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미래 전쟁양상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

The Changes in the Future War Patterns and ROK's Response

  • 투고 : 2017.03.10
  • 심사 : 2017.03.27
  • 발행 : 2017.03.31

초록

본 논문은 미래 전쟁양상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전쟁의 개념 특성 유형과 진화, 미래의 전쟁양상의 변화, 미래전에 대한 한국의 대응전략을 살펴본 후 결론을 도출해본 것이다. 진리는 불변할 수 있지만 다른 모든 것은 변한다. 전쟁은 인간의 역사와 함께 시작되었으며, 오늘날에도 지구상의 곳곳에서는 전쟁이 끊이지 않고 있다. 농업사회${\rightarrow}$산업사회${\rightarrow}$지식정보화사회로 시대가 변화해감에 따라 전쟁양상도 변화해왔다. 미래 전쟁양상은 지상 해상 공중 우주 사이버에서 진행되는 5차원전쟁, 네트워크 중심전, 정밀타격전, 신속기동전, 비화약전, 비살상전, 무인로봇전, 정보 및 사이버전, 비대칭전, 비선형전, 병행전 등으로 변화 확대될 전망이다. 이러한 전쟁양상의 변화에 대응하여 한국군은 (1)미래지향적 군사력 건설, (2)지속적인 군사혁신과 대비태세의 발전, (3)'기술중심'의 전력획득 패러다임의 발전 정착을 모색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다. 로마 전략가 베게티우스(Vegetius)가 말한 "평화를 원하거든 전쟁에 대비하라."고 역설했는데, 이것은 오늘날 국제사회에서도 변함없이 통용되는 격언이 아닐 수 없다. 우리가 원하는 평화는 지킬 수 있는 의지와 능력이 있을 때 주어진다는 것을 한시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This paper is to analyse the changes in the future war patterns and ROK's response. To this end the paper is composed of 5 chapters titled instruction; concept, characteristics, types, and evolution of war; changes in the war patterns of the future; Korea's response strategies for the future war. Truth can be immutable, but everything else changes. War has begun with human history, and today there are still wars in places all over the world. As ages change from agricultural society to industrial society to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aspects(patterns) of war have also changed. Future warfare includes the 5th dimensional war(in the ground, the sea, the air, the universe, the cyber), the network-centric, the precision strike, the rapid maneuver, the non-gunpowder, the non-lethal, the unmanned robot, the informational & cyber, the asymmetric, the non-linear, and the parallel etc. In response to these changes in the pattern of wars, the ROK military should seek (1)to build a future-oriented military force, (2)to continuously develop military innovation and preparedness, and (3)to develop and establish a paradigm for acquiring the power of technology. A Roman strategist, Vegetius said, "If you wish peace, prepare for war." This is a universally accepted maxim in international society today. We must never forget that peace we desire is given when we have the will and ability to keep.

