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ike pattern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4초

보행로 형태가 여성노인들의 하지관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ge and Walkway Type on Lower Extremities Kinematics in Elderly Women)

  • 우병훈;박양선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49-256
    • /
    • 2015
  • Objective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perform a kinematical analysis on age and walkway types in elderly women subjects. Method : Forty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1 group - age: $67.30{\pm}1.49yrs$, height: $153.81{\pm}4.47cm$, weight: $61.80{\pm}5.24kg$, A2 group - age: $71.70{\pm}1.10yrs$, height: $152.01{\pm}2.84cm$, weight: $59.69{\pm}7.34kg$, A3 group - age: $76.80{\pm}0.98yrs$, height: $150.16{\pm}6.08cm$, weight: $57.27{\pm}6.42kg$, A4 group - age: $81.80{\pm}0.60yrs$, height: $152.18{\pm}4.77cm$, weight: $55.80{\pm}7.78kg$). The study method adopted was the 3D analysis with six cameras. Ground type were classifed as gait pattern on flat, ascent and descent ramp.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SPSS 21.0 was used to perform Repeated measured Two-way ANOVA. Results : In velocity of CM, there was faster movement on flat ground. When it came to the velocity of right toe, there was no significance in early mid-swing of right foot, but A4 was the slowest in late mid-swing of right foot on flat ground. In joint angle in left foot strike, the left hip joint and knee joint were more flexed in descent ramp, In addition left and right ankle joints were more plantarflexed in descent ramp, and left ankle joint was more plantarflexed in the over 75 yrs age groups. Conclusion : The higher age group were more flexed in lower body joints during descent ramp.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증에 있어서 괴사 영역의 위치와 천공방향의 변화에 따른 대퇴골두 괴사영역에서의 응력 변화 분석에 대한 생체역학적인 고찰 (A Biomechanical Analysis of Stress Transfer Behaviors Within the Necrotic Area of Femoral Head secondary to Changes in Core Placement Direction on Various Distributions of Necrotic Areas in the Osteonecrosis of the Femoral Head)

  • 임도형;이성재;김정성;신정욱;김용식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57-158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hypothesis that even very small change of the cue direction in the treatment of the early osteonecrosis could affect the outcomes of operation. For this, the changes in stress transfer within the necrotic area of the femoral head were investigated under various directions and placements of the core utilizing finite element method. The loading of 3188N, which represents after-heel-strike, was imposed in cubic cosine pattern. All nodes on the most distal surface of the model were constrained in all directions. All materials included were assumed to have linear-elastic behavior. The result says that the critical stress, which causes collapse of the femoral head, was reduced when the core was oriented toward the posterior side of the femoral head regardless of location of the necrotic area. The same result was obtained either fibular bone grafting or cementation was adopted. As a consequence, the biomechanical study suggests that the core should be directed toward the loading point where the resultant force is applied to get more desirable treatment of the osteonecrosis of the femoral head in the early stage.

  • PDF

내리막 달리기의 충격 쇼크와 신체 관절의 운동학적 특징 (Impact shock and kinematic characteristics of the lower extremity's joint during downhill running)

  • 류지선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17-129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haracterize the impact shock wave and its attenuation, and the kinematic response of the lower extremity's joints to the impact shock during downhill running in which the lower extremity's extensor acts dominantly. For this study, fifteen subjects(mean age:$27.08{\pm}4.39$; mass:$76.30{\pm}6.60$; height:$177.25{\pm}4.11$) were required to run on the 0% grade treadmill and downhill grades of 7%, and 15% in random at speed of their preference. When the participant run, acceleration at the tibia and the sacrum and kinematic data of the lower extremity were collected for 20s so as to provide at least 5 strides for analysis at each grade. Peak impact accelerations were used to calculate shock attenuation between the tibia and sacrum in time domain at each grade. Fast Fourier transformation(FFT) and power spectral density(PSD) techniques were used to analyze impact shock factors and its attenuation in the frequency domain. Joint coordinate system technique was used to compute angular displacement of the ankle and knee joint in three dimension. The conclusions were drawn as fellows: 1. Peak impact accelerations of the tibia and sacrum in downhill run were greater than that of 0% grade run, but no significant between conditions. Peak shock of PSD resembled also in pattern of peak impact acceleration. The wave of impact shock attenuation between the tibia and sacrum decreased with increasing grade, but didn't fin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ade conditions. 2. Adduction/abduction, flexion/extention, and internal/external rotation of the ankle and knee joints at support phase between grade conditions didn't make much difference. 3. At grade of 7% and 15%, there were relationship between the knee of the flexion/extension movement and peak impact acceleration during heel strike and found also it in the ankle of plantar/dorsiflexion at grade of 15%.

