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Health Risk Agents in the Workplace of a General Hospital

한 종합병원 작업환경의 건강저해인자에 관한 조사 연구

  • Kim, Yang-Ok (Dep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 Kim, Ki-Soon (Dep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 Park, Jong (Dep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 Ryu, So-Yeon (Dep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 Yang, Hee-Yeon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 and Health, Chosun University)
  • 김양옥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김기순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박종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류소연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양희연 (조선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 Published : 1996.03.01

Abstract

To evaluate the health risk of the workplace environment of a general hospital toward the hospital workers, a questionnaire survey on the perception of risk at the workplace environment and environmental measurements at 27 locations with 240 workers in the hospital were made from October 25th, 1993 to October 30th, 1994.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By the environmental measurements, 86 workers(36%) were found to be exposed to poor or harmful degree of general illumination, 193 workers(80%) were exposed to poor or harmful local illumination, 34 workers(14%) were exposed to poor or harmful degree of thermal condition and 180 workers(75%) were exposed to poor or harmful noise level, but nobody was exposed to poor or harmful dust and toluene concentration. Also nobody was exposed to poor or harmful level of radiation or anticancer/antibiotic agents. 2. The subjective perceptions on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felt by the workers were different from the objective findings by the environmental measurements. The workers underscored the poor illumination state and overscored the dust concentrations. Also workers oversensitized about the thermal condition, the noise level, the radiation level, the toluene concentration and anticancer/antibiotic agents 3. The sources of noise were the dialogue(179 workers) and the office instruments(131 workers). The sources of dust came from the clothes(108 workers) and the building materials(79 workers). 4. The questionnaire survey showed that the 28 workers were exposed to poor or harmful level of the antibiotics, 10 workers to alkali or acid and 6 workers to drug dust in the pharmacy but the above findings could not be proved by the environmental measurements.

한 종합병원의 작업환경에 존재하는 건강저해인자를 평가함으로써 종사원들의 건강보호와 작업능률 향상에 기여하고자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병원건물의 구조와 업무내용으로 보아 작업환경의 대표가 될 것으로 보이는 27개 부서를 선정하여 1993년 10월부터 1994년 10월까지 작업환경에 대한 종사원의 설문과 현장조사 및 측정을 실시하였다. 설문을 통하여 종사원들이 느끼는 건강저해인자에의 노출상태를 양호(A), 보통(B), 미흡(C), 불량(C)로 분류하고, 현장조사와 측정에 의한 각 인자의 노출상태를 양호(a), 보통(b), 미흡(c),불량(d)으로 분류하여 노출되고 있는 종사원의 분포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작업환경 측정결과 조도는 전체대상자 240명의 근로자 중 c등급 이하의 전반조도에 노출된 종사원은 86명(36%), c등급 이하의 국소조도에 노출된 종사자는 193명(80%)이었고, 온열조건에 관한 측정결과 c등급 이하의 환경에의 노출자가 34명(14%), c등급 이하의 소음환경에 180명(75%)이 노출되고 있었다. 공기 중의 먼지량과 톨루엔의 측정결과 c등급 이하의 환경에 노출된 사람은 없었으며, 외부의 자료와 노출상태를 조사한 결과 방사선과 항암제/항생제에 의한 c등급 이하의 환경에의 노출자도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2. 건강저해인자에 대하여 종사원이 느끼는 노출 정도(A, B, C, D등급)와 현장조사와 측정으로 확인된 노출 정도(a, b, c, d 등급)는 차이가 많아서, 특히 조도에서는 종사원이 저해환경을 과소평가하고, 공기 중 먼지에서는 과대평가가 심했으며, 온열조건, 소음, 방사선, 톨루엔, 항암제, 항생제에의 노출은 조사된 결과보다 나쁘게 느끼는 경향이 있었다. 3.설문에서 호소하는 소음의 증류로는 사람 말소리가 179명, 실내장비소리가 131명의 순이었으며, 실내공기 중 먼지의 종류로는 사람들의 옷먼지 108명, 건물먼지 79명의 순으로 많았다. 4. 설문에서 C등급 이하의 마취제에의 노출자가 28명, 알칼리/산에의 노출자가 10명, 약진에의 노출자가 6명이었으나 이들에 대한 측정이 불가능하여 평가할 수 없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