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orage rate

검색결과 2,918건 처리시간 0.039초

즉석팥죽 제조를 위한 가공조건 및 제품의 품질 (Preparation Condition and Product Quality of Precooked Redbean Porridge)

  • 김종태;김복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05-309
    • /
    • 1994
  • 이축압출성형기를 사용하여 붉은 통팥과 옥수수전분을 원료로 하여 압축성형하고 이를 건조, 분쇄, 배합하여 즉석팥죽 분말을 제조하였으며 이때의 제조공정과 제품의 품질을 검토하였다. 원료의 수분함량 $24{\sim}26%$, 압출성형온도 $150{\sim}155^{\circ}C$, 스크류의 회전속도 350 rpm 및 원료투입량 60 kg/hr의 압출성형조건으로 제품을 생산하였을 경우 팥죽 고유의 냄새와 색상을 유지하는 제품을 얻을 수 있었다. 압출성형중 분말원료에 가해지는 가수량이 6 kg/hr에서 2 kg/hr로 감소됨에 따라서 압출성형온도는 $150^{\circ}C$에서 $198^{\circ}C$로, 기계적소모에너지는 134 kwh/ton에서 144 kwh/ton으로 증가하였다. 건조분말상태에서 caking이 형성이 되지 않는 수분함량인 4% 이하로 건조되는 열풍건조 조건은 건조온도 $80^{\circ}C$ 에서는 4시간, $100^{\circ}C$ 에서는 1.5시간 이었다. 압출물의 분쇄후 분말의 입도분석은 체목이 0.5 mm인 것을 사용하였을 경우 약 80%가 65 mesh 체를 통과하였고, 1 mm인 체목인 경우는 약 65%가 65 mesh 체를 통과하였다. 최종배합제품의 수분흡수속도는 설탕배합구가 100% RH하에서 13시간이 경과된 후 caking이 형성되었다. 팥압출물분말, 옥수수전분 및 설탕의 배합비를 달리한 제품의 기호도 검사에서 팥의 함량이 줄어듬에 따라 팥죽냄새가 감소하여 기호성이 저하되었다.

  • PDF

방사성폐기물드럼 핵종재고량 평가시설 구축에 따른 방사선차폐 영향평가 (An Evaluation on the Radiation Shielding of the Radwaste Drum Assay Facility)

  • 지영용;곽경길;홍대석;손종식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17-123
    • /
    • 2012
  • 한국원자력연구원 내 저장중인 중 저준위방사성폐기물의 안전한 영구처분을 위하여 방사성폐기물처리시설에서는 이들 저장폐기물의 핵종재고량 평가를 위한 드럼핵종분석장치의 도입을 기획하고 있으며, 이 장치를 운영하고 유지보수하기 위한 전용의 평가시설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이 평가시설 외부에는 제1방사성폐기물저장시설이 인접하여 있으며 내부에는 평가대상드럼들과 드럼핵종분석장치의 밀도보정용 선원 등이 존재함으로 이들이 방사선원항으로 작용하여 평가시설 내 외부의 선량률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방사선원항 주변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방사선차폐 영향을 평가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MCNP 코드를 이용하여 해당 방사선원항으로부터 평가시설 내부 방사선관리구역을 둘러싸고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방사선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현재 고려되고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약 30 cm 두께는 해당 방사선원항으로부터의 방사선을 차폐하기에 충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냉동보관 후 이식한 지방조직의 생물학적 변화와 생존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the Biologic Changes and Viability of Adipose tissue in Cryopreserved Fat Graft)

  • 한재정;권용석;이장호;허정;이근철;김명훈;김석권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6권2호
    • /
    • pp.127-134
    • /
    • 2009
  • Purpose: Adipose tissue injection as a free graft for the correction of soft - tissue deficiency or depression deformity is a widespread procedure in plastic surgery.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s and viability of cryopreserved adipose tissue and to find out efficient long - term storage period. Methods: After centrifugation of aspirated abdominal tissues, $10m{\ell}$ of packed Adipose tissue were freezed at $-20^{\circ}C$. For 2, 4, 6, 8 months, each frozen samples were taken and injected into scalp of SCID mice. After 15 weeks, injected Adipose tissue were sampled and analyzed at 2 months interval. We compared and analyzed each group about the weight of the injected fat, histologic impressions, activity of mitochondria, size of a fat cell and rate of survival. Results: Significant weight changes were observed in cryopreservation for 2 months(p<0.05). Histologic changes were observed, independent of the freezing period with H - E stain. Among cryopreservations for 2, 4, 6 months, no significant change were observed. The reduction of mitochondrial enzymatic activity was observed independent of time interval but activity of mitochondrial dehydrogenase was reduced less than 50% in MTT assay. Conclusion: Freezing in $-20^{\circ}C$ for 6 months has no adverse effect to Adipose tissue, but fragile adipocytes, damaged cell membrane during harvesting procedure, were disrupted within 1 - 2 month and the maximum volume reduction were followed less than 2 month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issue preparation cells without membrane damage have the greatest viability level and cryopreservation less than 2 months has great volume effect and cryopreservation for 6 months has stable volume effect.