기능적 전기자극 치료기를 이용한 중풍구두가 편마비 환자의 보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Where the Stroke Shoes Which Use Functional Electric Stimulation Goes Mad to Walking of the Hemiplegia)

  • 김정선;박지환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6-43
    • /
    • 2007
  • Purpose: An objective analysis and observations were to be done on hemiplegia patients that are wearing a walking support device, Stroke shoes. Their improvements in walking pace, the reduction of distance between the two knee joint, the increase of curve angle of the knee joint and their steps and the reduction of ankle joint upon swing phase were analyzed using a 20 walking analyzer. Methods: An examination was carried out to see the patients' communication skill and independent walking and then let them walk with the Stroke shoes on to get results before and after wearing it. Simi Reality Motion Systems GmbH (Germany, 2007)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regarding knee joint and ankle joint angle changes of sagitta plane and coronal plane, stepping distances, distances between the knees and walking pace. Results: 1. The articulation angle of ankle joint during swing phase decreased and knee joint has show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such value(p<0.05). 2. Only knee joint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articulation angle during heel strike(p<0.05). 3. Knee joint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articulation angle during toe off(p<0.05). 4.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knees as well as their foot step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when Stroke shoes were not worn(p<0.05). 5. Stroke shoes with FES have shown positive effects on the patients in improving their walking styles overall. (p<0.05). Conclusion: There was an improvement in rotation walking pattern by a reduction in the distance between the knees after wearing Stroke shoes with FES. Plantar flexion reduced that occurred in ankle joint during walking and flexion angle increased in knee joint, both of which improved foot drop which was a major problem in hemiplegia patients. Also it is believed that the device will have some positive influences on knee joint stiffening paralysis to aid in improving inefficient walking phases.

  • PDF

태양폭풍 영향 우주 및 육상시스템 피해에 관한 재난안전정보시스템 구현 (An Implementation of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s on the Space and Terrestrial System Damages by Solar Maximum)

  • 오종우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419-431
    • /
    • 2012
  • 우주기상 극대기인 2003년은 지구상에 크나큰 재앙을 초래할 것으로 예견되고 있다. 특히 근년에 들어 지자기 폭풍에 의한 손상과 가시화 될 수 있는 대 폭풍피해 사례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에서 제시된 문제점에 대한 피해분석에 따른 궁극적인 우주기상정보시스템 모델 구축으로 피해 저감하고 대비방안을 설정하는 것이다. 구현방법으로는 uIT기반과 GIS기반의 우주기상 정보시스템 구축으로 우주폭풍에서 방사되는 우주복사폭풍(flare), 우주입자폭풍(solar proton event), 우주자기폭풍(geomagnetic storm) 등에 의한 분야별 폭풍피해를 분석하여 유형별 피해 대응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로써 공간정보기반의 우주폭풍 전기전자 피해대비 운영관리시스템 구현은 GIS기법에 의한 의사결정지원 시스템으로 피해예측 및 방재환경을 스마트 IT환경과 융합한 첨단 정보시스템으로 구현하여 인명과 재산을 보전할 수 있는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후기(後期) 석탄기(石炭紀) 테티스해내(海內) 한국 삼척탄전(三涉炭田)의 천해류(淺海流) 분석(分折) (Neritic Paleocurrent Analysis of Pennsylvanian Tethyan Sea at Samcheog Coalfield, Korea)

