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jective Health Level

검색결과 835건 처리시간 0.026초

간호사의 주관적 건강상태, 죽음에 대한 태도 및 영적 안녕 (Subjective Health Status, Attitude toward Death and Spiritual Well-being of Nurses)

  • 조옥희;한종숙;황경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375-384
    • /
    • 2013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주관적 건강상태, 죽음에 대한 태도 및 영적안녕의 수준과 그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대상은 서울 및 경기지역에 소재한 2개 대학병원의 간호사 338명이었다. 자료는 2013년 3월부터 5월까지 주관적 건강상태, 죽음에 대한 태도 및 영적 안녕에 대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는 SAS Window용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간호사의 연령, 배우자 유무, 교육 수준, 임상 근무경력, 근무 부서와 직위에 따라 주관적 건강상태에 차이가 있었고, 연령, 배우자 유무, 임상 근무경력, 직위에 따라 죽음에 대한 태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연령, 배우자, 종교, 교육수준, 임상 근무경력, 근무부서와 직위에 따라 영적 안녕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간호사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높을수록 죽음에 대한 태도는 긍정적이었고, 주관적 건강상태가 높을수록, 죽음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영적 안녕은 높았다. 본 연구는 간호사들이 주관적으로 인지하는 건강상태와 죽음에 대한 태도 및 영적 안녕과의 관련성을 파악하였으며 영적간호 또는 임종간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노인의 구강건강 장애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Factors of Oral Health Diseases among the Elderly)

  • 안권숙;지민경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73-84
    • /
    • 2008
  • This study conducted an interview questionnaire survey of 245 old people in some halls for the aged in the Daejeon Metropolitan City from June 1 to 31, 2008. on their attitudes toward and practice items for oral health, resulting in the following findings. 1. In terms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males females were 48.2% and 51.8% respectively, and in the educational level, no-education, elementary school graduation, middle school graduation, and high school graduation and higher were 27.8%, 33.9%, 26.5%, and 11.8%, respectively, showing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09). 2. In terms of attitudes toward oral health management by oral health care education, regarding questions of use of oral and dental hygiene products (p=0.016), experience in scaling, and whether or not they wear false teeth (p=0.018), a group having received the education rather than a group not having received it showed more positive oral health management attitudes, indicating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3. In daily living inconvenience of acute oral health diseases according to oral health care education, acute oral diseases presents in a group with the education ($2.30{\pm}0.72$) lower than in a group without the education ($2.49{\pm}0.63$), indicating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31). 4. Factors of oral health diseases showed the significant relation with types of health insurance, subjective systemic health status, acute diseases and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p<0.01), and the explanatory power or the final model was 38%. Accordingly it is thought that there is the indicated need for analyzing and grasping factors related to oral health diseases among the elderly through considering their attitudes toward and practice for oral health, and developing programs of enhancing the oral health of the elderly in order for them to change their attitudes and habits, and also reinforcing oral health care education for the elderly focused on making them perform oral health behaviors in a right way.

  • PDF

노년기 수발 경험에 따른 건강 변화 : 사회적 관계망과 만족도의 매개효과 분석 (Elderly Caregiving and Health : Analysis of the mediate effect of social network and Satisfaction)

  • 이서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642-651
    • /
    • 2017
  • 본 연구는 수발 경험에 따른 수발자의 건강상태 변화를 살펴보고, 수발 경험이 수발자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사회적 관계망과 만족도가 매개변수로서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고령화연구패널자료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수발 이후 남녀 모두 우울감이 증가하고 주관적 건강상태나 낮아졌다. 사회적 관계망과 만족도 변화 양상에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 수발이 주관적 건강상태와 우울감에 영향을 미쳤으며, 매개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남성의 경우 수발 경험이 우울감에 미치는 총 효과는 1.087(p<.05), 간접효과는 0.546(p<.05)이었으며, 직접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수발 경험은 기능적 가족망의 감소(0.42, p<.01)를 완전매개로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수발 이후 수발자들의 건강 취약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수발자의 건강과 이를 매개하는 요인을 탐색하는 데 있어 성별에 따라 그 양상이 따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녀 모두 기능적 가족망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음에도 남성에게서만 기능적 가족망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어 남성의 기능적 가족망 강화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종합검진 수검자의 스트레스 수준과 생활습관, 자각증상 및 임상적 진단의 관련성 (Relationship of Level of Stress, Life Style, Subjective Symptoms and Clinical Diagnosis in Clients taken Multiphasic Screening Program)