키워드

참고문헌

  1. 공군본부. 1998. 대한공군 2030: 2000년을 향한 대한공군의 발전전략.
  2. 공군본부. 2001. 공군 통권 273호. 3월.
  3. 교육부. 1996. 고등학교 교련. 서울: 향우산업주식회사.
  4. 국기연. 2016. "인공지능 무장 '킬러 로봇' 등장... 전쟁 패러다임이 바뀐다," 세계일보 (3월 20일).
  5. 국방기술품질원. 2011.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6. 국방기술품질원. 2009. 과학기술발전, 미래전 양상.
  7. 국방대학교. 2001. 안보용어집.
  8. 권태영.노훈. 2008. 21세기 군사혁신과 미래전. 파주: 법문사.
  9. 김강녕. 2001. 현대군사문제와 남북한. 서울: 형설출판사.
  10. 김강녕. 2002. 동북아국제정치와 한반도. 부산: 신지서원.
  11. 김강녕. 2010a. 증보 정치학개론. 경주: 신지서원.
  12. 김강녕. 2010b. 국제사회와 정치. 경주: 신지서원.
  13. 김광수 역저, 손자 지음. 1999. 손자병법. 서울: 책세상.
  14. 김종하.김재엽. 2008. 군사혁신 RMA과 한국군. 성남: 북코리아.
  15. 김철환. 2017. "네트워크중심전(戰) 기반 '국방 새 패러다임' 제시," 국방일보 (2월 9일).
  16. 김태영. 2014. "사이버전은 제5세대 전쟁이자 블랙스완." 보안뉴스 미디어 (11월 28일).
  17. 김현기. 2001. "군사혁신을 통한 해군의 발전방향." 한국군사학회. 군사논단 제36호 (2001년 개편특집).
  18. 대한민국 국방부. 2016. 2016 국방백서.
  19. 박봉규. 1999. "한국 공군의 군사혁신: 미래 국익보호의 보루로서 공군력 건설을 위한 제안." 군사혁신과 군사전략 발전. 한국국제정치학회 안보국방학술세미나 발표논문집. 9월.
  20. 박상철. 2003. "국가안보와 우리의 자세." 교육인적자원부. 고등학교 교련.
  21. 박영욱. 2010. "한반도 미래전의 주요 군사적 위협과 미래전 대비를 위한 군사력 건설체계 개선 방향." 전자공학회지 제37권 제11호.
  22. 방위사업청. 2012a. "방위사업청-지식경제부 핵심 방산소재 개발협력 MOU체결," 정책브리핑 (5월 30일).
  23. 방위사업청. 2012b. "방산소재 글로벌 경쟁력 확보, 민군기술협력을 통해 달성." 보도자료 (4월 30일).
  24. 박진구. 1984. 세계의 현대병기: 소총에서 미사일, 우주병기까지. 서울: 한국일보사.
  25. 손경호. 2014. "걸프전쟁과 이라크전쟁 사이의 전쟁패러다임 고찰." 서양사학연구 제33집.
  26. 송대범.한태영 옮김, 맥스 부트 지음. 2007. 전쟁이 만든 신세계(Made in War). 서울: 플래닛미디어.
  27. 신승현, 2007. "승리에 안주한 자(者) '혁신한 자(者)에 짓밟혔다!." 문화일보 2007/12/21.
  28. 어하준.이현무. 2016. "지상로봇무기체계 개발에 대한 소고." 한국국방연구원. 주간국방논단 제1651호(12월 16일).
  29. 이내주. 2006. 서양무기의 역사. 파주: 살림출판사.
  30. 이동훈. 1999. 위기관리의 사회학. 서울: 집문당.
  31. 이두형. 1998. "미래의 전쟁, 어떻게 전개될 것인가: 병행전." 공군 통권 243호(9월).
  32. 이명구. 2016. "미래국방을 위해 무엇을 준비할 것인가?." 월간 군사저널. 군사저널 (5월).
  33. 이상현 외. 2015. 무인로봇의 군사적 활용방안과 운용개념 정립. 서울: 안보경영연구원.
  34. 이영주. 2009. "2025년 강력한 인공지능 '나노무기' 등장." 국방일보 2009/11/04.
  35. 이태규. 2012. 군사용어사전. 서울: 일월서각.
  36. 정종.계중읍. 2012. "미래전 양상 전망과 무기체계 발전방향." 제어로봇시스템학회. 제어로봇시스템학회 합동학술대회 논문집.
  37. 정토웅. 2010. 세계전쟁사 다이제스트 100. 서울: 가람기획.
  38. 조영갑. 2011. 세계전쟁과 테러. 성남: 선학사.
  39. 조영갑.김재엽.남봉우. 2014. 현대무기체계론. 성남: 선학사.
  40. 천길성. 1999. "한반도에서 미래전의 양상과 무기체계 개발방향." 군사논단 제20.21호 (가을.겨울).
  41. 천한규 역. 2007. 네트워크중심전. 대전: 육군교육사령부.
  42. 최동주. 2003. "이라크전에 사용된 첨단정밀무기와 재래식 무기." 21세기군사연구소. 군사세계 (5월).
  43. 최현수. "북한 사이버공격 어떻게 진행할까...북한 사이버전 능력." 국민일보 2016/03/08.
  44. 합동참모본부. 2014. 합동개념요구능력서.
  45. 홍진기. 2006. "한국형 NCW의 목표와 개념 정립 필요하다." 전자신문 2006/08/23.
  46. 황병국 옮김, 손무 지음. 2004. 손자병법. 파주: 범우사.
  47. 황성인. 2016. "미래전쟁수행의 핵심, 전자전." 국방일보 2016/10/09.
  48. Clausewitz, Karl von. 1952. Von Kriege(1832), trans. by O. J. Jolles, On War, Vol.1.
  49. Wright, Quincy, 1980. "War,"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Science Vol.16. USA: The Macmillan Company & The Free Press.
  50. 권영근. 2017. "병행전(Parallel War)란 무엇인가?." http://blog.naver.com/ygk555/220928836574(검색일: 2017.3.8).
  51. 군사세계. 2008. "NCW 작전환경하 미래전 대비방향." http://blog.daum.net/mil-world/15137278(검색일: 2017.3.8).
  52. 나종철. 2014. "미래전 대응을 위한 지상로봇 운용전략에 관한 연구(1)." http://bemil.chosun.com/nbrd/bbs/view.html?b_bbs_id=10008&pn=1&num=54(검색일: 2017.3.6).
  53. 네이버 블로그. 2010. "미래의 전장은 네트워크 중심전(NCW)이 될 것." http://blog.naver.co m/foren862/220667127671(검색일: 2017.3.8).
  54. Daum 카페(FocusWar). 2010. "현대전의 양상: 비선형 전쟁." http://cafe.daum.net/(검색일: 2017.3. 8).
  55. 디지털 미래포럼 블로그. 2017. "로봇이 앞장선 미래 전쟁." http://hyungrac1000.blog.me/220940279962(검색일: 2017.3.6).
  56. 방위사업청 홈페이지. 2011. "미래전쟁의 양상을 보여주는 미래전쟁영화(1): 터미네이터 4." http://blog.na ver.com/da papr/110100739958(검색일: 2017.3.6.).
  57. 유용원의 군사세계, "미래전쟁의 양상을 보여주는 미래전쟁영화(1) 터미네이터4: 미래전쟁의 시작." http://bemil.chosun.com/nbrd/bbs/view.html?b_bbs_id=10159&pn=6&num=40522 (2017.3.28).
  58. 차동길. 2013. "미래전에 대비한 한국군의 발전방향." http://blog.daum.net/cdg1206/12735364(검색일: 2017.3.8).
  59. 위키백과. 2016. "기동전." https://ko.wikipedia.org/wiki/(검색일: 2017.3.6).
  60. Daum 한국어사전. "화약," http://dic.daum.net/word/(검색일: 2017.3.6).
  61. http://www.mnd.go.kr/sub_menu/W-book/1-1-1.htm(검색일: 2002.10.18).

피인용 문헌

  1. 사이버작전에 대한 공통상황인식 함양을 위한 군(軍) 사이버작전 교육체계 연구 및 방향성 제안 -비(非)사이버작전부대 장교 교육을 중심으로- vol.19, pp.4, 2019, https://doi.org/10.33778/kcsa.2019.19.4.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