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ubjective Health Status, Attitude toward Death and Spiritual Well-being of Nurses

간호사의 주관적 건강상태, 죽음에 대한 태도 및 영적 안녕

  • Received : 2013.07.09
  • Accepted : 2013.08.27
  • Published : 2013.10.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evel and correlation of subjective health status, attitude toward death and spiritual well-being of nurses. The subjects were 338 nurses in two university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area.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alize questionnaires regarding subjective health status, attitude toward death and spiritual well-being from March to May in 2013. Data were processed with SAS for Windows statistics program. For analysis,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performed. Nurses had negative attitudes toward death according to age, marital status, years of employment and job title, while spiritual well-being was different according to age, marital status, religion, education, years of engagement in clinical works, department, and job title. The higher subjective health of nurses was, the more positive their attitudes toward death were. The higher subjective heath of nurses was and the more positive their attitudes toward death were, the higher their spiritual well-being was. This study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itudes toward death and spiritual well-being and the health status subjectively recognised by nurses, and it is meaningful in that this study prepared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an education program for spiritual nursing care or terminal care.

본 연구는 간호사의 주관적 건강상태, 죽음에 대한 태도 및 영적안녕의 수준과 그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대상은 서울 및 경기지역에 소재한 2개 대학병원의 간호사 338명이었다. 자료는 2013년 3월부터 5월까지 주관적 건강상태, 죽음에 대한 태도 및 영적 안녕에 대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는 SAS Window용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간호사의 연령, 배우자 유무, 교육 수준, 임상 근무경력, 근무 부서와 직위에 따라 주관적 건강상태에 차이가 있었고, 연령, 배우자 유무, 임상 근무경력, 직위에 따라 죽음에 대한 태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연령, 배우자, 종교, 교육수준, 임상 근무경력, 근무부서와 직위에 따라 영적 안녕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간호사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높을수록 죽음에 대한 태도는 긍정적이었고, 주관적 건강상태가 높을수록, 죽음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영적 안녕은 높았다. 본 연구는 간호사들이 주관적으로 인지하는 건강상태와 죽음에 대한 태도 및 영적 안녕과의 관련성을 파악하였으며 영적간호 또는 임종간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성례, 이병숙, "임상간호사의 임종환자 간호체험", 간호행정학회지, 제7권, 제2호, pp.237-249, 2001.
  2. 최지윤, "간호사, 비말기 암환자 및 말기 암환자가 지각한 간호요구의 중요도와 제공정도에 대한 비교", 대한간호학회지, 제35권, 제6호, pp.1135-1143, 2006.
  3. 김연희, "말기암 환자에 대한 간호사의 부담감과 태도 연구", 종양간호학회지, 제1권, 제1호, pp.65-74, 2010.
  4. A. E, Stewart, J. H, Lord, and D. L. Mercer, "A survey of professionals' training and experiences in delivering death notifications," Death study, Vol.24, No.7, pp.611-631, 2000. https://doi.org/10.1080/07481180050132811
  5. R. Quattrin, A, Zanini, E. Nascig, M. Annunziata, L. Calligaris, and S. Brusaferro, "Level of burnout among nurses working in oncology in an Italian region," Oncology Nursing Forum, Vol.33, No.4, pp.815-820, 2006. https://doi.org/10.1188/06.ONF.815-820
  6. 김혜영, 윤은자, "간호사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자원 동원성과 지각된 건강상태", 임상간호연구, 제18권, 제1호, pp.17-26, 2010.
