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tree

검색결과 454건 처리시간 0.027초

Intercropping of Cow Pea (Vigna unguiculata) as Summer Forage Yield with Grewia tenax in Irrigated Saline Soil of Khartoum State, Sudan

  • Abdalla, Nasre Aldin Mustafa;Alawad, Seid Ahmed Hussein;ElMukhtar, Ballal Mohamed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8권2호
    • /
    • pp.122-127
    • /
    • 2022
  • Agroforestry in terms of intercropping cow pea as summer forage with Grewia tenax was undertaken under sub -irrigation system in two consecutive seasons of 2017 and 2018 in saline soil of Khartoum State of Sudan. The aims were to find out suitable agro forestry system for saline soils as well as to investigate effect of tree spacing on field summer forage crop under semi -irrigation system. Therefore G. tenax trees that spaced at 4×4 m were used as main factor versus cow pea crop that incorporated at 25×50 cm intervals by using completely randomized block design with 3 replications. Trees and crop parameters were determined in terms of plant growth and yield. In addition to land equivalent ratio and soil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at different layers were determined. The results revealed that, soil parameters in terms of CaCo3, SAR, ESP, pH paste and EC ds/m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soil depths. Meanwhile tree growth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irst season in 2017. Whereas in the second season in 2018 tree growth namely; tree height, tree collar and canopy diameters were higher under intercropping than in sole trees. Cow pea plant height recorded significant differences under sole crop in the first season in 2017. Unlike the forage fresh yield that was significant under the inter cropped plots. Tree fruit yield was higher under sole trees and land equivalent ratio was more advantageous under GS2 (1.5 m) which amounted to 4.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troduce this agroforestry system under saline soils to provide summer forage of highly nutritive value to feed animals and to increase farmers' income as far as to halt desertification and to sequester carbon.

다국적기업 최대이익 세금트리 문제의 최대 세금경감 경로 알고리즘 (Path Algorithm for Maximum Tax-Relief in Maximum Profit Tax Problem of Multinational Corporation)

  • 이상운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157-164
    • /
    • 2023
  • 본 논문은 NP-완전 문제로 분류된 기업 세금 구조 최적화 문제를 O(n2)의 다항시간으로 구하는 휴리스틱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목적지(T)인 본사 노드를 레벨 1으로, 세금코드 범주 Te=1, 4, 3, 2의 노드들을 레벨 2,3,4,5 순서로 배치하였다. 원천(S)-목적지(T)의 최대세금감면 경로를 찾기 위해, 첫 번째로 노드 u에서 v 노드로 송금 시 u 관점에서 부과되는 유출 과세(rw(u, v))를 최소화시키는 방법으로 minrw(u, v)의 호를 연결하였다. 이 결과 모든 S로부터 T까지의 신장트리를 구성하여 초기 실현 가능 해를 구하였다. 다음으로, v 관점에서 자국에 유입되는 이익금에 대한 외국 소득세(rfi)를 최소화시키는 minrfi(u, v)의 대체 경로를 찾아 두 경로 중 최대 세금감면 경로를 선정하였다. 제안된 휴리스틱 알고리즘을 10개의 벤치마킹 데이터에 적용한 결과 선형계획법이나 메타휴리스틱의 일종인 Tabu 탐색 법에 비해 보다 최적의 결과를 얻었다.

기능 전개를 활용한 기계류 부품의 Fault Tree 구성에 관한 연구 (Fault Tree Construction Method using Function Deployments of Machine Parts)

  • 하성도;이언경;강달모
    • 한국신뢰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뢰성학회 2001년도 정기학술대회
    • /
    • pp.257-263
    • /
    • 2001
  • In the analysis of product reliability, the fault tree is widely used since it shows the interrelations of the faults that lead to the product fault. A top-down approach based on experts’ experience is commonly used in the fault tree construction and the trees often take different forms depending on the intent of the analyst. In this work it is studied how to construct fault trees with the utilization of function trees obtained from analyzing the functions and sub-functions of products in order to suggest a generic way of fault tree construction. The function tree of a product is obtained by analyzing basic functions comprising the product main function in a bottom-up approach so that it enables to construct an objective fault tree. The fault tree for a scroll compressor is shown as an example.