  • 김항묵
    • 자원환경지질
    • /
    • 제11권1호
    • /
    • pp.21-37
    • /
    • 1978
  • The depositional environment of the Manhang and the Geumcheon Formation of the Pennsylvanian Gomog Croup is revealed to the shallow neritic marine milieu in this paper also as the results of Park (1963), Cheong(1975) and Kim (1976), through the analyses of stratigraphy, paleocurrent, properties of cross-beddings and sedimentational features. The formations contains some possible terrestrial sediments suggesting the paralic environment, which are however not recognized definitely within them. The paleocurrent analysis is made to the Manhang Formation only. The paleocurrent of the formation is known to belong to the shallow neritic longshore current. The paleocurrent analysis is based chiefly on the cross-bedding analysis, and subordinately on the texture of elastic coarse sediments. The paleocurrent mean is determined to $269^{\circ}$, that is, from east to west, of which direction is interpreted to the right angle to the slope of the basinal depository plane and also the parallel with die depositional strike, according to Klein (1960) and Selley's (1968) criteria. The variance value of paleocurrent directions of the Manhang Formation in the whole area studied is 6,374, and the values range from 3,394 to 6,957 according to the dirstricts. The paleocurreut pattern of the whole area shows polymodel, and the patterns in each district range from trimodel to quadrimodel. Those models approach to the shallow marine or paralic model of Tohill and Picard (1966), Picard and High (1968 a), Pisnak (1957) and Pettijohn (1962). The mean value of maximum inclinations of cross-beddings of the whole area is $19.9^{\circ}$ with the standard deviation of 8.4, and ranges from $15.6^{\circ}$ to $21.7^{\circ}$ in the districts. Comparing the histogram showing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the maximum inclinations of cross-beddings of the Manhang Formation with the Pettijohn's (1962) histogram, it is found that the model approaches to his marine model. The Pennsylvanian Gomog Group of the coalfield is considered to have had been deposited in the pseudogeosynclinal zone on the plateau by the transgression of the Tethyan sea caused by the epirogenic movements during the Pennsylvanian Period.

  • PDF

미래 전쟁양상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 (The Changes in the Future War Patterns and ROK's Response)

  • 김강녕
    • 한국과 국제사회
    • /
    • 제1권1호
    • /
    • pp.115-152
    • /
    • 2017
  • 본 논문은 미래 전쟁양상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전쟁의 개념 특성 유형과 진화, 미래의 전쟁양상의 변화, 미래전에 대한 한국의 대응전략을 살펴본 후 결론을 도출해본 것이다. 진리는 불변할 수 있지만 다른 모든 것은 변한다. 전쟁은 인간의 역사와 함께 시작되었으며, 오늘날에도 지구상의 곳곳에서는 전쟁이 끊이지 않고 있다. 농업사회${\rightarrow}$산업사회${\rightarrow}$지식정보화사회로 시대가 변화해감에 따라 전쟁양상도 변화해왔다. 미래 전쟁양상은 지상 해상 공중 우주 사이버에서 진행되는 5차원전쟁, 네트워크 중심전, 정밀타격전, 신속기동전, 비화약전, 비살상전, 무인로봇전, 정보 및 사이버전, 비대칭전, 비선형전, 병행전 등으로 변화 확대될 전망이다. 이러한 전쟁양상의 변화에 대응하여 한국군은 (1)미래지향적 군사력 건설, (2)지속적인 군사혁신과 대비태세의 발전, (3)'기술중심'의 전력획득 패러다임의 발전 정착을 모색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다. 로마 전략가 베게티우스(Vegetius)가 말한 "평화를 원하거든 전쟁에 대비하라."고 역설했는데, 이것은 오늘날 국제사회에서도 변함없이 통용되는 격언이 아닐 수 없다. 우리가 원하는 평화는 지킬 수 있는 의지와 능력이 있을 때 주어진다는 것을 한시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FPS게임 플레이경험에 따른 플레이어의 시선경로 패턴 분석 (Analysis of Players' Eye-Movement Patterns by Playing Experience in FPS Game)

  • 최규혁;김미진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5권2호
    • /
    • pp.33-41
    • /
    • 2016
  • FPS게임은 플레이어가 1인칭 캐릭터의 시점에서 게임레벨의 목표에 따라 상대방을 타격하는 전투형태를 주된 게임플레이 구조로 가진다. 이러한 플레이 상황에서 플레이어의 행동을 유도하는 의사결정은 시각적 인지정보와 이전의 플레이경험을 통한 직 간접적 정보 수집을 통해 이루어진다. 특히 플레이어와 게임레벨간의 즉각적인 상호작용을 주된 플레이로 하는 FPS게임에서 플레이어의 시각적 인지정보에 대한 분석은 특정 게임레벨을 설계하고 수정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FPS게임의 플레이 경험수준에 따라 플레이어를 초보자와 숙련자 그룹으로 나누고 아이트래킹 장비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FPS게임 레벨에 대한 그룹별 시선경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플레이어의 행동이 발생하는 시점인 전투시작 전후의 시선경로를 500개의 플레이영상으로 기록하고 그룹별 고유한 시선경로 패턴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FPS게임 레벨의 난이도조절과 플레이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양산단층 남부 이서 지역에서 최초로 발견된 제4기 단층 - 신우지점 (The First Discovery of Quaternary Fault in the Western Part of the South Yangsan Fault - Sinwoo Site)