  7. 이영란, 김명자, "초기성인기 여성의 건강생활습관과 주관적 건강상태 추이조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23권, 제2호, pp.199-206, 2009.
  8. A. L. Unden and S. Elofsson, "Do different factors explain self-rated health in men and women?," Gender Medicine, Vol.3, No.4, pp.295-308, 2006. https://doi.org/10.1016/S1550-8579(06)80218-4
  9. 김숙남, 최순옥, "간호사의 죽음불안과 영성",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6권, 제1호, pp.101-110, 2010. https://doi.org/10.5977/JKASNE.2010.16.1.101
  10. 임송자, 송선희, "죽음에 대한 태도가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5호, pp.243-255,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5.243
  11. H. M. Chochinov and B. J. Cann, "Intervention to enhance the spiritual aspects of dying," Vol.8, No.1, pp.S103-S115, 2005.
  12. 이윤희, 간호사의 영적 안녕과 영적 간호수행과의 관계, 공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3. 강성례, "영적 간호의 개념분석", 대한간호학회지, 제36권, 제5호, pp.803-812, 2006.
  14. M. A. Burkhardt, "Spirituality: an analysis of the concept," Holistic Nursing Practice, Vol.3, No.3, pp.69-77, 1989. https://doi.org/10.1097/00004650-198905000-00011
  15. Y. C. Hasiao, H. F. Wu, L. Y. Chien, C. M. Chiang, Y. H. Hung, and H. Peng, "The differences in spiritual health between non-depressed and depressed nurses," J. of Clinical Nursing, Vol.21, No.11, pp.1736-1745, 2012. https://doi.org/10.1111/j.1365-2702.2011.03962.x
  16. 윤매옥,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영적안녕과 영적간호 수행",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제12권, 제2호, pp.72-79, 2009.
  17. 성미혜, "간호사의 영적간호수행에 대한 영적안녕의 예측정도", 종양간호학회지, 제9권, 제1호, pp.15-22, 2009.
  18. 우영화, 김경희, 김기숙, "간호사의 죽음불안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및 임종간호 수행", 한국 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제16권, 제1호, pp.33-41, 2013.
  19. 유래경,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임종간호 수행, 한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20. 이강오, 윤현경,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자아존중감, 영적 안녕, 우울 및 삶의 질과의 상관 관계", 조선의대논문집, 제31권, 제2호, pp.85-99, 2006.
  21. 박양은, 호스피스간호사의 영적 안녕과 죽음에 대한 태고 간의 관계, 부산가톨릭대학교 생명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2. 이명선, "임종환자를 돌보는 병원간호사의 경험: 감정에 충실하면서 자신 추스르기", 대한간호학회지, 제33권, 제5호, pp.553-561, 2003.
  23. F. Faul, E. Erdfelder, A. G. Lang, and A. Buchner,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39, No.2, pp.175-191, 2007. https://doi.org/10.3758/BF03193146
  24. A. Nakajima, S. Kamitsuj, A. Saito, E. Tanaka, K, Nishimura, N. Horikawa, N. Ozaki, T. Tomatsu, M. Hara, N. Kamatani, and H. Yamanaka, "Disability and patient's appraisal of general health contribute to depressed mood in rheumatoid arthritis in a large clinical study in Japan," Modern Rheumatology, Vol.16, No.3, pp.151-157, 2006. https://doi.org/10.1007/s10165-006-0475-5
  25. L. J. Collett and D. Lester, "Fear of death and the fear of dying," J. of Psychology, Vol.72, pp.179-181, 1969. https://doi.org/10.1080/00223980.1969.10543496
  26. D. Lester and A. Abdel-Khalek, "The Collett-Lester fear of death scale: a correction," Death Study, Vol.27, No.1, pp.81-85, 2003. https://doi.org/10.1080/07481180302873
  27. 서혜경, 노인 죽음학개론, 경춘사, 2009.
  28. M. E. Venegas, O. S. Alvarado, and O. Barriga, "Validation of Colletti-Lester's Fear of death scale in a sample of nursing students," Rev. Latino-American Enfermagem, Vol.19, No.5, pp.1171-1180, 2011. https://doi.org/10.1590/S0104-11692011000500015
