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cloning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3초

Human Liver로부터 Cloning한 cDNA성장호르몬 수용체의 기능성 검토 (Assembly of a Functional cDNA for Human Liver Growth Hormone Receptor: Cloning of Assembled hGHR cDNA)

  • 장규태;지선병홍;손동수;서원진삼;고교적웅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59-172
    • /
    • 1998
  • 사람 성장호르몬 수용체(hGHR) cDNA는 PCR방법에 의하여 fagment로서 보고되어진 바 있으나, liver cDNA로 부터 전장을 cloning한 보고는 없는 실정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능을 가진 약 4.6kbp의 cDNA hGHR을 cloning 하는데 성공하였다. 먼저 cloning하기 위하여 human liver mRNA와 human breast cancer tissue로부터 회수한 mRNA를 RT-PCR방법에 의하여 human cDNA library와 cloning에 필요한 probe를 제작하였다. human library mRNA는 GT-PCR방법에 의하여 증폭하여 증폭되어진 산물은 λZAP Vector를 이용하여 cDNA library를 구축하였고,screeing을 위하여 임 보고 되어진 hGHR fragment native sequence를 기초로 N-terminal부분의 primer를 설계하여 950bp의 probe를 얻는데 성공하였다. 이 probe를 이용하여 준비된 human liver cDNA library로부터 2.5$\times$10 6개의 plaque로부터 6개의 positive clone을 획득하였고, 이들중 poly Asignal인 "AATAAA"를 포함하고 있는 가장 긴 약 3.8kbp의 clone을 sequencing한 결과 open reading frame을 포함하고 있었으나, 5'부분의 결손되어 있었다. 그리하여 이 부분은 human breast cancer tissue로 부터 회수한 mRNA를 RT-PCR에 의하여 증폭하였고, sequencing결과 이미 보고되어진 native hGHR와 비교한 결과 하나의 nucleotide가 silent mutation으로 판명되었다.한편 human liver cDNA library로부터 cloning한 3.8cp의 positive clone의 5'end의 결손된 부분에 silent mutation된 PCR 산물을 연결함으로써 native hGHR와 유사한 cDNA hGHR subcloning에 성공하였다. 이러한 cDNA hGHR의 clone이 function을 가지고 있는지를 검토하기 위하여 eukaryotic 발현 vector인 pCXN2에 의거 ligation한 후 chinese hamster ovary cell[CHO-KI]에 transfect를 실시하였다. Dexamethasone은 첨가하지 않고 hGH만의 존재하에서 이들 cell을 배양시키고 cell menbrane에서 발현 여부를 판정키 위하여 hGHR monocloual antibody를 사용하여 flow cytometery해석을 실시하는 한편 125I-hGH binding assay에 의하여 hGH binding activity를 측정하였다. 최종적으로 GH signal transduction의 target genedf으로 알려져 있는 serine protease inhibitor 2.1(Spi 2.1) gene의 promotor activity를 검토한 결과 hGHR을 transfect한 CHO Cell에 있어서 hGH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증가되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cloning한 cDNA hGHR는 native hGHR와 같은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판명되었다.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

Molecular Cloning of Chitinase Genes Family from Serratia marcescens

  • Song, Young-Hwan;Kweon, Oh-Gun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03-110
    • /
    • 1993
  • Sau3AI으로 부분절단한 Serratia marcescens genomic DNA(5Kb 이상)을 pUC19의 BamHI site에 삽입하여 total genomic library를 준비하였다. Swollen colloidal chitin media에서 halo를 형성하는 2개의 E.coli 형질전환주를 선별하였다. 이들 colony가 chitinase 유전자를 갖음을 재확인하기 위하여 4-methylumbelliferyl N-acetyl-$\beta$-D-glucosaminide(4-MuFGlcNAc)를 이용하였다. 4-MuFGlcNAc는 chitinase에 대한 기질특이성을 나타내며 형광을 나타내는 기질로서 positive clone들은 360nm의 자외선을 조사하였을 경우 밝은 형광을 나타낸다. pUC19으로 부터 유래된 2 종류의 다른 chitinase clone, pCH1(11.0Kb) 및 pCH2(7.5Kb)를 genomic DNA library로 부터 분리하였으며, 이들의 제한효소지도를 작성한 결과 서로 다른 제한효소지도를 나타내었다. pCH1EA 및 pCH2로 부터 각각의 EcoRI-Xbal fragment를 subcloning함으로써 두개의 다른 chitinase 유전자의 위치를 결정하였다. pCH1EA 및 pCH2를 cross hybridization 한 결과 hybridization signal을 나타내지 않아 서로 유사성이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누에 핵다각체병 바이러스의 다각체 단백질 유전자의 위치 탐색 및 염기서열 (Location and Nucleotide Sequence of the Bombyx mori Nuclear Polyhedrosis Virus Polyhedrin Gene)

