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cloning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32초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 Bacillus CGTase의 표층발현 (Surface Display of Bacillus CGTase on the Cell of Saccharomyces cerevisiae)

  • 김현철;임채권;김병우;전숭종;남수완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18-123
    • /
    • 2005
  • B. stearothermophilus 유래의 CGTase 유전자(cgtS)를 보유하고 있는 재조합 plasmid pCGTS (4.8 kb)을 효모 표면 발현용 vector인 pYDl (GAL1 promoter)에 subcloning 하였다. 구축된 재조합 plasmid, pYDCGT (7.2 kb)는 S. cerevisiae EBY100에 형질전환하였고, tryptophan이 결여된 SD 배지에서 1차 선별된 형질전환체들을 YPGS배지에서 배양 후 활성 염색을 통하여 CD가 생 성 됨을 확인하였다. 배양시간과 효소반응시간에 따른 반응 산물을 TLC로 분석 한 결과, 배양 12시간째부터 효소활성이 나타났고, 반응 10분 이후부터 CD가 생성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CD 생성양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회분 배양한 결과 $25^{\circ}C$$30^{\circ}C$에서 CGTase의 최대 활성이 각각 21.3 unit/1 와 16.5 unit/1로 나타났고, plasmid 안정성은 각각 $86\%$$82\%$로 나타나 배양온도에 상관없이 plasmid는 비교적 안정하게 유지되었다.

Inverse PCR 기법(技法)을 이용(利用)한 양황철 DNA의 Regulatory Region의 탐색(探索) (Analysis of Upstream Regulatory Region from Populus nigra × P. maximowiczii by Inverse PCR Technique)

  • 손석규;현정오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3호
    • /
    • pp.334-340
    • /
    • 1998
  • 이 연구(硏究)는 promoter가 없는 외래(外來) 유전자(遺傳子)를 양황철의 genome에 인위적으로 삽입시킨 후 도입된 유전자(遺傳子)가 식물 프로모터의 영향으로 발현되는 현상을 이용하여 식물의 프로모터 혹은 유전자(遺傳子) 발현조절 염기서열(鹽基序列)을 분리,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형질전환된 세포의 선발을 위하여 nptII 유전자(遺傳子)를 선발 표지로 사용하였고, 발현되는 유전자(遺傳子)의 검정을 위한 reporter보는 GUS 유전자(遺傳子)를 사용하였다. 형질전환 후 재분화된 3클론 중 nptII 및 GUS의 발현에 모두 양성인 개체의 DNA에서 730bp 염기서열(鹽基序列)을 inverse PCR로 증폭 분리하여 클로닝하고 이의 염기서열(鹽基序列)을 구명하였다. 이 염기서열(鹽基序列)은 Eucalyptus gunnii의 CAD(Cinnamyl Alcohol Dehydrogenase) 유전자(遺傳子)와 전체적으로 약 88%의 상동성(相同性)을 보였다. 이 결과에 의하면 inverse PCR로 증폭된 부분은 포플러의 CAD 유전자(遺傳子)의 일부를 포함한 조절인자로 생각된다. 이렇게 클로닝된 DNA 염기서열(鹽基序列)과 GUS fusion된 합성 DNA를 particle bombardment 법을 이용하여 포플러 잎에 도입시킨 결과, 청색반점(靑色斑點)이 생성되는 것으로 보아, 분리된 부위가 식물체내에서 발현조절기능을 하는 일부분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Rotavirus VP6 유전자의 감자식물체내로의 도입과 형질전환체의 발현분석 (Introduction of VP6 Gene into Potato Plant by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and Analysis of VP6 Expression in Transgenic Potatoes)