Application of Slow-Freezing Cryopreservation Method for the Conservation of Diverse Potato (Solanum tuberosum L.) Genotypes

  • Zhao Mei-Ai;Dhital Shambhu P.;Fang Yi-Lan;Khu Dong-Man;Song Ye-Su;Park Eung-Jun;Kang Chang-Won;Lim Hak-Tae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7권3호
    • /
    • pp.183-186
    • /
    • 2005
  • Cryopreservation has been recognized as a practical and efficient tool for the long-term storage of vegetatively propagated plan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low-freezing techniques on the cryopreservation of potato. In vitro plantlets of the potato genotypes of 'Atlantic', 'Superior’, 'Namseo', 'J138', and 'CTO5-5' were cold acclimated, and the excised axillary buds were precultured, osmoprotected, exposed to plant vitrification solution, frozen slowly to $-40^{\circ}C$ and then rapidly plunged into liquid nitrogen, thawed and finally plated on the regeneration medium.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sucrose concentrations in the subculture medium of donor plantlets, the higher the survival rates of shoot tips after cryopreservation, and the highest survival (20%) was observed in the medium added with 0.25 M sucrose. As for the effect of cooling, $0.3^{\circ}C/min$ cooling speed showed the highest survival (25%). Different varieties showed different responses over different cryopreservation treatments. Survival rate was increased by slow-freezing technique method as compared with that of the basic cryopreservation method of vitrification alone in the diverse potato genotypes. Leaf and tuber morphologies of potatoes regenerated after cryopreservation using slow freezing technique were similar to those derived from the in vitro stock plantlets.

도시 및 도로 조경공간을 활용한 소규모 인공습지 조성 기술 (Development of small constructed wetland for urban and roadside areas)

  • 강창국;;손영규;조혜진;김이형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31-242
    • /
    • 2011
  • 도시화가 진행될수록 건물의 옥상 및 교통관련 시설물 또한 증가하여, 녹지공간은 감소하고 불투수면은 증가하게 된다. 불투수면이 증가함에 따라, 도시내 자연적 물순환 시스템 파괴, 비점오염물질 증가, 생태축 단절 등과 같은 다양한 환경수리학적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최근 들어 국민들의 생활 및 의식수준이 향상되면서, 도시의 경제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심미적인 측면, 환경적인 측면을 동시에 고려한 지속가능한 도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강우유출수 관리에 대한 관심과 인식이 높아지면서 Low Impact Development(LID) 관련 기술의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국내 환경에 적합한 가이드라인, 설계기준 등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도시 및 도로가에 적용하기 위한 소규모 인공습지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Pilot-scale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 TSS, $COD_{Cr}$, TN, TP, Total Pb에 대한 평균저감효율이 각각 95%, 82%, 35%, 91%, 57%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소규모 인공습지가 향후 도시 내 효율적인 물순환 시스템을 구축하고, 수생태계 보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오메프라졸복합체 함유 직장좌제의 특성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the Pharmaceutical Properties of Rectal Suppository containing Omeprazole Complexes)