  • 우수동;김현욱;박범석;강석권;양재명;정인식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0-25
    • /
    • 1992
  • 유용물질을 생산할 수 있는 곤충 baculovirus expression vector system의 국내 개발을 위하여, Bm-NPV의 다각체 단백질 유전자를 탐색, 클로닝 하고 그 구조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AcNPV의 다각체 단백질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는 EcoRI-Ⅰ fragment내의 0.93kb를 probe로 하여 southern 분석한 결과, BmNPV의 다각체 단백질 유전자는 PstⅠ-F fragment(7.4Kb)에 위치하였다. 2. BmNPV의 다각체 단백질 유전자를 포함하는 PstⅠ-F fragment를 E. coli에 클로닝시켜서 pBmP-F라 명명하고, 다시 southern분석을 통해 subcloning하여 pBmP-H라 명명하였으며 pBmP-H의 제한효소 지도를 작성하였다. 3. pBmP-H의 염기서열분석결과 구조유전자를 포함한 1,259 bp의 염기서열이 결정되었다. Iatrou 등이 보고한 BmNPV 다각체 단백질 유전자의 염기서열과 비교한 결과 10개의 염기서열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74 Val이 Ile로, 76 Asn이 Ser으로 155 Met이 Val로 아미노산 변경된 결과를 보였다.

  • PDF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 발현된 Cycloinulooligosaccharide Fructanotransferase을 이용한 Cyclofructan의 생산 (Production of Cyclofructan by Cycloinulooligosaccharide Fructanotransferase Expressed in Saccharomyces cerevisiae.)

  • 임채권;김현철;김광현;김병우;남수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60-66
    • /
    • 2004
  • Paenibacillus polymyxa 유래의 cycloinulooligosaccharide fructanotransferase(CFTase) 유전자(cft)를 Saccharomyces cerevisiae SEY2102 에 발현시키기 위해 대장균과 효모의 shuttle vector인 pYES 2.0(GALI) promoter)에 subcloning하였다. 구축된 pYGCFT(9.9kb) plasmid를 S. cerevisiae SEY2102에 형질전환하였고, uracil이 결핍된 SD 배지에서 선별하였다. 선별된 형질전혼체(S. cerevisiae SEY2102/pYGCFT)는 galactose 첨가에 의해 성공적으로 발현되어 cyclofructan(CF)을 생셩함을 TLC로 확인하였다. 그러나 균체외로의 효소 분비는 이루어지지 않았고 cytoplasm 보다 periplasmic space에 많이 존재하였다. 효소반응 3시간부터 CF가 생성됨을 확인하였고, 최적온도와 pH는 각각 45$^{\circ}C$와 pH 8.0로 나타났으며, pH 10.0에서도 효소활성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Inulin 기질에 따른 반응산물 분석결과, Jerusalem artichoke와 dahlia tuber로부터 CF가 가장 효과적으로 생성되었다.

Structure and Regulation of a Complex Promoter Region from an Alkali-tolerent Bacillus sp.