  • 염정원;전재흥;정재열;이병찬;강원진;김미선;김철중;정혁;김현순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29권2호
    • /
    • pp.93-98
    • /
    • 2002
  • 바이러스 설사병의 원인인 VP6유전자를 감자에 형질전환 시키기 위하여 CaMV 35S promoter와 kanamycin 항생제 내성을 갖는 식물발현벡터 pMBP-1에 subcloning하고, 이 재조합 벡터를 A. tumefaciens LBA4404에 도입시킨 후, freeze haw방법을 이용하여 감자에 형질전환 시켰다. 공동배양된 감자의 잎절편은 2,4-D가 2.0 mg/L첨가된 배지에서 2일간 배양 후, 0.01 mg/L NAA, 0.1 mg/L GA$_3$, 2.0 mg/L Zeatin, 100.0 mg/L kanamycin, 500.0 mg/L carbenicillin이 첨가된 선발배지에서 재분화시켰다. 이 때 유도된 신초는 100.0 mg/L의 kanamycin이 포함된 배지에 옮겨준 후, 왕성한 생육을 위해 MS 기본배지에서 다시 배양하였다. 기내배양시 외부유전자의 도입에 의한 외형적인 변화는 찾을 수 없었으며, 형질전환체는 NPT primer를 사용한 PCR방법으로 1차선별 하였다. DIG 표지된 probe를 이용하여 total RNA를 분석한 결과 개체별로 발현양의 차이는 있었으나, 95% 이상의 안정성을 보였고, genomic DNA를 추출해 Southern blot hybridization했을 경우 1~3개의 copy수를 보임으로써 형질전환 식물체에 외래유전자인 VP6유전자가 안정적으로 도입되었음이 확인되었다.

Bacillus subtilis와 Bacillus megaterium에서의 $\beta$-1,3-glucanase 유전자의 발현 (Expression of a $\beta$-1,3-Glucanase Gene from Bacillus circulans in B. subtilis and B. megaterium)

  • 김기훈;김지연;김한복;이동석
    • 미생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53-258
    • /
    • 2001
  • Bacillus circulans KCT3004 기원의 $\beta$-1,3-glucanase 유전자를 함유한 재조합 플라스미드 pLM460과 pUB110을 이용하여 shuttle 플라스미드 pMLS1180을 제작하고 Bacillus 세포에 이동.발현시켰다. pLMS1180으로 형질전환된 B. subtilis와 B. megaterium은 효율적으로 $\beta$-1,3-glucanase를 생산하였고, 이 효소들은 세포의 증식과 비례하여 생산되었다. 형질전환체가 생산하는 $\beta$-1,3-glucanase의 최대 활성을 유전자 공여 균주인 B. circulans와 비교하여 보니, B. subtilis는 14배, B. megaterium은 5배 정도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대장균 형질전환체는 분비율이 7% 정도인데 반하여 B. subtilis 형질전환체는 생산된 효소를 전부, B. megaterium 형질전환체는 약 97%를 세포 외로 분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SDS-PAGE를 통해 대장균과 B. subtilis, B. megaterium에서 발현된 효소의 분자량을 분석해 보니 약 38,000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이들 형질전환체가 생산하는 $\beta$-1,3-glucanase는 laminarin에 작용하여 주된 산물로서 laminaribiose (G2), laminaritriose (G3) 이상의 다양한 laminarioligosaccharide들을 생산함이 확인되었다. pLMS1180의 각 숙주 내에서이 안정성을 살펴본 결과 B.megaterium에서는 88%, 대장균에서는 75%, B. subtilis에서는 48%로 나타났다.

  • PDF

벼의 arginine decarboxylase DNA clone의 재조합 및 염기서열 분석 (Molecular Cloning and Nucleotide Sequencing of a DNA Clone Encoding Arginine Decarboxylase in Rice (Oryza sativa L.))

  • 홍성희;정지웅;옥승한;신정섭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2호
    • /
    • pp.112-117
    • /
    • 1996
  • ADC는 diamine인 putrescine 생합성의 두가지 경로중에서 식물계에서 특히 중요한 효소이며, ADC 유전자는 E. coli, 귀리, 토마토 genome에서 이미 cloning된 바 있다. 벼 (Oryza sativa L.) 게놈 DNA의 PCR 증폭을 위해서 토마토와 E. coli의 ABC cDNA의 보존된 부분과 일치하는 두개의 degenerate oligonucleotides (17mer)를 인위 합성하였으며, 증폭의 결과 약 1 kbp 크기의 DNA가 관찰되었다. 증폭된 DNA 절편은 1,022bp 염기서열을 포함하고 있는 ORE (open reading frame)으로 확인되었다. 이 PCR product는 POEM-originated T vector에 재조합하였으며 PstI 제한효소로 약 500bp 크기로 절단하여 pGEM-3Zf(+/-) vector에 subcloning하였다. 벼 ADC clone의 염기서열은 귀리와 토마토 ADC cDNA 서열의 같은 부분과 각각 74%와 70%의 동질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예상되는 아미노산 서열은 귀리와 토마토 ADC 단백질과 각각 45%와 62%의 동질성이 관찰되었다. 귀리와 E. coli, 토마토와 귀리 그리고 토마토와 E. coli ADC 아미노산 서열에서 각각 34%, 47%, 그리고 38%의 유사성 정도가 보고된 것을 비교하여 볼 때, 벼와 귀리 및 토마토 사이의 유사성 정도는 다른 비교 보다도 월등히 높았다. 벼 유묘기 잎조직에서 추출한 RNA를 이용한 Northern blot 분석에서 ADC는 약 2.5kbp의 전사체로 발현됨이 확인되었다.

