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jective Health Level

검색결과 817건 처리시간 0.035초

30~49세 한국 성인의 당뇨병 유병 및 당뇨병 인지 관련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Diabetes Prevalence and Diabetes Awareness in Korean Adults Aged 30-49)

  • 이현주;이윤희;박금옥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6호
    • /
    • pp.91-97
    • /
    • 2023
  • 본 연구는 제8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차 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한국의 30~49세 성인 중 당뇨병 유병자 총 300명의 당뇨병 유병률과 인지율을 분석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25.0 program을 이용하여 복합표본 빈도와 백분율, χ2-test,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당뇨병 유병자 중 당뇨병임을 인지한 자는 171명(57.0%)이었으며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교육수준, BMI, 주관적 건강상태, 심혈관질환, 부계 및 모계 가족력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비교적 젊은 30~49세 당뇨 유병률을 감소시키고 유병자들의 인지율을 높이는 정책 및 중재 프로그램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일 간호대학생의 그릿과 긍정심리자본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Gri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 정현;조미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467-475
    • /
    • 2022
  • 본 연구는 일개 간호대학생의 그릿과 긍정심리자본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D시의 간호학과 학생 220명을 대상으로 2019년 5월 20일부터 2019년 06월 07일까지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이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의 주요 영향요인은 긍정심리자본, 전공만족도, 주관적 성적, 종교가 진로준비행동의 32%를 설명하였고, 그릿은 진로준비행동의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을 강화하기 위한 심리·정서 프로그램 등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에 따른 스마트폰 사용 영향 요인 (Factors Affecting Smartphone Usage Time according to Subjective Happiness of adolescents)

  • 문원희;권명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3호
    • /
    • pp.507-516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이 인지하는 행복감에 따라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질병관리청 홈페이지를 통해 제13차(2017)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 설문조사 원자료 사용 승인절차를 거쳐 만 12-18세 54,603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자료는 IBM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가중치를 부연한 후 복합 샘플 계획 파일을 생성하여 분석하였다. 행복한 그룹과 행복하지 않은 그룹의 스마트폰 사용에 따른 일반적 특성과 신체, 심리적 특성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그리고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행복하다고 인식한 청소년 그룹과 행복하지 않다고 인식한 청소년 그룹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므로 청소년들의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으로 행복도를 높여 삶의 질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사회적 자본과 구축환경 질문지 개발 및 타당화 연구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ocial Capital and Built Environment Questionnaires)

  • 유정아;윤지애;김지훈;김혜민;최경숙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7-26
    • /
    • 2024
  •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reate questionnaires for Social Capital (SCQ) and Built Environment (BEQ) that can be utilized as protective factors for mental health. Methods : A total of 426 adults aged 18 or older, residing in 'D' Metropolitan City in Korea, were included as subjects in this study. Data for subjective evaluation of social capital and built environment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Various statistical analyses, such a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PHQ-9 and GAD-7, were conducted. Results : The Cronbach's α values for SCQ and BEQ were 0.94 and 0.90, respectively, indicating good reliabilit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SCQ consisted of 4 factors, explaining a total of 71.91%, while BEQ consisted of 4 factors, explaining a total of 62.18%.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that both questionnaires had a reasonable configuration, with TLI, CFI, and RMSEA values at an appropriate level. Additionally, both SCQ and BEQ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depression and anxiety. Conclusion : This study has developed a tool for measuring social capital and the built environment in Korea. It also demonstrate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is questionnaire. The use of this tool could greatly support preventive mental health interventions within the community.

한 종합병원 작업환경의 건강저해인자에 관한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Health Risk Agents in the Workplace of a General Hospital)

