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ess Concentration Ratio

검색결과 293건 처리시간 0.036초

AZO 박막의 전기전도특성 및 필름형 염료 태양전지의 광전 변환 특성 (Electrical Conduction Mechanism of AZO Thin Film and Photo-Electric Conversion Efficiency of Film-Typed Dye Sensitized Solar Cell)

  • 곽동주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66-7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F-DSC)의 투명전도막으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PET 기판위에 AZO 박막을 증착하였다. 또한 ITO와 AZO 박막을 이용하여 동일한 조건하에서 F-DSC를 제작하여 광변환효율을 조사하였다. AZO의 경우 체적저항율 및 증착율은 220[W]의 전력조건하에서 각각 $1.8{\times}10^{-3}[{\Omega}{\cdot}cm]$와 25.5[nm/min] 정도였으며, 광투과율은 약 87[%]였다. AZO 박막의 전기전도 메카니즘의 방전전력 의존성은 XPS 분석결과 방전전력이 증가함에 따라 O1s/Zn2p의 성분비가 증가하여 산소성분에 의한 도너 제공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AZO 투명전도막으로 제작된 F-DSC의 변환효율은 약 2.79[%] 정도였으며, 이는 상용 ITO의 2.94[%]에 거의 필적되는 값으로 AZO의 F-DSC에의 응용 가능성이 충분함을 알 수 있었다.

녹비 시용이 초기 논 토양 미생물군집에 미치는 영향 (Response of Soil Microbial Communities to Applications of Green Manures in Paddy at an Early Rice-Growing Stage)

  • 김은석;이영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21-227
    • /
    • 2011
  • 논 토양에서 청보리, 자운영과 트리티케일을 시용하고 벼생육초기에 토양 미생물 생태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녹비를 시용한 처리구는 관행에 비해 토양 유기물 함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토양의 나트륨 함량은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냈다. 내생균근균의 함량과 구성비율은 녹비 시용으로 관행 보다 유의적으로 높아졌으며 특히 청보리 처리구가 가장 높았다. 또한 토양의 그람음성 세균과 그람양성 세균의 비율과 불포화지방산과 포화지방산 함량의 비율은 청보리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그리고 주성분 분석에서 PC 1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미생물 군집은 그람음성 세균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보리 처리구는 관행과 가장 큰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한 결과 청보리는 논 토양의 초기 미생물 다양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최적의 녹비작물로 판단된다.

고인성내화모르터(FR-ECC)를 사용한 장대터널 내화안전대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re resistance method using FR-ECC in long tunnel)

  • 김세종;김동준;권영진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9-18
    • /
    • 2011
  • 최근 이동거리와 물류수송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거리의 단축과 지형의 한계를 극복하기위해 장대터널의 수요가 급격히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터널내화재사고에 대한 우려가 함께 증가하고 있다. 특히 터널 화재 온도는 일반 화재 온도와 달리 초기에 급격히 증가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미흡하고 실제시공한 사례가 없으므로 일본의 히다터널에 사용된 고인성 내화모르터의 사용과 국내에서 개발한 신기술의 현장적용을 통해 시공한 사례와 함께 그에 따른 앞으로의 터널구조물의 내화 및 내구성에 대한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GFRP를 이용한 경량합성바닥의 휨성능에 대한 실험적 평가 (An Experimental Evaluation on Flexural Performance of Light-Weight Void Composite Floor using GFRP)

  • 류재호;박세호;주영규;김상대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125-135
    • /
    • 2011
  • 최근 타워형 아파트구조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무량판 구조시스템을 대신해 층고절감 및 장스팬 구현 그리고 내화성능향상을 목적으로 GFRP를 이용한 경량합성바닥을 개발하였다. GFRP를 이용한 경량합성바닥은 웨브에 개구부를 가지는 비대칭 강재보 하부에 GFRP를 부착하고 슬래브에 경량체를 삽입한 중공합성바닥이다. 이에 개발된 합성바닥의 휨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GFRP, 중공률, 웨브의 개구부 등을 변수로 실대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GFRP를 이용한 합성보 실험체는 기준 실험체에 비해 휨내력 및 강성 측면에서 10% 높은 성능을 나타냈으며, 구조물이 항복할 때까지 완전합성거동하였다. 항복 이후 웨브개구부 주변의 응력집중현상에 의해 연성이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났으며, 최대내력점까지 미끄러짐의 발생은 미소하였다. 내력설계 측면에서는 안전율을 고려해 해석값의 85%를 설계내력으로 평가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용접조립 각형 CFT 기둥-보 외다이아프램 접합부의 구조 거동 (Structural Behavior of Welded Built-up Square CFT Column to Beam Connections with External Diaphragm)