  • PDF

벼 흑조위축병 바이러스의 분자생물학적 연구 (A Molecular Study of Rice Black-Streaked Dwarf Virus)

  • 박종석;배신철;김영민;백융기;김주곤;황영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3호
    • /
    • pp.148-153
    • /
    • 1994
  •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주요 벼 바이러스로써 저항성 유전자원이 없어 현재까지 저항성 품종이 육성되지 못하고 있는 흑조위축병(Rice Black-Streaked Dwarf Virus, RBSDV)에 대한 유전정보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매개충인 보독 애멸구를 이용하여 이병주를 생산한 후 바이러스 입자를 순수 분리하여 전기영동한 결과 10개의 band를 확인하였다. RBSDV RNA로부터 역전사 효소를 이용 cDNA를 합성한 후 ${\lambda}gt11$에 삽입하여 cDNA library를 만들었다. 이 library에서 6개의 단편을 선발하였으며 그중 한 개의 clone(pRV3)은 hybridization을 통해 RBSDV 게놈 조각 3번 유래인 것을 확인하였다. pRV3의 염기서열을 결정한 결과 2개의 ORF의 일부분들을 갖고 있었으며 이것은 바이러스 저항성 작물개발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 Paenibacilius macerans 유래 cycloinulooligosaccha-ride fructanotransferase의 발현 (Expression of Paenibacillus macerans Cycloinulooligosaccharide Fructanotransferase in Saccharomyces cerevisiae)

  • 김현철;김정현;전숭종;최우봉;남수완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17-322
    • /
    • 2005
  • Paenibacillus macerans 유래의 cycloinulooligosaccharide fructanotransferase (CFTase) 유전자(cft)를 Saccharomyces cerevisiae SEY2102에 발현시키기 위해 대장균과 효모의 shuttle vector인 pYES2.0에 subcloning 하였다. 구축된 pYGECFTN (8.6 kb) plasmid를 S. cerevisiae SEY2102에 형질전환하였고, uracil이 결핍된 SD 배지에서 선별하였다. cft 유전자는 선별된 형질전환체(S. cerevisiae SEY2102/pYCECFTN)에서 GAL1 promoter 조절하에 성공적으로 발현되어 cyclofructan(CF)을 생성함을 TLC로 확인하였다. 그러나, 균체 외로의 효소 분비는 이루어지지 않았고 cytoplasm보다 periplasmic space에 많이 존재하였다 S. cerevisiae에서 발현된 P. polymyxa유래 CFTase보다 P. macerans 유래 CFTase의 CF 생성이 image analyzer로 확인한 결과, 더 많음을 알 수 있었다. 효소반응 5분째부터 CF가 생성됨을 확인하였고, 최적온도와 최적 pH는 각각 $45^{\circ}C$와 pH 8.0로 나타났으며, $55^{\circ}C$까지 효소활성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Dahlia tubers, chicory root, Jerusalem artichoke 등의 inulin 기질에 따른 반응산물 분석 결과, 모든 기질로부터 CF가 생산되었으며, dahlia tubers와 Jerusalem artichoke로부터 가장 효과적으로 생성되었다.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 Cycloinulooligosaccharide Fructanotransferase 유전자의 표층 발현 (Cell Surface Display of Cycloinulooligosaccharide Fructanotransferase Gene in Saccharomyces cerevisiae)

  • 김현진;이재형;김현철;김연희;권현주;남수완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2호통권82호
    • /
    • pp.241-247
    • /
    • 2007
  • Paenibacillus macerans 유래의 cycloinulooligosaccharide fructanotransferase (CFTase) 유전자(cft, 2832 bp, 103.8 kDa)를 효모 표층발현 vector인 pCTcon (GAL1 promoter)에 subcloning 하였다. 구축된 pCTECFTN (9.0 kb)를 숙주세포인 s. cerevisiae EBY100에 형질전환한 후, uracil이 결핍된 배지와 inulin 함유배지에서 선별하였다. cft 유전자는 GAL1 promoter에 의해 효모 형질전환체에서 성공적으로 발현되었다. inulin으로부터 cyclofructans (CFs)로 생산하는 효소적 능력으로부터 표층발현 유무를 확인하였다. YPDG배지에서 48시간 배양 후 분획한 균체는 5.52 unit/ l 의 활성을 보였다. CF 생산을 위한 효소의 최적 반응 조건으로 pH 8.0, 반응온도 $50^{\circ}C$, 기질농도 5%, 기질은 Jerusalem artichoke 등의 inulin과 표층 발현 CFTase 효소반응 결과, cycloinulohexaose (CF6), cycloinuloheptaose (CF7), 그리고 cycloinulooctaose (CF8)이 생성되었고, 이 중에서 CF6가 주 생성물이었다.