  • 김양옥;김기순;박종;류소연;양희연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9권1호
    • /
    • pp.1-14
    • /
    • 1996
  • 한 종합병원의 작업환경에 존재하는 건강저해인자를 평가함으로써 종사원들의 건강보호와 작업능률 향상에 기여하고자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병원건물의 구조와 업무내용으로 보아 작업환경의 대표가 될 것으로 보이는 27개 부서를 선정하여 1993년 10월부터 1994년 10월까지 작업환경에 대한 종사원의 설문과 현장조사 및 측정을 실시하였다. 설문을 통하여 종사원들이 느끼는 건강저해인자에의 노출상태를 양호(A), 보통(B), 미흡(C), 불량(C)로 분류하고, 현장조사와 측정에 의한 각 인자의 노출상태를 양호(a), 보통(b), 미흡(c),불량(d)으로 분류하여 노출되고 있는 종사원의 분포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작업환경 측정결과 조도는 전체대상자 240명의 근로자 중 c등급 이하의 전반조도에 노출된 종사원은 86명(36%), c등급 이하의 국소조도에 노출된 종사자는 193명(80%)이었고, 온열조건에 관한 측정결과 c등급 이하의 환경에의 노출자가 34명(14%), c등급 이하의 소음환경에 180명(75%)이 노출되고 있었다. 공기 중의 먼지량과 톨루엔의 측정결과 c등급 이하의 환경에 노출된 사람은 없었으며, 외부의 자료와 노출상태를 조사한 결과 방사선과 항암제/항생제에 의한 c등급 이하의 환경에의 노출자도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2. 건강저해인자에 대하여 종사원이 느끼는 노출 정도(A, B, C, D등급)와 현장조사와 측정으로 확인된 노출 정도(a, b, c, d 등급)는 차이가 많아서, 특히 조도에서는 종사원이 저해환경을 과소평가하고, 공기 중 먼지에서는 과대평가가 심했으며, 온열조건, 소음, 방사선, 톨루엔, 항암제, 항생제에의 노출은 조사된 결과보다 나쁘게 느끼는 경향이 있었다. 3.설문에서 호소하는 소음의 증류로는 사람 말소리가 179명, 실내장비소리가 131명의 순이었으며, 실내공기 중 먼지의 종류로는 사람들의 옷먼지 108명, 건물먼지 79명의 순으로 많았다. 4. 설문에서 C등급 이하의 마취제에의 노출자가 28명, 알칼리/산에의 노출자가 10명, 약진에의 노출자가 6명이었으나 이들에 대한 측정이 불가능하여 평가할 수 없었다.

  • PDF

I형 골다공증의 요인분석과 다랑어골분 복합제제의 pilot study를 통한 평가 (Factor Analysis of Type I Osteoporosis and Evaluation on Tuna Bone Powder Compounds through Small Scale Pilot Study)

  • 지규용;김영만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93-100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analyzing pathological and epidemiological factors of osteoporosis and doing pilot test using trial compounds of tuna bone and oriental herbs based on the factors. Osteoporosis is originated from osteoblast, osteoclast, organic and inorganic factors etc. Therefore the pathology of osteoporosis is not simple because the cytokine, growth factors and hormones of the components are various a lot. Taking a view of epidemiological factors of type I osteoporosis, ageㆍmenarcheㆍcholesterolㆍBMI etc. have definite relation to them. So we can approach to aging or consumptive disease in oriental medicine, specifically differential diagnosis of blood depletion with deficiency of qi, deficiency of kidney, deficiency of yin, bony weakness etc. And it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with rules for maintaining good health or habit concomitantly. Therefore IL1ㆍ6 or TNF αㆍβ are generally used as molecular biological index for osteoblast and osteoclast because the most important index is bone mineral density and strength, but the factors like collagen and noncollagen protein must be accounted as biomarkers. Trial compounds generally showed favorable effects on accompanying subjective symptoms of osteoporosis in the pilot test for menopausal woman. But if she didn't have specific symptoms of osteoporosis there wasn't any specific change. And osteocalcin was increased in case of being under standard level, but wasn't changed in case of normal level. Therefore these trial compounds can be used as a funcdonal diet for type I osteoporotic patients or preventive measures.

음주 후 시간경과에 따른 시력의 변화 (Time-dependent Changes of Visual Acuity After Alcohol Ingestion)

  • 김상엽;이선행;문병연;유동식;조현국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59-62
    • /
    • 2008
  • 목적: 알코올 섭취 후 시간경과에 따른 시력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음주 1시간 및 3시간 후의 자각적 타각적 굴절검사, 원거리 대비감도 검사, 그리고 세막대 입체시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혈중 알코올 농도의 상승과 비례하여 평균 -0.25D ~ -0.35D의 근시성 변화를 일으켰고, 동적입체시 기능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비감도는 모든 공간주파수에서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알코올이 일반적인 시력검사 및 기능검사에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숙지하고 피검자의 검사 전 알코올 음용에 대해 문진할 필요성이 있다.