  • 이성희;김영호;최성모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8권2호
    • /
    • pp.75-83
    • /
    • 2016
  • 기존 콘크리트충전 각형강관(CFT) 구조에 사용하는 각형강관은 4개의 판을 용접하여 제작하는 박스칼럼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강관은 제작효율이 저하되며, 또한 기둥-보 접합부에는 내측 다이아프램과 관통 다이아프램을 용접하는데 특수한 용접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얇은 강판을 절곡하는 방식으로 응력집중 위치의 용접을 피하고, 단면효율이 극대화된 내부앵커 돌출형의 용접조립 각형강관을 개발하게 되었다. 용접조립 각형강관은 강관내부에 스티프너가 설치되어 내측 다이아프램과 관통 다이아프램과 간섭이 발생하게 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용접조립 각형CFT 기둥-보 접합부로 외다이아프램형식을 채택하고 외다이아프램의 설계식을 제안하였으며, 기둥-보 접합부의 거동을 파악하기 위해 실대형 4개 실험체를 제작하여 구조거동 및 내력을 분석하였다.

패널존의 강도비에 따른 기둥-보 접합부의 내진성능 평가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Beam-Column Connection for Panel Zone Strength)

  • 김성용;신창훈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7권1호통권24호
    • /
    • pp.11-2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H형 기둥-보 접합부에서 스캘럽 주변의 파단을 피하기 위해 스캘럽을 생략하고 보와 기둥의 쉬어탭을 볼트로 체결한 후 보 플랜지의 양면에 커버 플레이트와 리브로 보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스캘럽을 생략함으로써 스캘럽에서의 응력집중의 빈도를 줄이고 용접부 주위에서의 취성파괴를 방지하여 건축물의 내진성능을 향상시키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둔다. 본 목적을 위해 총 4개의 실험체를 제작하고 반복 가력 실험을 실시하였다. 주요 실험변수는 패널존 강도비이고 실험체의 항복강도, 초기강성, 총소성회전에 대한각 부재의 기여도, 에너지 소산능력으로부터 제작된 실험체들이 특수모멘트골조 내진규정에 만족을 하는지와 실험에 사용된 변수에 대한 여러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 모든 실험체는 층간변위 4%, 총소성회전 0.03rad.에 충분이 도달하여 1997 AISC의 내진규정에 따라 특수모멘트골조에 만족할 것이라 판단된다.

보리 유식물에 처리한 수은의 분포 및 독성 연구 (Toxic Effects and Distribution of Mercury in Barley Seedlings)

  • 이춘환;장호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3-21
    • /
    • 1992
  • The inhibitory effects of mercury ions on the growth of barley seedlings were studied and the distribution of metal elements in the organs of treated plants was investigated by using synchrotron radiation induced X-ray emission (SRIXE). Although the treatment of mercury ions caused growth inhibition, the mercury-specific increase in variable fluorescence and the abolishment of energy-dependent quenching in broken barley chloroplasts as shown by Moon et at. (1992) were not observed in the leaves of growth-inhibited seedlings. Instead the treatment of mercury decreased Fmax and Fo values. However, Fmax/Fo ratio and photochemical and nonphotochemical quenching coefficients were not affected significantly. By SRIXE analysis of $10\mu\textrm{m}$ mercury chloride treated seedlings, accumulation of mercury in roots was observed after 1 hour of treatment and similar concentration was sustained for 48 hours. Relative contents of mercury was high in roots and underground nodes where seeds were attachedl but was very low in leaves. Iron and zinc were also distributed mainly in the lower parts of the seedlings. However after 72 hours of treatment the contents of these metals in roots decreased and their distribution became more uniform, which may lead to death of the pla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observed inhibitory effects on barley seedlings upto 48 hours after the treatment is not due to direct damages in the photosynthetic apparatus, but due to its accumulation in roots and the consequent retardation of the growth of barley seedlings. The decrease in Fmax and Fo is probably due to the decrease in chlorophyll and protein contents caused by the retardation of growth. The observed slow expansion of primary leaves could be also explained by the retardation of growth, but the fluorescence induction pattern from the leaves did not show characteristic symptoms of leaves under water stress.

