of both positive and negative reviews in playing a word-of-mouth role, as well as serving as a channel for communication, leading to product innovation. Originality/value - Applying a proxy measured by binomial figures, previous studies have predominantly focused on positive and negative sentiment in examining the determinants of app ratings, assuming that they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Given the constraints to measurement of sentiment in current research, this paper employs sentimental analysis to measure the real integer for users' polarity and subjectivity. This paper also seeks to compare the suitability of three distinct models - linear regression, decision-tree and neural network models. Although a comparison between methodologies has long been considered important to the empirical approach, it has hitherto been underexplored in studies on the app market.

특급호텔의 소규모연회 메뉴프로모션에 대한 이용고객의 주관성연구 (A Study on the Subjectivity of the Customer about the Small Banquet Menu Promotion of the Deluxe Hotel)

  • 김학주;김찬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390-399
    • /
    • 2020
  • 본 연구는 특급호텔의 소규모연회 메뉴프로모션에 대한 이용고객의 주관적 인식을 파악 하고자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소규모 연회 메뉴프로모션을 이용한 고객을 대상으로 Q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을 시도 하였다. 유형분석을 한 결과, 총 4가지로 도출되었다. 제 1유형(N=4): 연회 메뉴 구성 비교 형(Banquet menu configuration comparison type), 제2유형(N=5): 연회 음식 위생 추구 형 (Banquet food hygiene-seeking at a Type), 제 3유형(N=3): 연회 메뉴 품질 만족 형 (Banquet menu quality satisfied type), 제 4유형(N=6): 연회 코스 중점 형(Banquet course focus type)으로 각각의 유형마다 서로 다른 특징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특급호텔의 소규모 연회 메뉴프로모션의 발전 방향성과 국내 호텔업의 호황 그리고 서비스 품질에 관한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되며, 주관적 분석 결과를 통해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팔로워십에 대한 호텔직원의 주관성 연구 (A Study on the Subjectivity of Hotel Employees about Followership)

  • 임지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370-378
    • /
    • 2020
  • 본 연구는 호텔직원의 주관적 측면에서 바라본 팔로워십의 세부 유형들을 살펴봄으로써 감정노동자인 호텔직원들이 인지하는 팔로워십의 종류와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에 호텔직원들의 팔로워십의 유형은 어떠하며, 각 유형간의 공통점과 차이점 그리고 각각의 의미는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Q방법론을 이용하였다. Q표본은 총 40개의 문항으로 선정하였다. 분석된 결과, '조직지향형', '개인지향형', '순응지향형', '비판적 수동형'의 4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각각의 유형은 독특한 특징을 나타내었으며 4유형 모두 공통적으로 동의하는 항목과 동의하지 않는 항목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는 무엇보다 자신들이 업무로부터 요구되는 감정적 부조화로 인해 감정노동을 해야 하는 호텔직원들의 입장에서 바라본 팔로워십의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호텔 경영에 있어 새로운 시각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V광고의 일반인 모델에 관한 수용행태 분석 (Analysis acceptance behavior on Model Reception in the General of TV Advertising)

  • 이제영;최세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475-484
    • /
    • 2020
  • 이 논문은 TV광고의 일반인 모델 인식에 관하여, 기능적인 양적 분석의 과거 행태로부터 탈피하여, 심층적이고 효과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주관성연구인 실증적인 Q방법론으로 연구되었다. 또한 이 분석에서는 기존 논의에서 연역적인 가설을 도출하는 종래의 연구 방법과는 달리, 사람들의 주관적 이미지에 의한 새로운 가설발견의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Q요인분석이란 통계방법을 사용하며, R방법의 변수를 요인화가 아닌 사람을 요인화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TV광고의 일반인 모델에 대해 젊은 층의 수용행태 분석을 알아보는 것이다. 분석결과는 총 4가지의 유형{제 1유형[(N=7) : 광고 공감대형(Advertising Consensus Type)], 제 2유형[(N=7) : 광고 부정형(Advertising Negative Type)], 제 3유형[(N=5) : 광고 구매력 감소형(Advertising Purchasing Reduction Type)], 제 4유형[(N=1) : 광고 설득 지향형(Advertising Persuasion Orientation Type)]}으로 분류되었으며, 전반적으로 매우 차별적인 유형들로 발견되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TV광고의 일반인 모델인식에 대한 주로 젊은 응답자들의 주관적 수용 행태를 검토하였다. 또한 분석의 내용들은 관련 이슈와 아젠다 연구를 위한 발전적인 제안(개선)을 제시하는데 유의미한 논의를 제시하는 것이다.

