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ject matter knowledge

검색결과 169건 처리시간 0.026초

수학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에 대한 연구의 메타적 검토 (A Meta Review of the Researches on PCK in Mathematics)

  • 박경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8권1호
    • /
    • pp.93-105
    • /
    • 2009
  • Considering the fact that PCK(pedogogical content knowledge) tends to guarantee the identity of mathematics education as a discipline and the teacher professionalism, PCK is one of the core concepts in the research on subject matter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es on the definition and the components of PCK in mathematics. Based on the review, this study identified 3 knowledges which consist PCK; knowedge of mathematic content, knowledge of learner's understanding, and knowledge of teaching. Then this study provided some examples of PKC in the topic, the limit of sequences, and introduced the LMT and TEDS-M items, which were designed to measure the teacher's PCK. Lastly, this study attempted to evaluate the items on mathematics education included in the Teacher Employment Test administered for pre-service/. teachers in Korea based on PCK.

  • PDF

Impact of Teachers’ Overcoming Experience of Threshold Concepts in Chemistry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Development

  • Park, Eun Jung
    • 대한화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308-319
    • /
    • 2015
  • As a follow-up study to identify references for threshold concepts in science, 20 high school chemistry teachers were interviewed. Seven concepts were identified as threshold concepts. The data revealed that teachers overcome the thresholds while they are teaching as well as learning during their school years. This explains that the mastery experience of threshold concepts involve not only the process of creating subject matter knowledge of a learner but also the reflection on or preparation for teaching. Hence, the current study proposes that a strong relationship exists between the mastery experience of threshold concepts and the development of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In this regard, findings from this study will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reshold concepts and suggests the value of mastery experience of threshold concepts in terms of PCK development.

Ways to Incorporate Key Competencies in the Science Curriculum

  • Kwak, Young-Sun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50-458
    • /
    • 2012
  • This study explored ways to implement a competencies-based curriculum in schools by reviewing exemplary cases that have introduced Key Competencies (KCs) in the school science curriculum. Since the OECD redefined key competencies as 'what people should know and do in order to lead a successful life in a well-functioning society', many countries have emphasized the use of a competencies-based curriculum. Foreign and domestic classroom cases, which have used a competencies-based curriculum in science teaching,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open-ended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principals, we investigated changes of teachers' professional knowledge and practice that were evident as a result of the implementation of competencies-based curriculum in science class. Foreign science teachers suggested ways to relate competencies-based curriculum and science curriculum including maintaining a balance between competencies-based curriculum and content-based curriculum. They also integrated KCs into all subject-based curriculums, gave priority to KCs over subject matter knowledge, and developed KCs through teaching science contents that students wanted to learn. On the other hand, Korean science teachers suggested reconstructing competencies-based curriculum by extracting common attributes from the existing subject areas. They also made KCs realized through content teaching, and developed various KCs within science contexts. Implications of the competencies-based curriculum for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were discussed at the end.

주제별 특성화서비스 및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현장사서의 의견 조사 연구 (An Investigation on the Opinion of the Librarian concerning the Subject-Specialized Service and Librarianship)

  • 노영희;오의경;심효정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21-35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장의 사서들을 대상으로 도서관특성화 및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의견을 조사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도서관특성화 서비스를 담당해야 할 사서들의 업무 현황과 환경을 이해하는데 있다. 선행연구들을 기반으로 조사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전국의 공공도서관, 대학도서관, 전문도서관 사서들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392명의 사서가 설문에 응답하였다. 주요 결과로는 특성화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특성화서비스 수행 시 가장 어려운 점은 주제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다는 것이며, 특성화 서비스를 위한 도서관의 환경도 충분하지 않다고 보았다. 특성화서비스는 주제전문사서가 주도해야 하며,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자격기준은 필요하며 자격제도는 국가가 관리해야 한다고 하였다.

예비 지구과학교사들의 선행지식과 개발 절차가 교수학습 자료에 미치는 영향: 교정에 적용할 수 있는 자료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Prior Knowledge and Development Procedure to Teaching Materials Developed by the Pre-service Earth Science Teachers-Focused on the Teaching Materials in the Schoolyard)

  • 정덕호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40-151
    • /
    • 2011
  • 본 연구는 예비 지구과학교사들이 개발한 교정 교수학습자료의 문제점과 개발 과정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찾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에 소재하는 사범대학 과학교육학부(지구과학전공)에 재학 중인 54명(남자 18명, 여자 36명)으로부터 258개의 교정 교수학습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를 분석한 결과 교정 교수학습자료는 개발하는 절차와 예비 지구과학교사들의 선행 지식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었다. 교정 탐색 우선형은 이미 형성된 선행 지식 범위 내에서 자료를 개발하기 때문에 이들이 개발한 자료는 교육과정의 특정 영역에 편중되어 있다. 이에 비해 개념 탐색 우선형은 대부분의 예비 지구과학교사들이 접근하지 못한 영역의 자료를 개발하였다. 올바른 선행 지식을 형성하지 못한 예비 지구 과학교사들은 잘못된 소재를 선택할 뿐 아니라 개념 연결에서도 오류를 범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예비 지구과학교사들이 지질현상에 대한 과학개념을 형성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생성과정을 무시하고 소재의 형태만을 주로 고려하고 있다. 그러므로 지질조사 및 고체지구과학 분야에 대한 충분한 학습이 가능하도록 지구과학교사 양성 교육과정에 충실히 반영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예비 지구과학교사들의 지질학적 내용지식, 야외 교수학습 전략, 자료개발 절차 등이 하나의 통합적인 개념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예비초등교사의 덧셈과 뺄셈에 관한 교수학적 지식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addition and subtraction)

