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udent Achievement

검색결과 854건 처리시간 0.029초

교과교실 운영 성과에 대한 수요자 인식 조사 분석 - 교수·학습 활동과 학생들의 학습태도를 중심으로 - (The recognition analysis of a student and the teacher about subject classroom system operation achievement - focusing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d students' learning attitudes -)

  • 조진일;최형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9권3호
    • /
    • pp.20-33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recognition of students and teachers towards an influence of a subject classroom system to teacher's learning activities and student's learning attitude. The study was subjected to students and teachers at a school that has innovatively operated subject classroom system from before 2009.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investigation shows that the quality of class has been improved. The formats of managing class and class materials have become various. Second, there is an affirmative exchange in student's learning attitude, such as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concentration, preparation and interest toward a class. Third, the fifty percent of teachers answered it that a block time system and intensive study system is required to manage an efficient subject classroom system. Lastly, the investigation shows that teachers and students are generally satisfied with running the subject classroom system. However, the satisfaction ratio of students is lower than the one of teachers.

일 대학교 간호대학생의 성격유형과 입학성적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ype, SAT score and GPA of Student Nurses)

  • 임지영;유일영;오순남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835-845
    • /
    • 2001
  •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ype, college admission SAT scores and GPA scores of student nurses. Metho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270 student nurses enrolled in a baccaleaureate program in Seoul. MBTI was used to identify students' personality and SAT score and GPA score were collected over 4 year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Win. package. Result: 1. There were slightly more extrovert (E) type (54.4%) students than the introvert (I) type; more sensing (S) type (71.1%) than the intuitive (N) type. 2. The introvert type students had significantly higher SAT scores than those of the extrovert type (p=.002). 3. The judging type students had significantly higher GPA scores throughout their college years than the perceiving type. 4.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AT and GPA scores. SAT scores did not accurately predict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college in this sample. Conclusion: The distribution of the personality types in the sample was different from the general population which may suggest that college admission criteria is biased toward certain personality type. Since different personality types process information and cope with the outside world differently,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need to be considered for each class.

  • PDF

기본간호학 PBL 모듈(Module) 개발 및 적용의 일 예 (An Example of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BL Module in Fundamentals of Nursing)

  • 강기선;박미영;이우숙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244-258
    • /
    • 200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a conceptualized PBL module for Fundamentals of Nursing. Method: A case study method was used to describe and explore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implementing the PBL module. Result: This module included three PBL packages that were designed to deal with more complexed and indepth concepts as the packages proceeded. In order to achieved that, all the contents of Fundamentals of Nursing II and III were reorganized and integrated into three main concepts, hygiene, infection and dehydration. This module was implemented for first year college student nurses in the second semester of year 2000. The student self-evaluation results showed that they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ir achievement in learning, both final outcome and process. Also,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y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subject management, the lecturer and their peers after implementing PBL. Conclusion : This study demonstrated the potentiality for the application of a partially integrated PBL module within an existing subject. However, when student learning needs were beyond the extent of Fundamentals of Nursing, the lecturer had to set boundaries on learning content and this may have reduced the effects of learning. Therefore, the researcher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an integrated PBL curriculum to maximize student learning outcomes.

  • PDF

학생 답안 분석과 정답 템플릿 생성에 의한 한국어 서답형 문항의 자동채점 시스템 (Automatic Scoring System for Korean Short Answers by Student Answer Analysis and Answer Template Construction)

  • 강승식;장은서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218-224
    • /
    • 2016
  • 본 논문은 컴퓨터 기반의 자동 채점 시스템을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자연어 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채점 기준표 작성 과정을 쉽게 하고 수작업 채점 비용의 절감 및 채점 기간을 단축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자동 채점의 기준이 되는 정답 템플릿은 학생들이 작성한 답안들로부터 쉽고 편리하게 작성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채점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채점 오류를 최소화하여 신뢰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수작업 채점 대신에 자동채점 시스템을 도입하였을 때 그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2014년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사회과목 답안에 대해 자동 채점을 수행하였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한국의학교육"과 "의학교육논단"의 연구동향 분석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the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and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 이애화;김순구;황일선
    • 의학교육논단
    • /
    • 제23권3호
    • /
    • pp.176-184
    • /
    • 2021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in article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KJME) and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KMER)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The analyses included 507 papers from 2010 to 2019 published in KJME and KMER. First, keyword frequency analysis showed that the research topics that appeared in both journals were "medical student," "curriculum," "clinical clerkship," and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Second, centrality analysis of a network map of the keywords identified "curriculum" and "medical student" as highly important research topics in both journals. Third, a cluster analysis of 20 core keywords in KMER identified research clusters related to academic motivation, achievement, educational measurement, medical competence, and clinical practice (centered on "learning," while in KJME, clusters were related to educational method and program evaluation, medical competence, and clinical practice (centered on "teaching"). In conclusion, future medical education research needs to expand to encompass other research areas, such as educational methods, student evaluations, the educational environment, student counseling, and curriculum.