쌀눈 발아의 최적조건 확립 및 p53 항암 유전자의 발현 (Optimized Germination Conditions and Human p53 Expression of Rice Embryo)

  • 피경태;최주연;김근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58-163
    • /
    • 2015
  • 쌀의 쌀눈은 배유에 비해 단백질, 지방, 비타민 B1 등의 영양분을 더 많이 함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식물에서 발현 할 수 있는 p53 플라스미드를 제작하였으며, 여러가지의 배지에서 쌀눈 발아의 최적조건을 확립하였다. p53 플라스미드는 pcDNA-p53 플라스미드에서 p53을 얻어내어 TA 벡터에 subcloning을 한 후 식물 플라스미드인 pGEM-CaMV에 p53을 삽입하여 식물에서 발현 가능한 pGEM-CaMV-p53 플라스미드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효율적인 p53 유전자의 도입을 위하여 최적의 팽윤버퍼의 조성 및 배지의 조건을 확립하였다. 팽윤방법을 통한 유전자의 도입에서 팽윤버퍼는 염과 detergent의 서로 다른 농도로 조성하였지만, 이 버퍼조성 사이에서의 쌀눈 발아율의 유의한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팽윤된 쌀눈의 발아를 극대화 시키기 위하여 고체한천배지, 액체 배지, 페이퍼 타올 배지의 3가지 조건에 대해서 발아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고체배지에서의 발아율은 70% 정도로 가장 높고 액체배지에서의 발아율은 20% 정도로 가장 낮았으며, 페이퍼 타올배지에서의 발아율은 60% 정도였다. 앞서 확인한 최적의 발아조건에서 쌀눈에 p53 플라스미드를 도입하였고, 그 결과 쌀눈에서의 human p53 발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팽윤방법에 의한 쌀눈에서의 효율적인 유전자 발현은 쌀의 새로운 부가가 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플라스미드 pKM101 과 pSL4 의 muc 유전자의 발현에 관한 연구 (Expression of mue Gene on Plasmid pKM101 and pSL4)

  • 전홍기;황유경;이상률;백형석
    • 미생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371-376
    • /
    • 1992
  • 플라스미드 pKM101 과 이의 돌연변이체 pSL4 는 UV 및 MMS 에 대해 높은 치사 저항성과 돌연변이률을 나타낸다. pKM101 과 pSLA 의 mucB 유전자의 일부분과 mucA 유전자를 lacZ fusion 벡터인 pMC874 에 subcloning 시켜 플라스미드 pBH31 과 pBH30 을 선별하였고 이 플라스미드들을 $recA^{+}lexA^{-}$, $recA^{-}와lexA^{+}$, 균주에 각각 도입하였다. $recA^{+}lexA^{+}$ 균주에서 pSLA 의 muc 유전자를 포함하는 pBH30 의 $\beta$-galactosidase활성은 pKM101 의 muc 유전자가 연결된 pBH31 보다 높았고 $recA^{-}$$lexA^{-}$ 돌연변이주에서는 UV 조사의 유무에 관계없이 $\beta$-galactosidase를 유도하지 못하였지만 $recA^{-}$ 균주에서는 UV 조사를 하지 않았을 때 pBH30 의 $\beta$-galactosidase가 pBH31 보다 약간 높게 유도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pKM101 과 pSLA 의 기능적 차이가 두 플라스미드의 Muc 단백질의 구조적 차이라고 생삭할 수 있지만, muc 유전자의 조절부위가 돌연변이되너 LexA repessor 가 작용하는 부위의 변화에 의한 것이라고도 생각햐ㄹ 수 있었다. 또한, umuC-lacZ 유전자를 가지는 pBH100 를 construction 하여 umu oeron 의 발현은 UV 조사에 의해 유도되며 recA 와 lexA 유전자에 의해 조절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