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eam morphology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7초

하천 합류점의 하도형상에 관한 수로실험 (Flume Experiments on Channel Morphology at a Tributary Junction)

  • Taeho Kim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55-364
    • /
    • 1998
  • 하천 합류점의 하노형상을 파악하고 하도형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조사하기 위해 소형 수로실험을 실시했다. 합류하는 두 수류리 모삔트가 동일하면 할류후 하도는 합류각도를 이분하는 방향으로 늘어서기 때문에 초기하도의 배열에 따라 하도의 측방이동이 일어난다. 그 결과 합류후 하도의 형상은 합류의 평면형태 즉 대칭형, 점이형. 비대칭형에 따라 달라진다. 합류에 기인하는 가장 특징적인 하도혈상으로 하상 세굴부를 들 수 있다. 급경사의 양벽으로 둘러싸인 합류점의 세굴부는 기본적으로 합류각도에 의해 지배된다. 하천합류는 전통적으로 협화적이라고 표현되어 왔지만 불협화적 합류도 빈번하게 발생한다. 합류의 불협화에는 합류하천의 유량비뿐만 아니라 유사농도비도 관여한다. 따라서 불협화를 일으키는 최대요소로는 두 비를 고려한 수면폭당 단위유량비를 들 수 있다.

  • PDF

Analysis of River Channel Morphology and Riparian Land Use Changes Using Aerial Photographs and GIS

  • Park Geun Ae;Lee Mi Seon;Kim Hyeon Jun;Kim Seong Joo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4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4
    • /
    • pp.566-569
    • /
    • 2004
  • This study is to trace the change of stream shape using the past series of aerial photographs, and to compare the land use changes of riparian area along the stream. For the Gyeongan national stream, aerial photographs of 1966, 1981 and 2000 were selected and ortho photographs were made with interior orientation and exterior orientation, respectively. As apparent changes of the stream, the consolidated reaches of stream with levee construction were straightened and their stream widths were widened. Especially the stream width of inlet part of Paldang lake was widened almost twice because of the rise of water level by dam construction in 1974. The land use maps (1966, 1981,2000) of riparian areas were also made, respectively and classified into 6 categories (water, forest, agricultural land, urban area, road, sandbar) by digitizing. The area of forest and agricultural land decreased and urban area increased as the stream maintenance was performed.

  • PDF

항공사진을 이용한 경안천 하천형태 및 하천부지 변화추세 분석 (Analysis of River Channel Morphology and Riparian Land Use Changes using Aerial Photographs)

  • 박근애;이미선;박민지;김현준;김성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회
    • /
    • pp.458-462
    • /
    • 2004
  • This study is to trace the change of stream shape using the past series of aerial photographs and compare the land use changes of inland along the stream. For the Gyeong-an national stream, aerial photographs of 1966, 1981 and 2000 was selected and ortho photograph was made with RMSE of 1.05, 0.54, 0.72 pixels, respectively. As apparent changes of the stream, the consolidated reaches of stream with levee construction were straightened and their stream width widened. Especially the stream width of inlet part of Paldang lake was widened almost twice because of the rise of water level by dam construction in 1974.

  • PDF

공릉2보 철거에 따른 하천형태학적 변화 (Change in Stream Morphology after Gongneung Weir 2 Removal)

  • 최성욱;이혜은;윤병만;우효섭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2권5호
    • /
    • pp.425-432
    • /
    • 2009
  • 공릉2보는 농업용수의 공급을 위하여 1970년대에 설치되었다. 그러나 인근 지역의 토지 이용의 변화로 용도를 다하여 사용되지 않고 방치되어 있었다. 공릉2보는 높이 1.5 m의 소형 보 이며, 공릉천의 하상재료는 가는 모래에서 가는 자갈로 구성되어있다. 지자체와 지역 주민들과의 협의를 통하여 공릉2보는 2006년 4월 14일 완전히 철거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공릉2보 철거에 따른 하천형태학적인 변화를 조사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보 철거 전 후의 하상재료의 입도분포, 종단 하상고, 그리고 단면형의 변화가 고찰되었다. 보를 포함한 1 km 구간에서 순 퇴적량이 산정되었으며, 결과로부터 평형하상을 유도하는 유사이동 과정이 초반 45일동안 무척 빠르게 진행되었음을 보였다.