글로벌 화장품 브랜드의 소비자 만족도 분석: 텍스트마이닝 기반의 사용자 후기 분석을 중심으로 (Customer Satisfaction Analysis for Global Cosmetic Brands: Text-mining Based Online Review Analysis)

  • 박재훈;김예림;강수빈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595-607
    • /
    • 2021
  • Purpose: This study introduces a systematic framework to evaluate service satisfaction of cosmetic brands through online review analysis utilizing Text-Mining technique. Methods: The framework assumes that the service satisfaction is evaluated by positive comments from online reviews. That is, the service satisfaction of a cosmetic brand is evaluated higher as more positive opinions are commented in the online reviews. This study focuses on two approaches. First, it collects online review comments from the top 50 global cosmetic brands and evaluates customer service satisfaction for each cosmetic brands by applying Sentimental Analysis and Latent Dirichlet Allocation. Second, it analyzes the determinants that induce or influence service satisfaction and suggests the guidelines for cosmetic brands with low satisfaction to improve their service satisfaction. Results: For the satisfaction evaluation, online review data were extracted from the top 50 global cosmetic brands in the world based on 2018 sales announced by Brand Finance in the UK. As a result of the satisfact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overall there were more positive opinions than negative opinions and the averages for polarity, subjectivity, positive ratio, and negative ratio were calculated as 0.50, 0.76, 0.57, and 0.19, respectively. Polarity, subjectivity and positive ratio showed the opposite pattern to negative ratio, and although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in fluctuation range and ranking between them, the patterns are almost same. Conclusion: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framework was verified through case study. Although some studies have suggested a method to analyze online reviews, they didn't deal with the satisfaction evaluation among competitors and cause analysis.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evaluates service satisfaction from a relative point of view among cosmetic brands and analyze determinants.

지역 기업 브랜드 광고의 효용성에 관한 주관성 연구 (Subjectivity study on efficiency of brand advertising in local company)

  • 이제영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5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87-88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Q방법론을 중심으로 대학생들의 지역 기업브랜드 광고의 효용성 인식을 진단하고, 기능적인 측면에서 세부적인 효과요인들을 짚어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위에서 제기된 사항들의 해답을 얻기 위하여 주관성연구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앞으로 계량적인 실증적 연구와 관련 이해당사자들간의 종합적 비교와 대안책이 추가된다면, 지역 기업브랜드 광고의 효용성 인식에 대한 개선과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에 보다 심도 있는 연구결과가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이태리 근대디자이너 알레산드로 멘디니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Italy Modern Designer, Alessandro Mendini)

  • 강신우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31-39
    • /
    • 2004
  • The works of Alessandro Mendini doing a big role in Italian design give us fresh impetus and the message on future design. His work activity has created new space and given the second life with arranging radical and fresh visual ornaments by using various materials. His design works have been challenged on fixed and ordinary thought. He applies gorgeous and plain natural colors. When he develops idea into the form, his works hold meditation and clear subjectivity. Alessandro Mendini makes us aware that his work of arts connects human spirit with thing.

  • PDF

영화장르별 등장인물 특성에 관한 수용자 주관성 연구: 공포영화 장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udience's Subjectivity on Characteristics of Movie Characters: Focused on Horror Movies)

  • 현승훈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7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9-220
    • /
    • 2017
  • 영화 장르에 있어 등장인물의 전형적인 이미지는 매우 중요한 관객 수용의 요인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화 장르별 등장인물의 이미지 표현방법에 대한 관객 인식유형의 연구는 현재까지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질적방법론 중 하나인 Q방법론을 사용하여 영화 장르 내 캐릭터이미지의 전형성에 대한 수용자의 주관적 감정의 상태를 유형별로 분석해 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