  • PDF

Optimization of the Extraction of Polyphenols and Flavonoids from Argania spinosa Leaves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Rajaa Moundib;Hamadou Sita;Ismail Guenaou;Fouzia Hmimid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9권2호
    • /
    • pp.83-90
    • /
    • 2023
  •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study aiming to optimize the extraction conditions of total phenolic compounds (TPC) and total flavonoids contents (TFC) from Argania spinosa leaves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with a Box-Behnken design (BBD). The optimal conditions obtained were 5% (w/v) solvent-to-solid ratio, 72.33% ethanol concentration, and 10h ours as an extraction time, which resulted in an extract with maximum TPC (131.63 mg GAE/g dw) and TFC (10.66 mg QE/g dw). Under the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xtracts of leaves of argan tree showed a moderate antiradical capacity of DPPH (IC50 = 0,130 mg/mL) and ABTS (IC50 = 0.198 mg/mL). However, the leaves of argan tree showed a very interesting reducing power of Iron (IC50 = 0.448 mg/ml) which is similar to that of the ascorbic acid (IC50 = 0.371 mg/mL).

ENVI-Met 시뮬레이션을 통한 도로 방향별 가로수 식재 형태에 따른 여름철 열환경 개선 효과 분석 (Analysis of Thermal Environment Modification Effects of Street Trees Depending on Planting Types and Street Directions in Summertime Using ENVI-Met Simulation)

  • 임현우;조상만;박수국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22
    • /
    • 2022
  • 컴퓨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ENVI-met을 활용하여 여름철 도로 방향과 가로수 식재형태에 따른 도시공간의 열환경 개선 효과를 분석하였다. 수목 식재 시 낮 시간 동안의 기온과 풍속은 감소하고 상대습도는 증가하였다. 평균복사온도와 인간 열환경지수 PET(physiological equivalent temperature), UTCI(universal thermal climate index)는 수목 식재 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목 식재 시 가장 큰 변화를 보인 기상요소는 평균복사온도로, PET와 UTCI 변화량 또한 평균복사온도와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가장 큰 저감효과를 보인 수목식재방법은 수고가 낮고, 수관폭이 넓고, 엽면적지수가 높은 수목을 좁은 간격으로 식재하는 시나리오(LWDN)였다. 평균복사온도, PET, UTCI는 태양의 고도 및 방위와 건물의 위치에 따른 그림자 형성 조건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으며, 건물에 의한 태양복사에너지 차단이 클수록 수목에 의한 영향이 줄어들었다. 특히, 동측과 서측 보도에서는 시간대별 저감량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가장 저감효과가 큰 수목식재 시나리오인 LWDN으로 식재하였을 때 서측 방면에 위치한 북서, 서, 남서측 보도는 오전 시간대인 10:00에 수목이 없는 경우에 비해 PET 8.6-12.3℃, UTCI 4.2-4.5℃, 동측 방면에 위치한 북동, 동, 남동측 보도는 오후 시간대인 16:00에 PET 8.1-11.8℃, UTCI 4.4-5.0℃로 큰 저감효과를 보였다. 반면, 가장 저감효과가 적었던 수고가 높고, 수관폭이 좁으며, 엽면적지수가 낮은 수목을 넓은 간격으로 식재하였을 때 최대 저감량은 동측 방면 보도에서 PET 1.8℃, UTCI 0.9℃ 이하, 서측 방면 보도에서 PET 3℃, UTCI 0.9℃ 이하로 적은 저감효과를 보였다. 또한, 건물에 의한 영향으로 인해 수목영향이 적은 시간대에는 수목식재 시나리오 간 평균복사온도, PET, UTCI 저감효과의 차이가 크지 않았다. 이 연구결과는 가로수 식재 시 여름철 도시 열환경 저감을 위한 모델 개발에 기초자료로서 활용가능할 것이다.