항공사진과 GIS를 이용한 하천형태 및 하천부지 변화추세 분석 (Analysis of River Channel Morphology and Riparian Land Use Changes Using Aerial Photographs and GIS)

  • 박근애;이미선;김현준;김성준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7권2호
    • /
    • pp.15-21
    • /
    • 2005
  • This study is to trace the change of stream shape using the past series of aerial photographs, and to compare the land use changes of riparian area along the stream. For the Gyeongan national stream, aerial photographs of 1966, 1981 and 2000 were selected and ortho-photographs were made with interior orientation and exterior orientation, respectively. Apparent changes of the stream were found that the consolidated reaches of stream by levee construction became straight together with widening of their stream widths. Especially the stream width of inlet part of Paldang lake widened almost twice because of the rise of water level by dam construction in 1974. The land use of riparian areas of three selected years were classified into six categories (water, forest, agricultural land, urban area, road, sandbar) by digitizing method. The forest and agricultural lands decreased and urban area increased as the stream maintenance had been performed.

하천공간 확보를 위한 홍수의 공간적 범람 분석 (Spatial Analysis of Flood Inundation for Ensuring Stream Space)

  • 최천규;김주훈;김규호;김길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2호
    • /
    • pp.341-351
    • /
    • 2015
  • 본 연구는 만경강 유역을 대상으로 하천을 하도경사를 이용하여 구분하고 빈도별 홍수량에 따라 확보해야 하는 공간과 홍수 방어 대책 수립 지역을 선정하였다. 하천 구분에 의한 분석결과 상류하천 유역에서는 빈도별 홍수량이 커져도 홍수범람면적의 변화가 작으나 하류 하천유역의 경우 빈도별 홍수량이 커짐에 따라 범람면적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천구간별에 따라 주거지역 면적비율이 10%이하인 지역에 대해서는 하천공간 확보 가능 지역, 그리고 10% 이상인 지역은 홍수방어 보강지역으로 선정하고 분석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하류지역은 하천공간 확보 가능 지역이 많고, 상류지역은 홍수방어 보강지역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과거 하천 형태 및 습지 분포 위치 등을 고려한 하천공간 확보 가능지역을 분석하고자 한다.

位置에너지 槪念에 依한 水系의 河川縱斷 推定 (An Estimation of River bed Profile of the Stream System based on the Potential Energy Concept)

  • 안상진;강관원;김창수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76-88
    • /
    • 1982
  • The stream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 basin have important influence upon the analysis of runoff. In this study, the laws of stream morphology-the law of average stream fall and the law of least rate of potential energy expenditure-which were derived based on the analogy of entropy in thermodynamics are introduced and their validity is analysised with the data taken from the topographic maps covering the whole Geum River system. The first law is the Law of Average Stream Fall which states that under the dynamic equilibrium condition the ratio of average fall between any two different order stream in the same river basin in unity. The second law is the law of least rate of energy expenditure which states that all natural streams are intended to choose their own course of flow such that the rate of potential energy loss per unit mass of water this course is a minimum. The parameters representing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13 tributaries in the Geum River system such as stream bifurcation ratio and stream concavity were Computed from the Horton-Strahler's laws and are used to check the law of average stream fall. The result showed that the law of average stream fall agrees reasonably well with law of Horton-Strahler. Concavity of a river basin is shown to be the determinative factor to the formation of a stream system. Concavity of a river basin is shown to be the determinative factor to the formation of a stream system. Based on Horton's Law and the law of average stream fall, longitudinal stream profiles can be calculated.