  • 박준한;전진호;강장미;손병철;김대환;이창희;정귀원;엄상화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1권4호
    • /
    • pp.728-739
    • /
    • 1998
  • To improve wellness and quality of life by recognizing the health efforts of stress, the author estim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tress, subjective symptoms and clinical diagnosis through a questionnaire and a battery of specified laboratory tests; electrocardiography, blood pressure, cholesterol,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 alanine aminotransferase(ALT), gamma glutamyl transferase$(\gamma-GTP)$, fasting blood sugar, gastro-endoscopy or UGI, abdominal sonography, etc. The data was gathered from 337 clients who were undergoing multiphasic screening program at a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to March 1998. The mean age of subjects was $46.5{\pm}11.2$ years and the mean of body mass index was $24.0{\pm}3.7kg/m^2$. The mean vol of stress was $18.5{\pm}6.0$ expressed as the score out of 40. By general characteristics and lift style among male, mean level of stres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ase of lower socioeconomic status, habitual drug use, longer daily working time(>10 hours), no regular exercise, drinkers, irregular meal, skip-ping breakfast(p<0.05). In case of female, tha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ase of lower education, lowe. socioeconomic status, longer daily working time(>10 hours), no regular exercise, drinkers, smokers, irregular meal, skipping breakfast(p<0.05).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stress and subjective symptoms in all kinds of organ system (p<0.01). Correlation coefficients of stress among male were relatively high with neuro-psychiatric symptom$(\gamma=0.476)$ and cardio-vascular symptom$(\gamma=0.361)$ in order,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of stress among female was highest with neuro-psychiatric symptom$(\gamma=0.371)$. The prevalence of the diagnosis through the battery of laboratory tests was high in upper gastrointestinal disorders and hypercholesterolemia in order in both sex group. Among male the mean score of stress was significantly high in ulcerative peptic disorder of upper gastrointestine and hepatopathy in order (p<0.05) . Among female that was significantly high in diabetes mellitus. In summary, it is likely that there are associations between stress, subjective symptoms and clinical diagnosis. To promote wellness and quality of life it would be of value that periodic stress evaluation program and stress management including apropriate control of smoking and drinking, regular exercise and meal.

  • PDF

Diabetes Mellitus prevalence and related factors in Korean Adult over 19 years according to time trend: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11, 2021

  • Ji-Suk Seo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8호
    • /
    • pp.123-131
    • /
    • 2024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자료를 이차 분석하여 시간적 추이에 따른 19세 이상 한국 성인의 당뇨병 유병률과 관련 요인을 파악하여 당뇨병 예방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자료는 IBM SPSS/WIN 22 program을 이용하여 2011년, 2021년 2개년도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질병관련 특성, 건강관련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복합표본 빈도분석, 복합표본 교차분석, 복합표본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당뇨병 유병를은 2011년 6.6%에서 2021년 9.5%로 증가하였고 당뇨 유병 관련 요인은 2011년에서 성별, 연령, 교육 수준,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주관적 건강인지로 나타났고(Negelkerke R2=.255) 2021년에서 성별, 연령, 교육 수준,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모친의 당뇨병, 주관적 건강인지로 나타났다(Negelkerke R2=.327). 본 연구는 시간적 추이에 따른 당뇨병 유병률과 관련 요인을 파악하여 관련 요인의 변화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당뇨병을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관상동맥중재술을 받은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건강행위 이행에 영향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 분석 (Analysis of Psychosocial Factors Affecting Health Behavior Adherence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undergoing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 전혜원;장희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231-244
    • /
    • 2020
  • 본 연구는 관상동맥중재술을 받은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건강행위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경상남도 J시 G대학교병원에서 관상동맥중재술을 받고 외래를 내원한 환자 126명을 대상으로 2018년 7월 15일부터 10월 2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수집 후 SPSS/WIN 21.0으로 통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상자 특성에 따른 건강행위 이행은 배우자 유무, 교육수준, 주관적 건강상태, 주관적 삶 만족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의료인 지지, 회복탄력성에서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지각된 스트레스, 지각된 스트레스의 하위영역인 가족관계, 불안과 위축, 빈곤과 재정, 우울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회복탄력성, 지각된 스트레스의 하위영역인 빈곤과 재정, 교육수준, 주관적 삶 만족도가 관상동맥중재술을 받은 노인의 건강행위 이행을 27.9%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관상동맥중재술을 받은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건강행위 이행을 향상시키기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중환자 가족원의 부담감,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 (A Study on Burden, Stress and Social Support of Family Caregivers in Intensive Care Unit Patient)