  • 이종욱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3권4호
    • /
    • pp.447-462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초등교사의 덧셈과 뺄셈에 대한 교수학적 지식이 어떠한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29명의 예비초등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자료는 개방형 답을 하는 질문지를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초등교사들은 결과를 구하는 덧셈이나 뺄셈식을 문장제로 표현하는 것에는 능숙하였으나 감수나 가수를 구하는 식을 문장제로 표현하는 것에는 의미론적 구성에 어려움을 나타내었다. 또한 합병과 비교의 상황과 같이 두 집합의 관계에 대한 이해가 매우 부족함을 보여주었다. 교수학적 방법으로는 알고리즘에 의한 절차적 지식을 주로 가지고 있었으며 각 지식들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개념적 지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은 초등교사 양성 대학의 수학과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가 될 것이다.

  • PDF

중학교 남녀학생별 가정교과에 대한 인식 및 학습효과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The Learning Effects and the Cognition of Home Economics by Sex in Middle Schools)

  • 신동순;김상희;오화자;정효숙;정혜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71-82
    • /
    • 1997
  • The aims of this research study is to clear the differences of the learning effects and the cognition of Home Economics by sex in the middle school and to collect the future-oriented educational dates, after implementing the 6th education curriculu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1. Most of students had the cognition that Home Economics is a subject matter of a needful knowledge and skill for the family life, half students a cultural subject matter for the modern life. The former was supported by female students, the latter by male students. 2. Most of students were interested in actual training fields of cooking and hand-sewing, had a strong interest about a field of physical and social-psychological growth. The differences by sex interest about significant in these fields. 3. Most of students had positive responses in the learning effects of Home Economics. The most useful field was cooking and the worst was the structure and method of sewing machine. 4. The shortage and the dissatisfaction in the learning of Home Economics were lacking of the actual training hours, the old-fashioned teaching methods and the shortage of teaching materials etc.

  • PDF

한국 사범대학 수학교육과의 교육과정 및 교수방법 분석 (An analysis on the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s of Korean mathematics education departments)

  • 권오남;김아미;조형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1권3호
    • /
    • pp.281-300
    • /
    • 2012
  • This study has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mathematics education departments by analyzing its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s. We analyzed data set of the number of faculty and students, curricula, textbooks and instructional methods among 23 mathematics education department in Korea. The data reveals that the curricula of the universities of education has shown that more content knowledge subjects are taught than pedagogy knowledge subjects.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re is increasing emphasis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addition, the curricula of mathematics education departments deal with various aspect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What matters is whether the system works for developing a sound and deep understanding of fundamental aspects of the subject matter in future mathematics teac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point to the importance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to the essential components that can promote further understanding of effective teaching for preparing future teachers in mathematics education departments.

응급구조사 보수교육의 교과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for EMT Continuing Education)

  • 최용철;이창섭;왕순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46-61
    • /
    • 2003
  • 응급구조사는 매년 그들이 가지고 있는 지식과 기술을 유지하고 신장시키기 위해 일정시간 보수교육을 받도록 되어 있다. 보수교육과정은 급변하는 의료환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편성ㆍ운영되어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는 합리적인 교육과목 및 교과내용을 포함하는 표준교과과정이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표준교과과정을 개발하기 위해 선진국의 다양한 보수교육과정들을 분석하고 교육욕구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 (a) 교과목의 수를 늘리고 내용을 세분화시켜야 한다. (b) 과목별 합리적인 수업시간이 배정되어야 한다. (c) 현장실무에 적용가능한 교과과정이 편성되어야 한다. (d) 보수교육의 회수를 늘려서 교육기회를 확대하여야 한다. (e) 교육여건을 개선하고 교육결과에 대한 평가와 환류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개선방안들을 토대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보수교육의 표준교과과정(안)을 제시하였다.

과학 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정합성 및 균형성에 대한 예비 교사 및 현직 교사의 인식 (Preservice and Inservice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n the Coherence and Balance of their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 이기영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7권1호
    • /
    • pp.23-39
    • /
    • 2013
  • 자신이 경험한 교사 양성 프로그램에 대한 과학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은 과학 교사가 어떻게 교육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개념화에 도움을 준다. 이러한 전제 하에 이 연구에서는 프로그램의 정합성과 균형성에 초점을 맞춰 예비 교사와 현직 교사의 과학 교사 양성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강원도 소재 사범대학의 과학 교사 프로그램을 이수한 20명의 예비 교사와 39명의 현직 교사가 참여 하였으며, 선택형 및 개방형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정합성에 대해 예비 교사와 현직 교사는 '보통' 정도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 계획 및 준비' 범주에서 가장 정합성이 높은 것으로, '직업적 책무' 범주에서 가장 정합성이 낮은 것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4개 범주 모두에서 예비 교사에 비해 현직 교사가 프로그램의 정합성을 더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학 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균형성에 대해 예비 교사와 현직 교사는 모두 이론적 요소에 비해 실천적 요소가 부족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현행 과학 교사 양성 프로그램이 임용 고사를 위한 교육과정으로서의 성격이 강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프로그램의 4개 영역(교과내용학, 교과교육학, 일반교육학, 교생실습)이 학교 현장과 보다 더 연계되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보다 정합적이고 균형적인 과학 교사 양성 프로그램을 위한 대안적 방법을 논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