  • PDF

소하천 환경조성사업의 평가를 위한 소하천자연도 평가 (The Evaluation of Small Scaled Stream Naturalness for Stream Channel Restoration)

  • 안태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0권5호
    • /
    • pp.359-369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소하천 환경조성사업을 위한 소하천자연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기존 하천자연도 평가의 하천형태와 하천환경의 2개 부문과 14개의 항목에서 2개 항목을 추가하여 16개항목으로 보완하고 3개 항목을 정량화한 지표로 구성한 소하천자연도 평가방법을 제안하였다. 소하천 평면형상의 다양성을 위한 평가지표를 마련하기 위하여 경기 남부 지역에서 55개의 소하천을 선정하여 만곡도, 사행파장 등을 분석하였다. 대상소하천의 굴곡도는 대부분 1.2 내.외이었으며 개략적으로 소하천연장 약 500m 마다 1개의 사행파장을 보여 주고 있어 평면형상에 관한 평가지표 에 반영하였다. 또한 저수로폭의 다양성 평가항목을 정량화하는 지침을 제안하였다.평가 구간의 소하천길이는 경기 남부지역의 소하천 평면형 조사를 통하여 500m ${\sim}$ 1,000m 정도로 제시하였다. 제안된 소하천 자연도 평가 방법을 공사전.후 당왕소하천에 적용하여 소하천의 자연도를 평가함으로써 친환경조성사업의 효과를 평가하였으며, 수정.제안된 소하천 자연도 평가 방법은 소하천의 하천형태 및 하천환경을 적절히 반영하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시계열 항공사진과 20세기 초 지형도를 이용한 경안천유역의 하천형태 및 하천부지 변화추세 분석 (Analysis of River Channel Morphology and Riparian Land Use Changes using Multi-temporal Aerial Photographs and Topographic Maps of the Early 20th Century in Gyeongan-cheon Watershed)

  • 박근애;이미선;김현준;김성준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8권5호
    • /
    • pp.379-39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경안천 유역을 대상으로 과거의 경년 항공사진과 지형도를 이용하여 하천형태의 변화를 분석하고, 하천주위의 토지이용변화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안천 유역의 지방 1, 2급 하천에 해당하는 1966년, 1981년, 2000년 항공사진에 내, 외부표정을 실시하여 정사영상을 생성하였으며 또한 1914 - 1915년 지형도를 이용하여 1966년, 1981년, 2000년의 하천과 비교하였다. 이 영상을 이용하여 경년 하천형태와 하천부지의 토지이용을 분석하였는바, 주로 하천제방구역에서 뚜렷한 하천변화를 보였으며 이는 1974년의 팔당댐 건설에 따른 팔당호 유입부의 변화와 1980년대 후반의 하천정비에 따른 직선화 작업이 그 원인으로 판단된다. 또한 하천부지를 6개의 주요 분류 항목 (수역, 산림, 농지, 주거지, 도로, 모래톱)으로 토지이용도를 작성하여 그 면적변화를 분석해본 결과 농지, 주거지, 도로, 모래톱이 가장 큰 면적변화를 나타내었다.

GIS를 이용한 밀양강 유역의 지형학적 특성 분석 (Analysis of hydrologic chracterustucs for Milyang river basin with a GIS)

  • 유승근;최성규;문상원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0권1호
    • /
    • pp.107-122
    • /
    • 2002
  • 유역 및 하천의 지형학적 특성은 유역을 모델링하고 관리하는데 매우 중요한 인자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GIS 분야에서 구축된 수자원 관련 자료인 수자원 단위지도, 수치지도 등을 이용하여 밀양강 유역의 DEM과 하천망을 생성하고, 누가표고곡선, 하천 지형법칙, 유역특성인자 등을 이용하며 지형학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DEM과 하천망은 수치지도의 지형 관련 레이어와 하천 관련 레이어를 추출하여 생성되었으며, 하천망은 위상 구조 뿐 아니라 방향성과 하천차수도 부여 되었다. 밀양강 유역의 지형학적 특성을 파악한 결과, 밀양강은 지질학적으로 장년기에서 노년기로 변화하고 있는 지역이며, 하천 구조는 Horton-Strahler의 하천지형법칙을 따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수자원 관련 자료가 다양하게 구축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벡터 자료를 이용한 수자원 관련 분석의 가능성을 제시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