  29. A. H. Peterman, G. Fitchett, M. J. Brady, L. Hermandez, and D. F. Cella, "Measuring spiritual well-being in people with cancer: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chronic illness therapy-spirituality well-being scale(FACIT Sp)," Annals of Behavioral Medicine, Vol.24, No.1, pp.49-58, 2002. https://doi.org/10.1207/S15324796ABM2401_06
  30. 서순이, 이정순, "일지역 직장근로자의 골다공증에 대한 지식과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골다공증 예방 건강증진 행위에 미치는 영향", 근관절건강학회지, 제19권, 제5호, pp.340-349, 2012.
  31. 박안숙, 손미경, 조영채, "대학병원 병동 및 수술실 근무 간호사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피로 수준에 관련된 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4권, 제4호, pp.1781-1791, 2013.
  32. 어단연, 간호사의 죽음 불안과 임종간호에 대한 태도, 부산가톨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33. 김영희, 유양숙, 조옥희, "간호대학생의 말기환자에 대한 생명의료윤리 인식과 죽음에 대한 태도",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제16권, 제1호, pp.1-9, 2013.
  34. 한미정, "대처방식, 내외통제성, 자아존중감에 따른 죽음불안의 발달적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21권, 제2호, pp.179-198, 2002.
  35. 한미정, 최정윤, "삶의 의미 수준과 죽음 불안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학회, 제11권, 제2호, pp.167-181, 1999.
  36. S. Zyga, M. Malliarou, M. Lavdanitr, M. Athanasopoulou, and P. Sarafis, "Greek renal nurses' attitudes towards death," J. of Renal Care, Vol.37, No.2, pp.101-107, 2011. https://doi.org/10.1111/j.1755-6686.2011.00210.x
  37. K. S. Dunn, C. Otten, and E. Stephens, "Nursing experience and the care of dying patients," Oncology Nursing Forum, Vol.32, No.1, pp.97-104, 2005. https://doi.org/10.1188/05.ONF.97-104
  38. M. Wasner, C. Longaker, M. J. Fegg, and G. D. Borasio, "Effects of spiritual care training for palliative care professionals," Palliative Medicine, Vol.19, No.2, pp.99-104, 2005. https://doi.org/10.1191/0269216305pm995oa
  39. L. Y. Chung, F. K. Y. Wong, and M. F. Chan, "Relationship of nurses' spirituality to their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spiritual care," J. of Advanced Nursing, Vol.58, No.2, pp.158-170, 2007.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7.04225.x
  40. 류현주, 간호사의 영적 건강, 정신 건강, 죽음 인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41. 김순희, 김동희, 손현미, "임상실습경험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 비교",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제14권, 제3호, pp.144-151, 2011.
  42. 이현주, 간호대학생의 영적안녕과 죽음에 대한 인식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제7권, 제1호, pp.29-36, 2004.
  43. N. C. Facione and P. A. Facione, "Perceived prejudice in healthcare and women's health protective behavior," Nursing Research, Vol.56, No.3, pp.175-184, 2007. https://doi.org/10.1097/01.NNR.0000270026.90359.4c

Cited by

  1. Nurses' Spirituality and Attitude toward Terminal Care in Geriatric Hospital vol.13, pp.12, 2015, https://doi.org/10.14400/JDC.2015.13.12.347
  2. Attitudes towards Death and Euthanasia among Nurses and Nursing students : In Convergence era vol.13, pp.6, 2015, https://doi.org/10.14400/JDC.2015.13.6.213
  3. Perception of Good Death and Attitudes toward Death between ER Nurses and Coroners vol.18, pp.1, 2015, https://doi.org/10.14475/kjhpc.2015.18.1.16
  4. The Effects of Attitude to Death in the Hospice and Palliative Professionals on Their Terminal Care Stress vol.18, pp.4, 2015, https://doi.org/10.14475/kjhpc.2015.18.4.285
  5. Survey on Relationship among Health Relating Factors Sasang Constitution and Stress vol.36, pp.3, 2015, https://doi.org/10.13048/jkm.15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