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jective Achievement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35초

Strength of Character for the Fusion Age "Grit": Research Trend Analysis: Focusing on Domestic,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 Kwon, Jae S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8권1호
    • /
    • pp.166-175
    • /
    • 2019
  • Grit, a concept conceived in 2007 by Duckworth and others in the United States, is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that focuses on growth and development through individual strengths. Recently, "Grit", which means patience and enthusiasm for long-term goals, has emerged as a key factor of personality strength. In Korea, Joo-hwan Kim (2013) was the first to conceptualize and study the subject of Grit. However, there have been no overview studies that systematically summarize the overall trends and flow in the research of Grit so far. There have been 147 research papers on Grit published so far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trend analysis on the subject of Grit by analyzing forty-three (43)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thus presenting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on Grit through careful analysis. In the studies conducted, it was found that Grit is a very significant variable linked to self-efficacy. It is also a subjective belief that can help an individual achieve his/her educational goals, and go through failure resynchronization. In addition, Grit is very significant as a practical core indicator of how fusion talent is fostered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more in-depth research from the viewpoints of workplace learning, experiential learning, or informal learning, as well as research into Grit characteristics.

The Approaches of Positive Experience Design on IoT Intelligent Products

  • Wu, Chunmao;Xu, Huayuan;Liu, Ziya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5권5호
    • /
    • pp.1798-1813
    • /
    • 2021
  • This paper proposes a positive experience design approach for Internet of Things (IoT) intelligent products to improve users' subjective well-being in the field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First, the authors selected six target users and taking the Xiaomi IoT intelligent products for the research objects and conducted a thorough observation on how the target users used IoT intelligent products in their own homes over two weeks via a home-visiting interview, group diary, and focus group. Second, they constructed an individual activities table for the participants' IoT intelligent product experience using a hierarchical task analysis (HTA). Third, two researchers sorted out the sub-tasks of happiness in the HTA table. Finally, the authors found the positive experience design approach of IoT intelligent products. The positive experience design approach of IoT intelligent products is proposed from focusing on the personal pleasure experience to individual life meaningful design and group social relationship design, including individual pleasure experience, personal goal realization, group needs satisfaction and the harmony of group relations. The paper uses the two design examples of an interactive kettle and a harmonious chair to further discuss the feasibility of the design approach. In the era of big data, it is helpful for designers to use this design approach to improve the users' sense of sustainable pleasure, achievement perception of their future goal realization, and the well-being of the group's social relationships.

한국 청소년의 편의식품 섭취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제15차 (2019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를 이용하여 (Factors influencing the consumption of convenience foods among Korean adolescents: analysis of data from the 15th (2019)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 박슬기;이지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3권3호
    • /
    • pp.255-270
    • /
    • 2020
  • 본 연구는 2019년 제15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청소년들의 편의 식품 섭취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인구사회학적 특성, 정신건강 특성, 그리고 건강행태 특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청소년들의 편의식품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인 성별, 주관적 학업성적, 주관적 경제상태뿐만 아니라 정신건강 요인인 스트레스 인지, 주관적 수면 충족, 우울감 경험, 자살 생각이 유의한 변수로 확인되었으며, 건강행태 요인으로 아침식사 결식, 패스트푸드, 단 음료 섭취 등과 같은 식생활 행태뿐만 아니라 흡연, 음주, 약물복용 등의 요인도 청소년들의 편의식품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편의식품 섭취를 줄이기 위해서는 가정에서는 청소년들이 아침식사, 채소, 과일, 우유 섭취와 같은 건강한 식습관 및 충분한 수면 습관을 형성하도록 돕는 자녀교육이 필요하며, 학교에서는 청소년들이 건강한 식품을 선택하고 손쉬운 건강식을 스스로 만들어 먹을 수 있는 기술을 습득하도록 돕는 영양교육이 필요하다. 특히 편의식품 섭취 빈도가 높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금연, 금주와 같은 건강증진 행위를 실천하도록 돕는 건강교육이 함께 실시될 필요가 있다. 정부에서는 청소년들에게 건강한 식품을 제공할 수 있는 소매 업체가 우선적으로 학교 주변에 위치할 수 있도록 법률을 제정하거나, 학교 주변 소매 환경에서 양질의 편의식품이 판매될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에는 청소년의 편의식품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종단적으로 연구할 것을 제언한다.