  • 심문숙;윤혜욱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934-936
    • /
    • 2009
  •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burden, stress and social support of family caregivers in ICU patient. The subjects were 146 family care givers observed at a general hospital at D city. The level of stress that family caregivers experience the average points of 2.18, which is considered less than average. The level of burden that average point of 2.51. Points for level of subjective feeling ranged from 1.74 to 3.90. The average point of 3.03 is higher than that for objectively recognized feeling. The points for social support that average point of 3.03 for social support proves that families feel positive about the social support they are receiving. The level of stress which shows that the lower the income, the higher the stress. The effect on stress shows significance in subjective feelings of burden, social support, and employment, indicating that they have correlations with stress. Both the feeling of burden and social support have an impact upon the stress that patient families experience.

  • PDF

중년여성의 우울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evant Variables of Middle-aged Women's Depression)

  • 변외진;김춘경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7호
    • /
    • pp.125-139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factor of the Variables that contributed to the depression of middle-aged women. The subjects were 751 Middle-aged women whose age was from 41 to 60. The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the assessment of depression, the assessment of climacteric symptoms, the assessment of marital satisfaction, the assessment of marital stability, the assessment of ego identity and the questionnaire of demographic variables. The data were analys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Duncan, pearson correlation,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job, the level of education, the state of marriage, the subjective level of health, the subjective level of economy, household income, present problem, the level of family-of-original relationship, the age of last child, religion and spouse's occupation there were differences of depression; (2) In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relationships of depression, the depression was correlated with Climacteric Symptoms positively and with Marital Satisfaction, Marital Stability, and Ego Identity negatively; (3) Predictors of depression of the Middle-aged women ordered climacteric physical, climacteric psychological, marital satisfaction, marital stability, identity moratorium, goal oriented, identity diffusion, initiative.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commenda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in this area were discussed.

미국이민 한국인의 건강증진 행위에 관한 연구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Korean Immigrants in the U.S.A)

  • 박정숙;오윤정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491-503
    • /
    • 200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Korean immigrants and to develop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Korean immigrants. Method: The subject of the study were 207 adults chosen from Korean religious organizations located in Chicago area.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HPLP) by Walker. Sechrist & Pender(l995). Th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August 1 and October 20. 2000 by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alysis of data was done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 ANOVA. Duncan tes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program. Result. 1) The average score of performance in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2.43 scores. In the subscales, the highest degree of performance was 'spiritual growth', following 'nutri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ress management' and 'health responsibility' and the lowest degree of performance was 'physical activity'. 2) Health promoting lifestyl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uch demographic variables as age (F=2.659. p=.049), family income(F=4.696. p = .027), subjective health status(F = 3.882. p=.005), the frequency of pray(F=9.442. p = .000), the frequency of reading the bible(F=8.584. p= .000) and years of residence in the US(F=4.273. p= .015). 3) Health promoting lifestyle was significantly predicted by the frequency of pray, subjective health status. current working status, taking medication, level of education and family income. These variables explained 27.4% of variance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Conclusion The above findings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health promotion program facilitating exercise and enhancing health responsibility for Korean immigrants. It is suggested that the comparative study to identify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Korean immigrants in the U.S.A. and Korean residents in Korea.