  • Kim, Jin-Man;Park, Hee-Kyung;Park, Young-Seo;Yum, Do-Young;Bai, Dong-H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권3호
    • /
    • pp.146-155
    • /
    • 1993
  • A DNA fragment from an alkali-tolerent Bacillus sp., conferring strong promoter activity, was subcloned into the promoter probe plasmid pPL703 and the nucleotide sequence of this promoter region was determined. The sequence analysis suggested that this highly efficient promoter region containing the complex clustered promoters comprised three kinds of promoters (P1, P2 and P3), which are transcribed by $\sigma^B (formerly \sigma^{37}), \sigma^E(formerly \sigma^{29}) and \sigma^A (formerly \sigma^{43})$ RNA polymerase holoenzymes which play major rules at the onset of endospore formation, during sporulation and at the vegetative phase of growth, respectively. S1 nuclease mapping experiments showed that all three promoters had staggered transcription initiation points. The results of chloramphenicol acetyltransferase assay after the subcloning experiments also indicated that the expression of these clustered promoters was correlated with the programs of growth and endospore development. Promoter P1, P2 and P3 were preceded by 75% AT, 79% AT and 81% AT regions, respectively, and a partial deletion of AT-rich region prevented transcription from promoter P1 in vivo. Two sets of 5 -AGTGTT-3 sequences and inverted repeat sequences located around the promoter P1 were speculated as the possible cis acting sites for the catabolite repression in B. subtilis. In vivo transcripts from these sequence regions may be able to form a secondary structure, however, the possibility that a regulatory protein induced by the excess amount of glucose could be bound to such a domain for crucial action remains to be determined.

  • PDF

Actinodura roseorufa에서 생산되는 UK-58,852로부터 PKS type I 에 관련된 생합성 유전자의 분리 및 분석

  • 김자용;이주호;김대희;김동현;송재경;이희찬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bio-venture fair
    • /
    • pp.660-664
    • /
    • 2000
  • UK-58,852의 생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분리하기 위해 Actinomadura roseorufa의 genomic DNA와 E. coli-Streptomyces shuttle cosmid vector인 pOJ446이 genomic library를 만들었다. Genomic library는 dehydratase PCR product와 eryA 유전자를 probe로 하여 sugar 생합성 유전자와 polyketide typel 유전자가 집단으로 존재하는 cosmid pHD54를 분리하였고, 이를 제한 효소인 BamHI, SmaI와 Sonicater를 이용해서 subcloning 하였다. 이들의 염기서열을 부분 분석한 결과, polyketide 생합성에 관여하는 ketoacyl synthase, methylmalonyl acyltransferase, ketoreductase, enolreductase 그리고 PKS loading domain 등 polyketide synthase type I 임을 보여주고 있고, BLAST 분석된 결과를 보면 polyketide synthase 유전자는 rifamycin 생합성 유전자와 유사성이 높다. 그리고 sugar 생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로는 oxidoreductase, dTDP-D-glucose 4,6 dehydratase, dTDP-D-glucose synthase 그리고 dTDP-4-keto-6-deoxy-D-glycose 3,5-epimerase으로 구성된 gene cluster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염기서열 분석된 유전자중 dTDP-D-glucose synthase를 발현하여 유전자의 기능을 확인하였다.

  • PDF

Pseudomonas sp. strain DJ77로 부터 phenanthrene 분해 유전자군의 클로닝과 대장균에서의 발현 (Molecular Cloning of a Gene Cluster for Phenanthrene Degradation from Pseudomonas sp. Strain DJ77 and Its Expression in Escherichia coli)

  • 김영창;윤길상;신명수;김흥식;박미선;박희진
    • 미생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7
    • /
    • 1992
  • Pseudomonas sp. DJ77 의 chromosomal DNA로 부터 6-8kb XhoI 절편 상에 존재하는 phenanthrene 분해에 관련된 유전자군을 vector pBLUESCRIPT SK(+)에 클로닝하였다. 이렇게 얻은 재조합 plasmid인 pHENX7을 가지고 있는 JM101 균주는 3-methylcatechol을 노란색의 meta-cleavage 화합물로 전환학 수 있었다. 그러자 삽입된 절편의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제조한 pHENX7R 은 extradiol dioxygenase 활성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전사방향을 알 수 있었다. pHENX7과 이의 유도체들을 지니는 JM101 균주에서 PhnC(24kDa), PhnD(31 kDa), PhnE(34 kDA), PhnF(15 kDa) 의 4 polypeptide 를 확인학 수 있었고 개개의 유전자의 위치와 범위를 알 수 있었다. 유전자 순서는 phnC-phnD-phnE-phnF-phnG 이었으며, phnD, phnE, phnG 는 각기 gluthione S-transferase, meta-cleavage compound hydrolase, extradiol dioxygenase, metacleavage compound dehydrogenase 의 유전자이었다.