  • 황성주;박성배;이계주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5권3호
    • /
    • pp.227-237
    • /
    • 1995
  • Omeprazole(OMP) complexes such as inclusion complexes of OMP with $hydroxypropyl-{\beta}-cyclodextrin$(HPCD) and ${\beta}-cyclodextrin({\beta}-CD)$, OMP-cholestyramine(CHL) and OMP-ethylenediamine(OMP-ED) were prepared, respectively. The partition coefficients in Witepsol H-15 /pH 7.4 phosphate buffer solution of OMP complexes$(OMP-HPCD;\;3.69{\pm}0.26,\;OMP-{\beta}-CD;\;4.08{\pm}0.21,\;OMP-CHL;\;4.36{\pm}0.25\;and\;omeprazole\;sodium(OMP-Na);\;3.64{\pm}0.37)$ were higher than that of OMP $(2.66{\pm}0.47)$. OMP was not completely dissolved until even 3 hrs, but all the OMP complexes studied were released about 100% in 20 min. The rectal suppositories containing OMP or each above OMP complex were prepared using Witepsol H-15 base, and their dissolution and stability were examined, and pharmacokinetic study were investigated after their rectal administrations to the rabbits. While the suppository containing OMP was released only less than 60% in 150 min, $OMP-{\beta}-CD$, OMP-CHL, OMP-Na and OMP-ED suppositories were all released about 65% in 20 min. Especially, OMP-HPCD suppository released OMP about 70% in 10 min. All the additives such as sodium laurylsulfate, eglumine, arginine and PVP increased drug release from OMP-HPCD suppository to some extent. The decomposition rate constants of OMP in the suppositories were $9.117{\times}10^{-3}\;day^{-l}$ for OMP suppository, $2.121{\times}10^{-2}$ for OMP-HPCD, $1.607{\times}10^{-2}$ for $OMP-{\beta}-CD$, $9.26{\times}10^{-3}$ for OMP-Na, $6.769{\times}10^{-3}$ for OMP-CHL and $5.58{\times}10^{-3}\;day^{-l}$ for OMP-ED suppository, respectively. Additives such as arginine, eglumine and ED had some stabilizing effect for OMP-HPCD, OMP-CHL and OMP-Na suppositories, respectively. After 6 month-storage at $30^{\circ}C$, 75% RH, OMP-CHL suppository was most stable. The values of Tmax for OMP-HPCD and OMP-Na suppositories were $11.7{\pm}2.36\;and\;11.4{\pm}2.56\;min$, respectively. The values of Cmax for OMP-HPCD and OMP-CHL suppository were $2.31\;{\mu}g/ml\;(p<0.01)\;and\;1.89\;{\mu}g/ml\;p<0.01)$, respectively. The values of AUC for OMP and $OMP-{\beta}-CD$ suppository were $61.9{\pm}25.79\;and\;68.6{\pm}29.48\;{\mu}g\;{\cdot}\;min/ml$, and the corresponding values for OMP-HPCD and OMP-CHL were $106.1{\pm}43.16\;(p<0.05)\;and\;127.3{\pm}42.52\;{\mu}g\;{\cdot}\;min/ml(p<0.01)$, respectively. The above results indicate the OMP-HPCD and OMP-CHL suppositories have the excellent bioavailabilties in vivo study.

  • PDF

상추의 생산단계별 Chlorpyrifos 및 Procymidone의 잔류허용기준 설정 (Persistence and Dislodgeable Residues of Chlorpyrifos and Procymidone in Lettuce Leaves under Greenhouse Condition)

  • 김영숙;박주황;박종우;이영득;이규승;김장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49-155
    • /
    • 2002
  • 상추의 생산단계에서의 잔류허용기준 설정과 최종 소비단계에서의 안전성 평가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상추수확물에서의 잔류수준과 검출빈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진 살충제 chlorpyrifos 및 살균제 procymidone의 포장상태에서의 생물학적 반감기, 보관상태에 따른 잔류량 변화 그리고 세척형태에 따른 제거율을 조사하였다. 시설재배포장에서 상추중두 약제의 살포농도별 생물학적 반감기를 측정한 결과 기준량 살포의 경우 chlorpyrifos 1.2일 및 procymidone 1.3일 배량살포의 경우에는 chlorpyrifos 1.5일 및 procymidone 2.6일로 나타났다. 유통과정중에서 일어날 수 있는 두 가지 농약의 잔류량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실온(20$^{\circ}C$) 및 냉장(4$^{\circ}C$) 상태로 보관하면서 두 약제의 잔류량 변화를 조사한 결과 반감기는 실온저장시 chlorpyrifos 3.8일, procymidone 20.9일이었고, 냉장저장시에는 chlorpyrifos 12.4일 procymidone 20.9일로 나타나 두 약제 모두 실온저장보다 냉장저장시 잔류량의 감소가 훨씬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세척방법에 의한 잔류농약의 감소량을 조사한 결과 세제 사용시의 평균 제거율은 chlorpyrifos 48.3%, procymidone 52.6%로 나타났고, 물 사용 시에는 chlorpyrifos 31.3%, procymidone 38.1%로 나타났다.