온라인 과학탐구수업에서 학습자의 수업에 대한 인식이 자기조절전략 활용, 수강지속의사,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tudents' Perceptions of Classroom on Self-regulations Strategy Use, Persistent Intention, and Achievement in a Context of Online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 이성혜;채유정
    • 영재교육연구
    • /
    • 제26권2호
    • /
    • pp.365-38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과학영재교육에서 중 고등학생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인식이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 전략의 활용과 수강지속의사와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과학탐구중심 온라인 영재교육 과정을 수강한 중학교 1학년~고등학교 2학년 학생 434명이었다. 연구를 위해 수업에 대한 인식 하위변인(흥미, 도전감, 의미, 선택권,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독립변인으로, 인지조절전략(시연 전략, 정교화 전략, 조직화 전략, 초인지 전략)과 행동조절전략(노력관리, 시간관리, 도움활용)을 종속변인으로 하는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수업에 대한 인식 하위변인과 학업성취도와 수강지속의사에 대해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수업에 대한 인식 하위 변인 중 시연 전략 활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었으며, 정교화 전략 활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도전감과 의미였다. 도전감 인식은 시연 전략 활용과 부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에 대한 인식 하위 변인 중 시간관리 전략 활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었으며, 도움활용 전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도전감이었다. 수업에 대한 인식 하위요인 중 흥미, 도전감, 의미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학습자가 후속 강의를 수강하려는 의지가 높게 나타났으며, 도전감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탐구학습 점수가 높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블렌디드 학습, 온라인 학습, 오프라인 학습의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 비교 (The Comparison of the learning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Between in the Blended Class and Online Class and Offline Class)

  • 김미영;안광식;최완식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06-119
    • /
    • 2005
  • Many problems with the offline class, which is the traditional education type in corporations or universities, were indicated and people hoped that e-learning, which is web-based instruction, would solve these problems. However, e-learning also has weak points in that it should be self-paced and media-based in many ways. Therefore, when considering the good and weak points of offline classes and e-learning, blended learning seems to be necessary. Until now, blended learning has usually been used in corporations, and there have been almost no studies on the effectiveness or management of blended learning in universities. Thus,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design blended classes, manage them at the level of university classes,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blended classes, by comparing academic achievement, student participation, and student satisfaction. The subject students who signed up for Computer & Technology at C University in 2005 were divided into three study groups: offline class, online class, and blended class. The offline class was taught using the traditional class teaching method. For the online class and the blended class, multimedia contents were developed and a different LMS was used. The results of 13 weeks of teaching are as follows. For the academic achievement in the offline, online and blended classe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2.387, p=.096). But when comparing the average achievement, the average of the blended clas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classes, so that it can be said that the blended class has positiv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Second, when comparing the learners' participation in the online class and the blended class, the total posts were 85 and 138 respectively, which shows a considerable difference. The hit counts for each post in the online class and the blended class are 10 and 20, respectively. Moreover, the login counts for subjects are 3 in the online class and 4 in the blended class. In the questionnaire for the students' academic satisfaction in the online class and the blended class, all of the 15 items showed higher satisfaction in the blended class. Considering all these results, if adequate media are properly combined, the blended class is better than either the pure online class or the pure offline class.

실험실습법에 의한 수행평가가 중학생의 과학성취도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Performance Assessment Based on the Experimental Practice on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and Affective Domain in the Middle School Science)

  • 이지현;남정희;문성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6-74
    • /
    • 2003
  • 이 연구는 현재 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수행평가 가 중학생들의 과학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수행평가의 다양한 방법 중에서도 과학과에서 가장 많이 실시되고 있는 실험실습법에 의한 수행평가의 방법이 중학교 과학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로부터 볼 때, 과학성취도의 평균이 동질한 두 집단에서 수행평가를 적용한 실험집단의 과학 성취도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특히 사전 과학성취도가 중, 하위권인 학생들의 과학성취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다. 상위권 학생은 비록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지만 성적이 약간 향상되었다. 정의적 영역에서는 실험집단의 사전 사후 검사에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실험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지만 긍정적으로 변화를 보인 반면, 비교집단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부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였다. 정의적 영역에 대한 실험집단의 사전 사후 검사를 비교에서 정의적 영역의 하위요소 중 자아개념과 학습습관의 변화는 유의미하게 상승하였으며, 학습에 대한 태도의 변화에는 효과가 없었다. 실험집단의 과학성취도가 상 중 하인 집단 별 정의적 영역점수의 향상정도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고,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비교분석에서는 정의적 영역의 하위요소 중 학습에 대한 태도에서 중, 하위권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으며, 학습습관에 있어서는 하위권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과학과에서 실험실습법에 의한 수행평가의 실시가 중학생들의 과학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의 향상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성적이 중, 하위권인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났다.