  • PDF

공항 인근주민들의 항공기소음에 대한 피해의식 구조에 관한 연구 - 대구공항을 사례지역으로 - (A Study on Subjective Nise Evaluation of Rdesidential Area on Aircraft Noise near Airport - Case Study on Taegu Airport -)

  • 김재석
    • 소음진동
    • /
    • 제10권1호
    • /
    • pp.41-48
    • /
    • 2000
  • Evaluation model for damage consciousness was established through the survey of 2,210 residents' consciousness on aircraft noise near Taegu Airport. There were none who replied that the level of the aircraft noise was as los as it was quiet. 77(3.5%) people replied the noise was normal, and 2,133(95.5%) people said it was noisy. As to the period of time when the aircraft noise occurred, 51%, 97%, 86%, 0.6% of the residents pointed out the morning time, the day time, the evening time, and the night time, respectively. Because of aircraft noise, 73%, 88%, 70%, 77%, 78%, and 33% of the residents felt it disturbing indoor conversation, telephoning, watching TV or listening to the ratio, reading or meditating, working, sleeping, and studying, respectively. It was examined that the bad effects of aircraft noise on the health were severe : 43% of the resident said they experienced embarrassment. 52% astonishment, 66% absence of mind, 61% heart-beating. 77% headaches, 78% earache, and 93% displeasure. For the survey of the residents' damage consciousness about aircraft noise, the level of aircraft noise was set as an objective variable, and gender, age, occupation. Education, the type of house, the structure of windows, the consciousness of settlement in the district, and the period of residence were set as explanatory variables. And the quantification theory I was applied to the analysis. The most influencing factor of the damage consciousness on aircraft noise was the education, the second occupation, the third age, the forth the consciousness of settlement, the fifth the period of residence, the sixth gender, the seventh the type of house, and the least influencing factor among them was the structure of windows. These findings will be a useful guideline when the government seeks to set up policies which will help solve the resident's noise problems near Taegu Airport.

  • PDF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왜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제16차(2020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를 이용 (Factors Affecting Body Image Distortion in Adolescents: Using Data from the 16th (2020)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 윤현정;박성원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2호
    • /
    • pp.139-148
    • /
    • 2022
  • 우리는 제 16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 외모스트레스, 불안이 청소년의 신체 이미지 왜곡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시도하였다. 우리는 대상자의 38.2%에서 신체이미지 왜곡을 확인하였고 19.9%에서 신체 이미지에 대한 과소평가(underestimate), 18.3%에서 과대평가(overestimate)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과소평가(underestimate)와 과대평가(overestimate) 집단 모두에서 외모스트레스, 불안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우리는 성별, 경제적 수준, 학업수준등의 인구학적 특성이 과소평가와 과대평가 집단에서 각각 다른 양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우리는 청소년의 체중에 대한 주관적인 인식을 과대평가와 과소평가의 경우로 세분화하여 포괄적인 평가를 하는 것이 추후 정신건강과 체중 조절 행동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으로 제언한다.

55~84세 한국 성인의 현존치아수와 구강기능의 관계 (The Association between Number of Present Teeth and Oral Function in Korean Adults Aged 55~84 Years)

  • 김한나;김기림;김진범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40-347
    • /
    • 2015
  • 본 연구는 2007~2009년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만 55~84세 한국인의 현존치아수와 인구사회경제적 요인, 주관적 건강수준, 그리고 구강기능 요인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 성별과 교육수준, 부정구강진료여부, 주관적 건강 및 구강 건강상태, 씹기와 말하기 행동이 현존치아수와 관련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인구사회경제적 요인 중, 성별에 따른 결과에서는 남성이 여성에 비해 현존치아수가 1.12개 적었으며(p<0.001),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현존치아수가 많았다. 부정치과진료시술 유무와 현존치아수의 분석 결과에서는 부정치과진료 경험자가 비경험자보다 2.43개 적은 치아를 가지고 있었다(p<0.001). 주관적 건강 및 구강건강상태는 현존치아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구강기능 요인과 현존치아수의 관계에서 씹기 행동과 구강기능간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고, 특히 말하기 행동은 불편함의 정도가 높다고 응답한 그룹일수록 현존치아수가 통계적으로 확연하게 감소하였다(p<0.001).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구강기능 중에서 씹기보다는 말하기가 현존치아수와 더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만 55~84세 한국인의 구강건강 및 구강기능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