Chlorpyrifos 및 Chlorothalonil의 사과 생산단계별 잔류특성 (Residue Levels of Chlorpyrifos and Chlorothalonil in Apples at Harvest)

  • 김영숙;박주황;박종우;이영득;이규승;김장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30-136
    • /
    • 2003
  • 사과의 생산단계에서의 잔류허용기준 설정과 최종 소비단계에서의 안전성 평가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사과에 많이 살포되는 살충제 chlorpyrifos 및 살균제 chlorothalonil의 사과 재배기간 중 생물학적 반감기, 보관방법에 따른 잔류량 변화 그리고 부리별 잔류량 분포를 조사하였다. 사과 재배단계에서의 생물학적반감기는 chlorpyrifos 살포 후 15일 chlorothalonil 살포 후 30일까지의 잔류량 변화를 조사한 결과 chlorpyrifos 9.3일, chlorothalonil 32.2일로 나타났다. 사과의 유통과정중에서 일어날 수 있는 두 약제의 잔류량 변화는 실온저장시 chlorpyrifos 35일, chlorothalonil 56.3일이었고, 냉장저장시에는 chlorpyrifos 120.7일, chlorothalonil 182.2일의 반감기를 나타내었다. 사과의 부의별 잔류량을 조사한 결과 chlorpyrifos의 경우 움푹 파인 부위의 과피 77.1%, 나머지 과피 22.8%, 과육 부리에서는 0.1%로 나타났고, chlorothalonil의 경우 움푹 파인 부위의 과피 85.2%, 나머지 과피 10.4%, 과육 부위에서 4.4%로 나타났다. 사과 중 두 약제의 잔류량은 대부분인 $95{\sim}99%$가 과피에 잔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이온 촉매/에폭시 경화계에서 에폭시 수지의 당량 및 촉매 함량이 경화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quivalent Weight of Epoxy Resins and Content of Catalyst on the Curing Reaction in Cationic Catalyst/Epoxy Cure System)

  • 김연철;박수진;이재락
    • 공업화학
    • /
    • 제8권6호
    • /
    • pp.960-966
    • /
    • 1997
  • 양이온 촉매(N-Benzylpyrazinium hexafluoroantimonate, BPH)/에폭시 경화계에서 에폭시 수지(DGEBA/DGEBF)의 에폭시 당량 및 촉매함량이 경화 거동, 열적특성 및 유변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FT-IR, DSC 및 Dynamic Viscometer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0.5wt% BPH를 함유하는 DGEBA의 경우 DGEBF/BPH에 비하여 반응 속도가 빠르고 반응 초기에서의 반응 진행(전환율)이 크게 나타나는 것을 등온 DSC 및 FT-IR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BPH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반응속도와 전환율이 거의 같은 값을 보여줌을 알 수 있었다. 겔화점(Gel point)으로 정의되는 저장 탄성율(G')과 손실 탄성율(G")의 교차점(G'/G"=1)의 경우 하이드록시기를 포함할 때 도달시간이 빠르게 나타나는데 이는 반응 초기에 하이드록시기의 반응 참여에 의해 반응 초기에 3차원 가교 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 생각되었고 또한 DSC 및 FT-IR 결과와 일치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겔화점에 도달하는 시간을 이용하여 구한 활성화에너지 값은 $31-39kJ.mol^{-1}$의 값을 나타내었다.

  • PDF

Retort Pouch 김치의 전열특성(專熱特性)과 살균조건(殺菌條件)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Heat Penetration and Pasteurization Conditions of Retort Pouch Kimchi)

  • 변유량;신승규;김주봉;조은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14-420
    • /
    • 1983
  • 1. 김치의 주 산패균인 L. plantarum을 김치로부터 분리하고 내열성시험을 행한 결과 D 값은 $61{\sim}69.5^{\circ}C$에서 $1.08{\sim}0.18$분이었으며 z 값은 $10.5^{\circ}C$ 이었다. 2. 김치의 살균시 열전달 속도에 미치는 인자를 검토한 결과 탈기는 $80^{\circ}C$ 에서 10분, 두께는 $1{\sim}1.5cm$, 고형물대 국물비는 9 대 1 의 조건이 적정조건임을 알수 있었고, 밀봉시 가능한 한 봉입공기량이 최소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3. 김치의 열확산도는 생김치일 때 $1.15{\times}10^{-3}cm^{2}/s$ 이었으나 탈기할수록 점차 증가하여 $80^{\circ}C$, 15분 탈기 하였을 때 $1.44{\times}10^{-3}cm^{2}/s$ 이었다. 4. 김치의 살균온도 및 시간에 따른 저장실험을 행한 결과 살균온도 $80{\sim}90^{\circ}C$ 에서는 10분 이상, $95^{\circ}C$ 에서 7분 이상의 조건이 장기보존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5. 회분열수식 살균기에서 파우치 김치를 살균할 때는 $95^{\circ}C$ 이상의 고온살균은 부적당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열수의 공급과 회수 및 냉각수 공급시간이 김치의 살균에 큰 영향을 미쳤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