피드백 제공자에 따른 초등학생들의 과학 학업 성취도 차이 및 피드백에 대한 반응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Feedback Providers on Elementary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and the Students Responses to the Feedback)

  • 김찬종;오필석;전진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4권2호
    • /
    • pp.111-122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와 학생들에 의해 제공되는 피드백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의 차이를 알아보고, 서로 다른 주체에 의해 제공되는 피드백에 관한 초등학생들의 반응을 조사하는 것이다 초등학교 6학년 세 개 학급을 신정하여 총 9차시의 수업이 진행되는 동안 주기적으로 형성 평가를 실시하고, 형성 평가 결과에 대한 피드백 제공 여부 및 피드백 제공자를 달리하는 수업 처치를 적용하였다. 실험 집단 1에서는 교사에 의한 서술식 피드백과 강의식 피드백이 제공되었으며, 실험 집단 2에서는 학생들이 소집단으로 나뉘어 동료들 간에 피드백을 교환하였고, 통제 집단에는 형성 평가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았다. 수업 처치 후에 실시된 과학 학업 성취도 검사 결과에 따르면, 피드백을 제공 받은 학생들의 과학 학업 성취도가 피드백을 제공 받지 않은 학생들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교사에게서 피드백을 제공 받은 집단과 피드백을 제공받지 않은 집단 사이에서 발견되었다. 또, 실험 집단 1과 2에서 학업 성취 수준에 따라 선정된 학생들과의 면담 결과, 학생들은 교사에 의해 제공되는 피드백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반응한 반면, 동료에 의해 제공되는 피드백에 관해서는 상대적으로 부정적으로 반응하였다. 특히, 피드백에 대한 반응은 학생들의 과학 학업 성취도 수준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즉, 교사에 의해 피드백을 제공받은 집단에서 과학 학업 성취도가 낮은 학생들은 교사의 서술식 피드백 보다는 강의식 피드백을 선호하였으며, 동료 간에 피드백을 주고 받은 집단에서 과학 학업 성취도가 높은 학생들은 많은 양의 피드백을 제공해야 하는 자신의 역할에 거부감을 가지고 있었고, 과학 학업 성취 수준이 낮은 학생들은 자신이 작성하는 피드백에 대한 자신감을 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 교실에서는 학생들의 학습을 돕기 위하여 피드백을 고려한 수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학생들 간의 교수 행위를 바탕으로 하는 수업 전략이 시행될 때에는 학생들의 학업 성취 수준에 따라 적절하게 다르게 처방된 전략이 동원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 PDF

질문 강화 수업이 중학생들의 질문 수준과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cience Question Enhancement Instruction on the Science Question Level and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 정영란;배재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872-881
    • /
    • 2002
  • 질문은 학생들에게 문제의 탐색과 의사소통, 지식의 구조화를 통해서 문제해결이 가능하도록 하므로, 과학 교육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또한 학생 질문은 사고와 학습 사이를 연결해 준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학생의 질문에 대해서 분석하고 연구한 연구는 그렇게 많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질문 수준 강화 수업이 전통적인 수업에 비해 학생들의 질문 수준과 학업 성취도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논리적 사고력, 과학 성적, 흥미, 성별과 같은 여러 변인들이 학생의 질문 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은 중학교 2학년 학생 182명으로, 통제집단은 전통적인 수업을 하였고, 실헙집단은 질문 수준 강화 수업을 하였다. 연구단원은 중학교 과학 2 "식물의 구조와 기능"으로 약 7주 동안 15차시에 걸쳐 수업 처치를 하였다. 학생들의 논리적 사고력 수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GALT 축소본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학업 성취도 검사는 17문항의 오지선다형문항을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질문 수준에 대한 여러 변인(수업방법, 과학 성적, 논리적 사고력, 흥미, 성별)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오원 분산분석(ANOVA), 공변량 분석(ANCOVA),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하였다. 학생들의 질문 수준을 분석해 본 결과, 질문 강화 수업이 전통적인 수업에 비해 학생들의 질문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p< .01). 학생의 질문 수준과 상관 관계가 가장 높은 것은 수업 방법(r= .640)이었으며, 질문 수준은 과학 성적(r= .311)과 논리적 사고력(r= .212)에도 상관이 있었다. 그러나 질문 수준은 흥미와 성별에는 상관이 거의 없었다. 질문 강화 수업은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를 향상시키는데 전통적인 학습보다 효과적이었다(p< .01). 따라서 질문 강화 수업은 학생들의 질문 수준뿐만 아니라 학업 성취도에도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으므로 바람직한 수업방법이라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