HVDC 풀-브리지 서브모듈의 동작 조건과 여유율을 고려한 수명예측 (Life-cycle estimation of HVDC full-bridge sub-module considering operational condition and redundancy)

  • 강필순;송성근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1208-1217
    • /
    • 2019
  • 풀-브리지 서브모듈은 MMC의 단위 시스템으로서 서브모듈에 대한 수명예측은 HVDC 시스템의 유지 보수와 경제성 확보 관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부품의 종류, 개수, 결합 상태만을 고려하는 수명 예측은 대상 시스템의 구동상태를 고려하지 않는 일반화 된 결과로 실제 시스템의 수명과 크게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풀-브리지 서브모듈의 동작 특성을 반영하기 위한 목적으로 고장나무를 설계하고 기본 사상의 고장률에 MIL-HDBK-217F를 적용하여 풀-브리지 서브모듈의 수명을 예측한다. 기존의 부품고장률 분석과 제안된 고장나무 분석에 의한 기대 수명을 비교하고, 풀-브리지 서브모듈의 여유율 적용 여부에 따른 수명을 비교한다.

다자간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멀티캐스트 프로토콜 구현 및 자원 관리 (Multicast Protocol Implementation and Resource Management for Multiparty Multimedia Communication)

  • 송기상;김홍래;전준식
    • 산업공학
    • /
    • 제11권1호
    • /
    • pp.155-163
    • /
    • 1998
  • In multiparty multimedia communication, each participant not only receives information from other participants but also generates real-time data streams to distribute to others and therefore the difference between source and destination is not clear in terms of data transmission. During a teleconference session, many sub-multicast trees may be generated to exchange information to specific members within the multicast group and if those sub-multicast trees use the same fixed multicast tree, the blocking probability will be high and it is hard to provide QoS for each sub-multicast group. Also, even though there exits some shortcuts between each sub-multicast group, fixed multicast tree does not allow to use those shortcuts. Thus to overcome these problems. We propose a network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and show that its effectiveness in terms of blocking probability and network resources usage.

  • PDF

LiDAR 자료를 이용한 산림 CO2 흡수량 산출 연구 (Study of CO2 Absorption in Forest by Airborn LiDAR Data)

  • 고신영;박정기;조기성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9-35
    • /
    • 2013
  • 산림지역에서 이산화탄소흡수량 산출을 위해서는 현지산림조사와 영상정보 등의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함으로써 흉고직경이나 수고와 같은 산림 탄소흡수량 추정에 필요한 기본자료를 정량적으로 수집하여 활용한다. 그러나 여전히 현장조사의 비중이 높고 혼효림이 많은 국내 산림 여건상 취득된 산림정보의 정확도가 낮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iDAR 자료를 이용하여 경사기반 영역확장법을 적용하여 수목의 수직적 구조를 파악하고 수목 정점추출 알고리즘을 통한 개체목의 수고 및 개체수를 파악하여 이를 현장조사를 통한 자료로부터 도출된 수고-흉고직경 관계식에 대입하여 정량적인 이산화탄소흡수량 산출에 필요한 기본데이터를 산출 할 수 있었다. 또한 총 3종류의 수목에 대한 이산화탄소흡수량을 계산하고 단위면적당 이산화탄소흡수량을 추정할 수 있었다.

한국 국립공원 산림생태계의 수목 탄소저장량 평가 (Estimation of Carbon Storage for Trees in Forest Ecosystem in the National Parks of Korea)

  • 이상진;박홍철;박관수;김현숙;이창민;김진원;심규원;최승운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16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amount of carbon storage for trees in forest ecosystem to support the foundation for carbon neutrality implementation in Korea National Park. It targeted 22 national parks designated and managed as national parks in Korea, and conducted research on forest trees in the terrestrial ecosystem among various natural and ecological carbon sink. The survey and analysis method followed the IPCC guidelines and the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y in Korea. The amount of tree carbon storage in the forest ecosystem of Korea National Park was confirmed to be about 218,505 thousand CO2-ton and the amount of carbon storage per unit area was 570.8 CO2-ton per hectare. Compared to 299.7 CO2-ton per hectare, the average carbon storage per unit area of the entire Korean forest, it was found that about twice as much carbon was stored when assuming the same area.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the tree carbon storage function of the national park is about twice as high as that of the average tree carbon storage function of entire Korean forest. It has great implications in Korea National Park not only provides biodiversity promotion and exploration services as a national protected area, but also performs excellent functions as a carbon si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