일 도시지역 청소년의 자살사고 유병률과 위험인자에 대한 연구 (Prevalence and Related Risk Factors of Suicidal Ideation in Urban Adolescents)

  • 이태호;이유진
    • 수면정신생리
    • /
    • 제21권2호
    • /
    • pp.61-68
    • /
    • 2014
  • 목 적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살사고 고위험군의 비율과 청소년에서 자살사고와 관련된 예측인자에 대해서 조사해 보았다. 방 법 : 일 도시지역 중고등학생 3,691명(남자 2,159명, 여자 1,532명, 평균연령 $15.31{\pm}1.46$)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들은 사회인구학적 정보를 비롯한 학급성적, 신체적 혹은 정신 질환유무, 평일 평균수면시간, 평일과 주말 사교육시간, 주관적인 상담의 필요성, Beck 우울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이하 BDI), Reynolds 자살생각척도(Reynolds' suicide ideation questionnaire, 이하 SIQ)에 대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결 과 : 전체 대상자 중 168명(4.6%)이 SIQ 62점 이상의 자살사고 고위험군으로 분류되었다.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는 여성(p = 0.002), 더 어린나이(p < 0.001), 낮은 학교성적(p = 0.043), 높은 BDI 척도 점수(p < 0.001)가 자살사고 고위험군의 예측인자로 나타났다. 자살사고 고위험군에서는, 더 어린나이(p = 0.045)와 높은 BDI 점수(p < 0.001)가 높은 SIQ 점수와 연관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본 연구 결과는 여성, 어린나이, 낮은 학교성적, 우울감이 청소년 자살사고의 고위험군의 예측인자였고, 특히 자살사고 고위험군 중에서는 어린나이와 우울감이 심한 청소년들에게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함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청소년 자살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위험요인을 가지고 있는 청소년들에 대해 적극적인 관심과 개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사회복지사직에 대한 사회복지학과 학생의 인식유형 (Analysis of Cognition Pattern of a College Student's Occupational View on Social Welfare Position)

  • 오윤수;정현태;이성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285-297
    • /
    • 2014
  •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과 4학년생이 인식하는 사회복지사직에 관한 인식유형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직을 준비하는 학생들의 교육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Q방법을 적용하여, 경상남도와 경상북도 4년제 대학교 사회복지학과 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사회복지사직에 대한 주관적인 반응을 객관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학과 4학년 학생들의 사회복지사직에 대한 직업관 인식유형은 세 가지로 유형화될 수 있었다. 제 1 유형은 '직무비관적 현실회피형'으로 사회복지사직을 직무소진이 많고 업무량이 높다고 인식하며, 사회복지사직의 의미나 소명에 대해 비관적이다. 제 2유형은 '실천중심적 전문직추구형'으로 사회복지사직의 실천적인 측면을 중요시 여기며 전문직으로서의 사회복지사직을 추구하는 동시에 이를 위한 정책이나 제도에 의존하는 입장이다. 제 3 유형은 '가치지향적 자아실현형'으로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가치나 윤리의 필요성을 중시하며, 사회복지사직을 통한 자아실현을 중요하게 인식한다. 전체적으로 보아 사회복지학과 4학년 학생들의 사회복지사직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이지 못하며, 자아실현이나 전문직으로서의 자부심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볼 때 사회복지사직의 가치에 대한 교육이 더 필요하다고 본다.

청소년의 정신건강 관련 요인 연구 - 2019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 (Factors Related to Mental Health of Juveniles - Using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19 -)

  • 김경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475-481
    • /
    • 2020
  • 본 연구는 2019년 청소년 건강행태조사 온라인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정신건강 관련 특성을 알아보고 그에 따른 주관적 건강인지, 평상시 스트레스인지, 자살생각·자살계획·자살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체 청소년 대상자는 57,303명이며, 그 중 고등학생 27,919명(48.7%), 중학생이 29,384명(51.3%)이었다. 주관적 건강인지, 평상 시 스트레스 인지, 최근 12개월 동안 자살생각·자살계획·자살시도 등의 정신건강과 관련된 요인을 찾아보기 위해 연구대상 청소년들의 일반적인 특성 및 건강관련 특성 뿐 아니라 그들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의 성별, 학교구분, 거주형태(부모님과의 동거여부), 경제상태, 학업성적, 주중 인터넷 사용시간, 흡연경험, 음주경험, 약물경험, 학교폭력치료경험, 성관계경험, 최근 7일 동안 잠으로 피로회복 정도, 최근 12개월 동안 슬픔 및 절망감 경험 등의 변수를 이용한 결과 모든 변수들이 그 정도는 다르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p<0.05).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건강행태 개선 및 정신건강 관련 예방적 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삼고자 한다.