  • 최성자;김용식;천영범;고경태
    • 자원환경지질
    • /
    • 제52권3호
    • /
    • pp.251-258
    • /
    • 2019
  • 양산단층 남부 지역을 대상으로 한 정밀 지질조사 수행 중에 울산광역시 두서면 미호리 신우목장 절개사면에서 미고결퇴적층을 자르고 있는 단층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양산단층 남부 인근 이서 지역에서 최초로 발견된 제4기 단층노두이다. 본 연구에서는 신우지점 주변의 지형, 수계 및 선형구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신우지점에서 관찰되는 단층의 기하학적 특성 및 미고결퇴적층의 특징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단층이 발달하고 있는 지형은 침식 산록 완사면으로 보이나 저위면의 두꺼운 퇴적층과 중위면의 부채꼴(Fan) 양상은 충적선상지 지형 특징을 보인다. 수계는 3차 수계까지 발달하여 1차 수계와 2차 수계가 서로 직각으로 만나면서 방사상 형태를 보인다. 또한 하천의 휘어짐과 지형면의 단차를 통해 본 지점을 통과하는 북동-남서 방향의 선형구조들이 인지되었다. 신우지점의 단층은 $N30-35^{\circ}E/79-82^{\circ}SE$ 의 자세를 보이며, 약 5.8 m 의 겉보기 수직 변위가 관찰되는 역단층의 기하를 보인다. 단층면에서 확인된 단층조선과 단층 하반의 최상부 미고결퇴적층 내 역들의 방향성도 전형적인 역단층 운동감각을 지시한다. 하지만 단층의 하반 내 일부 단층대를 따라 불연속적인 퇴적물이 관찰되며, 이는 주향이동운동에 의한 열극구조를 상위의 미고결퇴적물이 채운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절대연령 측정 및 추가적인 조사가 수행 중이며, 추후 이러한 다학제적 조사결과가 도출된다면 본 신우지점 제4기 단층노두에 대한 정확한 단층의 형성 및 발달사가 규명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몽골 우기누르 철-망간 부존 지역의 3차원 지질모델과 자력탐사 결과의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3D Geological Modeling and Magnetic Data of Fe-Mn Ore in Ugii Nuur, Mongolia)

  • 이정아;유재형;박계순;이범한;김인준;허철호
    • 자원환경지질
    • /
    • 제48권4호
    • /
    • pp.313-324
    • /
    • 2015
  • 본 연구는 몽골 아르항가이 주 남동부 지역에 위치하는 우기누르 철-망간 광화대에 대해 3차원 지질모델을 구축하고 자력탐사와 비교 분석하여 지질 내 광체의 분포 특성을 유추하였다. 단면도 구축, Surface 모델링, 엽리 모델링 및 솔리드 모델링의 4단계로 3차원 지질모델을 구축한 결과, 연구지역 1과 2는 북서방향의 단층을 경계로 서부에는 문군체층이 동부에는 야실층이 분포하며 지질암체 내 표현된 엽리의 주된 주향 방향은 북서방향을 보이며 이러한 경향성은 지질경계를 이루는 북서방향 단층과의 유사하다. 연구지역의 자력탐사 자료를 이상치 분포특성에 따라 살펴본 결과, 자화율의 임계값이 낮을수록 이상치 분포대가 수직적인 분포를 보이는 경향이 관찰되나 임계값이 높아짐에 따라 이상대의 분포가 점차 지표 및 이와 인접한 천부에 집중된다. 자력탐사 이상대의 분포와 지질분포를 3차원 상에서 비교분석한 결과, 연구지역 1에서 자력탐사 이상대의 분포가 주로 북서방향 단층의 서부에 분포하는 문군체층에 신장된 형태의 렌즈상으로 분포하나, 연구지역 2의 경우 문군체층과 야실층에 균등한 분포를 보인다. 3차원 지질모델과 자력탐사 분포 특성을 비교분석 결과를 살펴보았을 때 본 연구지역에서는 실루리아기에 광화작용과 연관된 화산활동이 있었으며, 이 후 발생한 구조운동에 의해 광화대가 구조선을 따라 재배열 된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