  • PDF

농촌과 도시지역 노인의 가족지지와 정신건강에 관한 비교 (Comparison of Family Support and Mental Health Between the Rural and Urban Elderly)

  • 민경화;김상순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0권2호
    • /
    • pp.175-185
    • /
    • 1995
  • 본 연구는 농촌과 도시지역 노인의 가족지지 정도와 정신건강상태를 비교, 검토하기 위하여 1995년 2월 18일부터 3월 27일까지 농촌지역은 대구 근교 9개면, 도시지역은 부산광역시 3개 구로 연구자가 임의 선정하여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노인 201명과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노인 238명을 대상으로 면담 조사하였다. 대상자의 가족지지정도는 농촌지역은 평균 36.70이고, 도시지역은 평균 40.77로 유의한 차로 도시지역 노인이 농촌지역 노인보다 가족지지가 높았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족지지정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농촌지역은 성별, 연령, 배우자유무, 교육정도, 경제수준, 자녀수, 동거가족수, 동거유형, 주관적 건강상태, 용돈상태, 여가활동참여에서, 도시지역은 성별, 배우자유무, 종교, 경제수준, 동거가족수, 용돈상태, 여가활동참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가족지지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중회귀 분석 한 결과, 농촌지역은 연령, 배우자유무, 경제수준 3문항이 33%의 설명이 가능하였고, 도시지역은 주관적 건강상태, 경제수준, 배우자 유무, 동거가족수의 4문항이 35%의 설명이 가능하였다. 정신건강상태는 도시지역(평균 36.87)노인이 농촌지역(평균 57.42) 노인보다 좋았으며, 각 항목별로 총 점수의 75%이상 즉 "하"에 해당하는 자는 도시지역은 우울증 8.4%, 신체화 8.0% 이고 그 외 문항은 모두 1% 미만인데 반하여 농촌지역은 신체화 8.5%, 우울증 8.5%, 불안 4.0%, 공포불안 4.0%, 강박증 2.5%, 적대감 2.0%, 편집증 2.0%, 정신증 1.5%, 대인예민성 1.5%의 순으로 나타나 도시지역과의 차이를 보였다. 또한 정신건강상태를 문항별로 4점 만점에 평균을 구해본 결과, 두 지역 모두 신체화 (농촌: 1.69, 도시: 1.51), 우울증(농촌: 1.64, 도시: 1.37) 강박증(농촌: 1.33, 도시: 0.99)의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정신건강상태와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농촌지역은 성별, 연령, 배우자유무, 종교, 교육정도, 경제수준, 자녀수, 동거유형, 주관적 건강상태, 용돈상태, 여가활동참여에서, 도시지역은 성별, 배우자유무, 종교, 경제수준, 동거가족수, 동거유형, 주관적 건강상태, 주거상태, 용돈상태, 여가활동참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정신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중회귀 분석 한 결과, 농촌지역은 가족지지정도, 주관적 건강상태, 종교, 성별, 연령, 경제수준의 6문항이 43%의 설명이 가능하였고, 도시지역은 가족지지정도, 주관적 건강상태, 경제수준의 3문항이 51%의 설명이 가능하였다. 가족지지정도와 정신건강상태와는 농촌지역 -0.4555, 도시지역 -0.6446으로 높은 상관을 보였고, 정신건강 항목중에서 가족지지와 높은 상관을 보인 항목은 농촌지역은 우울증 -0.5036, 정신증 -0.4265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도시지역은 정신증 -0.642, 우울증 -0.5955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노인의 정신건강에 가족의 지지정도가 크게 작용함을 알 수 있었고, 또한 노이니 처한 거주지역과 일반적 특성에 따라 가족지지정도와 정신건강상태가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노인문제에 있어서 농촌 노인을 중심으로 한 대응책이 시급히 요구되며, 노인간호에 있어서 가족을 통한 지지적 간호중재와 거주징역에 따른 간호전략을 수립해야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