학생기록물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유형 연구 - 전남대학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Recognition Type for Student Records: Focused 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강혜라;장우권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95-123
    • /
    • 2017
  • 이 연구는 학생기록물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 주체적 생산자인 대학생의 인식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제기하고 Q 방법론을 통해 학생기록물의 중요도에 관한 주관적인 인식(Q1)유형과 학생기록물에 관한 주관적인 인식(Q2) 유형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남대학교의 학생을 대상으로 학년별로 8명씩 설문과 인터뷰를 진행한 결과, Q1 유형은 집단적 증거형, 주체적 활동형, 민주적 증거형, 성취 중시형이 도출되었으며, Q2 유형은 공동체 역사적 가치형, 개인적 소유형, 역사적 전문가 관리형, 역사적 활용 가치형, 비역사적 보존형이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다양한 기록물 속성을 포괄할 수 있는 관점에서 학생기록물의 관리방안의 수립이 필요하다는 점과 둘째, 공동체 아카이브의 관점에서 학생기록물의 관리방안이 수립되어야 한다는 점, 셋째, 학생들이 생산한 학생기록물의 보존을 위한 전략적인 방안(학생기록물의 생애주기를 고려한 보존을 위한 캠페인 등)이 필요함을 제안했다.

성인초기 한국인의 바쁨과 주관적인 삶의 속도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Busyness and Subjective Pace of Life among Koreans in Early Adulthood)

  • 우아미;정태연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7권4호
    • /
    • pp.529-559
    • /
    • 2021
  •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큰 사회적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는 바쁨에 대해 사람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경험하고 있는지와 바쁨과 느림의 삶의 속도를 추동하는 사회 심리적 동기들을 살펴보았다. 나아가 바쁨과 느림의 개인의 삶의 속도에 따른 현실에서의 적응요소에 대해 심층적으로 탐구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은 20·30대 미혼남녀 21명의 심층면접 자료를 이용한 현상학적 연구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그 결과 바쁨에 대한 인식 및 경험들은 긍정적인 부분과 부정적인 부분이 공존하고 있으며 바쁨과 느림의 삶의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심리적 동기의 구성 요소들은 '(바쁨/쉼)의 긍정적 가치 내면화', '(미래/현재) 중심적', '바쁨의 일상화/선택과 집중', '성격특성'이 도출되었다. 또한 바쁘게 사는 사람과 느리게 사는 사람들의 공통적인 현실 적응요소는 '자기 선택적', '성공적인 시간관리', '심리적 건강 유지'가 차별적 요소는 '성취감'과 '자기특성 이해 및 수용'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한국사회에서 바쁨에 부여된 가치와 의미를 사회심리학적 관점에서 논의하였으며 삶의 속도와 관련된 기존 연구 및 논의들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해 주었다. 또한 여러 팔로업(follow up) 가능한 연구들을 제안하였다.

청소년활동이 청소년의 개인, 가족, 학교측면 결과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Youth Activity by Aspects of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Life on Youths -Focusing on Mediated Effects of Self-Esteem -)

  • 김순규;최혜정;박신애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4권4호
    • /
    • pp.189-207
    • /
    • 2012
  • 본 연구는 청소년활동이 청소년의 개인과 가족, 학교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더불어 자아존중감을 매개변수로 고려하여 청소년의 건강한 발달에 청소년활동이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지역 중, 고등학교 청소년 1,088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최종 1,063명의 자료를 SPSS 19.0과 Amos 18.0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청소년활동은 청소년의 개인과 가족, 학교차원에 정(+)적인 방향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활동은 개인차원에서 자아존중감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과 학교차원에서는 자아존중감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소년활동이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를 자아존중감이 매개한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 결론에서는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청소년 활동의 활성화 방안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 PDF

공공발주기관의 ERP 적용효과 평가방안 - 사례연구중심으로 (Effect of ERP Implementation for Public Owner - Based on Case Study)

  • 김현영;박희성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2호
    • /
    • pp.749-755
    • /
    • 2013
  • 기업의 생산성, 품질향상 및 원가절감 등을 위해 공공기업에서도 ERP시스템을 도입하여 활용중이다. 본 논문은 ERP 도입 후 업무프로세스 개선 정도를 분석하여 ERP 도입 성과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K사를 대상으로 업무프로세스 개선이 어느 정도 향상 되었는지 설문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AHP기법을 이용하여 평가 방안을 제시하고 분석하였다. 설문을 통해 각 업무 분야별 가중치를 결정하고, 업무개선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업무효율성, 업무처리 투명성, 정보공유도 향상, 사용편의성에 대해 ERP 도입 후 효과를 평가하였다. K사가 ERP 도입 초기임을 감안하면 ERP도입의 성과가 발현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스 개선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난 분야는 인사관리로 직원들이 실질적으로 활용 가능한 업무프로세스들이 포함되어 있어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업무개선정도 지표인 정보공유도 향상은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음으로써 추후 ERP시스템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중심의 주관적인 평가를 AHP기법을 이용하여 ERP 도입성과를 정량화하여 보여줌으로써 공공발주기관의 ERP 도입 성과를 측정 평가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