  • PDF

NaCl이 황백화된 보리(Hordeum vulgare L.) 잎의 녹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aCl on the Greening of Etiolated Leaves of Barely (Hordeum vulgare L.) Seedings)

  • 정화숙;임영진;송승달;노광수;송종석;박강은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1권10호
    • /
    • pp.1023-1030
    • /
    • 2002
  • The effects on photosynthesis of NaCl(0, 0.2, 0.4, 0.6, 0.8 or 1.0 M) were examined in etiolated barley seedlings. Chlorophyll(Chl) a, Chl b and carotenoid contents, Chl a fluorescence and quenching coefficients of Chl fluorescence have been determined in the primary leaves of etiolated barley seedlings cultivated under low light(60 $\mu$$m^{-2}\;s^{-1}$). Chl a, b, and carotenoid contents were decreased remarkably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at 0.4 M NaCl. However, the value of Fo and Fv were decreased at 0.6 M NaCl and the ratio of Fv/Fm were deceased at 1.0 M NaCl. Chlorophyll synthesis was seriously inhibited from 0.4 M NaCl, and the photosynthetic electron transport system was inhibited from 0.6 M NaCl. Quantum of photosystem II reaction center was inhibited at 1.0 M NaCl. The effects of NaCl on the Chl content were raised in a 6 hrs, but the effects of NaCl on the value of Fo, Fv and Fv/Fm were raised in 30 hrs. The value of qP was decreased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at all concentrations, but there was a small change in the value qE. These results provide evidence that NaCl inhibited effects of various concentration of NaCl were inhibited quinone redox, however, proton gradient between thylakoid membranes was little damaged.

장미 양액재배 배지의 구성요소로서 폐고무의 재활용에 관한 연구 (Study on Recycling of Waste Rubbers as Medium Components for Hydroponic Culture of Rose)

  • 김진국;이형규;정병용;황승재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9권3호
    • /
    • pp.46-53
    • /
    • 2000
  • 최근 페고무의 증가에 따른 효율적 처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페고무를 장미 양약재배 배지의 구성요소로서 폐고의 재활용 방법을 연구하였으며, 배지내의 장미 생육상태, 미량원소, 다량원소, pH 그리고 EC롤 조사하였다. 생육 초기에 장미는 초기위조(morprent wilting)와 같은 증상이 관찰되었으나, 여러 주 후에 회복하였다. 개화 후 배지내의 $Zn^{2+}$의 농도는 페타이어의 함량이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며, 장미 식재 전 배지내의 pH는 7.17-7.99로 나타났지만, 개화후 배지내의 pH는 5.7-6.35로 식물의 성장에 적합한 상태로 안정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조구인 암면과 비교하여 폐암만과 EPDM 분말 9:3의 비율로 혼합한 배지를 제외한 모든 배지에서 장미의 초장, 가지수 그리고 생체증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유사한 값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Effects of soft pellet creep feed on pre-weaning and post-weaning performance and intestinal development in piglets

  • Chen, Hao;Wang, Chunwei;Wang, You;Chen, Yilin;Wan, Meng;Zhu, Jiadong;Zhu, Aixia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4호
    • /
    • pp.714-723
    • /
    • 2021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oft pellet creep feed (SPCF) on growth performance and intestinal development in piglets. Methods: A total of 18 sows and their litters of crossbred piglets (14±2 days, 3.73±0.72 kg) were assigned to one of three dietary groups receiving i) powder creep feed (PCF), ii) hard pellet creep feed (HPCF) or iii) SPCF during the pre-weaning period. After weaning, piglets were selected for continuous evaluation of the three diets on growth performance and intestinal health. Results: In the pre-weaning period, the average daily feed intake and average daily dry matter intak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PCF group than the HPCF group (p<0.05). In the post-weaning and entire experimental period, the different diet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growth performance. At 10 d after weaning, the serum glucose concentration was lower in the SPCF group (p<0.05) than the other groups; a higher (p<0.05) villus height and lower (p<0.05) crypt depth in the jejunum were also observed in the SPCF group than the other groups; Meanwhile, in the duodenum and jejunum, the SPCF group had a higher (p<0.05) villus height to crypt depth ratio than the other groups; Furthermore, the higher (p<0.05) threshold cycle values of lactic acid bacteria and lower (p<0.05) threshold cycle values of Clostridium, Enterobacter and Escherichia coli were also observed in the SPCF group, and the sucrase and maltase activity was higher (p<0.05) in the SPCF group than the other groups in duodenum and ileum. Conclusion: The SPCF improved pre-weaning feed intake and decreased the negative effects of weaning stress in the intestine in pigle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