  • PDF

효모에서 세포분열을 조절하는 KEM1 유전자에 관한 연구: kemi의 High Copy Suppressor (ROK1) 클로닝 (Studies on KEM1 Gene Controlling Mitotic Cell Division in Yeast: Molecular Cloning of a High Copy Suppressor (ROK1) of kem1)

  • Kim, Sang Hyeon;Kim, Jin Mi
    • 미생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7-41
    • /
    • 1992
  • Saccharomjyces cerevisiae에서 KEM1 유전자는 세포분열시 microtubules과 spindle pole body 구조체의 새로운 기능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KEM1과 유사하거나 연관이 있는 기능을 갖는 새로운 유전자들을 찾는 목적으로 kem1 돌연변이의 high copy suppressor 유전자, ROK1, 를 찾아냈다. ROK1은 high copy 플라스미드에 클로닝되었을 때 kem1을 suppression 하고, low copy 플라스미드에서는 suppression 하지 않는다. kem1 돌연변이의 benomyl에 대한 민감성과 Kar enhancing 표현서을 동시에 suppression 하는 두 개의 클론을 분리하였으며, 제한요소로 분석했을 때 9.0kb의 insert 를 지닌 동일한 클론이었다. 이 suppressor 유전자 ROK1의 제한지도를 작성하였고, 그 결과 KEM1 이 아닌 다른 유전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Suncloning 실험으로 ROK1은 적어도 3.0kb의 기능부위를 갖음을 확인했다.

  • PDF

Bradyrhizobium sp. SNU001 nod 유전자 클로닝 (Molecular Cloning of nod Genes from Bradyrhizobium sp. SNU001)

  • 고세리;심웅섭;안정선
    • 미생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46-251
    • /
    • 1992
  • 대두 (Glycine max) 뿌리혹의 질소고정 공생균주 Bradyrhizobium japonicum SNU001 의 nod 유전자를 클로닝하였다. Rhizobium meliloti 의 4.5 kb EcoRI/ HindIII 절편을 탐침으로 한 게놈 혼성화 반응을 분리균주의 게놈상에 nod 유전자가 존재함을 확인하고, lambda EMBL3-BamHI vector 를 이용하여 genomic library 를 작성하였다. 작성된 library 로부터 1, 2 차 선별과정을 통해 nod 유전자가 있는 클론 1-5 를 선별하고, 클론 2로부터 nod DABC 탐침과 lambda DNA 탐침을 사용한 혼성화반응을 수행하여 삽입된 genomic DNA 에 대한 부분적인 제한효소 지도를 작성하였다. nod DABC 탐침과 가장 강한 혼성화반응을 보인 phage 클론 lambda CNS-1 의 3.9 kb BamHI 절편을 pBS KS(+) vector 에 subcloning 하고 동일한 탐침을 이용한 혼성화반응을 통해 subclone pBjCNS-1 을 선별하였다. 이 subclone 에 대한 부분적인 제한효소 지도를 작성하여 nod DABC 가 1.8 KpnI/SacI 절편에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 PDF

Frankia sp. strain SNU 014201의 nif-H, D, K, 유전자 클로닝

  • 권석윤;강명수;안정선
    • 미생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0-36
    • /
    • 1992
  • 물오리나무의 뿌리혹에서 분기한 Frankia sp. SNU 014201 공생균주의 게놈내에 13.5 kb의 EcoRI, 18.0 kb 의 BamHI, 10.5 kb의 Bg/II, 4.5 kb의 KpnI 절편에 nif-H, D 유전자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람다 파아지 EMBI3-BamHI arm을 사용하여 제조한 genomic library 에서 nif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는 14개의 재조합 파아지 클론을 선별하였다. 이들 중 Ahnif-12번 클론은 nif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는 18kb 의 삽입 DNA 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중 7.9 kb 의 BamHI 절편내에 nif-H. D. K가 3.6kb 의 HindIII/KpnI 절편내에 nif D 의 일부와 H 가 위치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등 절편을 각각 subcloning 하고 제한효소 지도를 작성한 결과, Frankia sp. SNU 01420의 nif-H. D. K 유전자는 6.5 kb 의 Hind III/Bam HI 절편과 5.2 kb Sal/IBamHI 절편내에 연속 배열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