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orage

검색결과 22,773건 처리시간 0.053초

진공함침을 적용한 바인더젯 3D 프린팅 출력물의 성능 평가 (Evaluation of Binder jetting 3D Printed Specimens Using Vacuum Impregnation)

  • 박광민;박수현;;이봉춘;노영숙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4권2호
    • /
    • pp.103-110
    • /
    • 2020
  • 본 연구는 바인더젯 3D 프린팅 출력물의 강도증진을 위하여 진공함침 후처리 공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출력물 크기에 따른 강도발현 한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10 mm, 20 mm, 30 mm 및 40 mm 큐빅 출력물을 대상으로 침투성, 부피밀도 및 압축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진공함침 후처리 공정에서 최대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후처리 용액이 출력물 내부까지 침투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침투면적률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출력물 압축강도율과 후처리 용액 침투면적률은 보정결정계수 0.992의 지수함수 형태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부피밀도가 증가하였으며 이는 후처리 용액이 내부까지 침투한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바인더젯 3D 프린팅 출력물의 강도증진을 위해서는 출력물 내부까지 후처리 용액을 침투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한 유효한 방법으로써 진공함침을 제안한다.

비휘발성 메모리의 공간적 효율성을 고려한 파일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File System that Considers the Space Efficiency of NVRAM)

  • 현철승;백승재;최종무;이동희;노삼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3권9호
    • /
    • pp.615-625
    • /
    • 2006
  • 최근 차세대 메모리 기술이 급격히 발전하여 FeRAM과 PRAM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의 상품화가 진행 중이다. 이러한 차세대 비휘발성 메모리(NVRAM)는 메모리와 저장 장치의 속성을 모두 만족시켜 데이타를 영속적으로 저장할 뿐 아니라 빠른 데이타 임의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NVRAM에 자주 변경되는 객체를 영속적으로 저장하기 위해서는 네이밍, 회복, 그리고 공간 관리와 같은 파일 시스템의 핵심 기능이 모두 필요하다. 그렇지만 기존 파일 시스템과 최근에 개발된 NVRAM 용 파일 시스템 모두 공간 효율이 낮으며, 어떤 경우 50% 정도에 불과하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고가인 NVRAM을 활용하기 위하여 공간 효율성이 뛰어난 익스텐트(extent) 기반의 NEBFS (NVRAM Extent-Based File System) 파일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그리고 기존 파일 시스템과 NEBFS의 공간 효율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아울러 NEBFS를 구현하고 NVRAM이 탑재된 보드 및 NVRAM 에뮬레이션 환경에서 공간 효율성을 측정하여 분석 결과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는 NEBFS의 공간 효율이 기존 파일 시스템보다 우수함을 보여 준다.

자가 산부식 프라이머와 자가 산부식 접착제의 변연 미세누출 (MARGINAL MICROLEAKAGE OF SELF-ETCHING PRIMER ADHESIVES AND A SELF-ETCHING ADHESIVE)

  • 조영곤;조공철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7권5호
    • /
    • pp.493-501
    • /
    • 2002
  • This study evaluated the microleakage performance of four self-etcing primer adhesives(Clearfil SE Bond, Clearfil Liner Bond 2, UniFil Bond, and FL Bond) and one self-etching adhesive(Prompt L-Pop). Class V cavity preparations with occlusal margins in enamel and gingival margins in dentin were prepared on both buccal and lingual surfaces of 50 extracted human molar teeth. Prepared teeth were randomly divided into five groups and restored using one of five adhesives and composite resins: Prompt L-Pop/Filtek Z 250(Group 1), Clearfil SE Bond/Clearfil AP-X(Group 2), Clearfil Liner Bond 2/Clearfil AP-X(Group 3), UniFil Bond/UniFil F(Group 4), and FL Bond/Filtek Z 250(Group 5). Following one day storage in room temperature water, the restored teeth were thermocycled for 500 cycles between 5$^{\circ}C$ and 55$^{\circ}C$. Marginal microleakage was assessed by dye penetration using 2% methylene blue dye. After 24 hours, the teeth were sectioned longitudinally and evaluated for microleakage under steromicroscope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sed by Kruskal-Wallis Test, Mann-Whitney and Wilcoxon signed ranked te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microleakges at both enamel and dentinal mal$.$gins were the lowest in group 4. increasing among groups in the following order: group 2, follwed by group 5, follwed by group 1, and the highest in group 3. 2. At the enamel margins, the microleakage of group 3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groups 2. 4 and 5(p<0.05), and also the microleakage of group 1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ose of groups 2 and 5(p<0.05). 3. At the dentinal margins, microleakage of group 3 was signincantly higher than microleakages of groups 1, 2, 4 and 5(p<0.05). 4. Compared with microleakages between the enamel and dentinal margins of each group, groups 1, 4 and 5 at enamel margin and group 2 and group 3 at dentinal margin were higher microleakag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namel and dentinal microleakages of each group(p>0.05).

콘택트렌즈 착용에 따른 사용자 실태조사 (The Current State of Lens Care in Contact Lens Wearer)

  • 유근창;김인숙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5-20
    • /
    • 2002
  • 콘택트렌즈 착용에 따른 사용자의 실태조사는 안경원과 안과에 내원한 콘택트렌즈 사용자 237명(남자 56명, 여자 181명)을 대상으로 문진과 세극 등 검사, 각막곡률 검사, 굴절검사 등을 하였다. 연구 결과 연령에 따른 현재 착용하고 있는 콘택트렌즈 착용률은 10대 40.9%, 20대 52.3%, 30대 5.5%, 40대 1.3%로 조사되었으며, 콘택트렌즈의 종류는 소프트콘택트렌즈의 경우 10대의 착용률은 82.5%, 20대 83.1%, 30대 38.5%이었으며, 하드 콘택트렌즈 착용률은 10대 17.5%, 20대 16.9%, 30대 61.5%로 조사되었다. 콘택트렌즈 착용목적은 전체 조사자의 40.5%는 안경이 불편해서, 32.1%는 미용목적으로 9.7%는 스포츠를 목적으로 17.7%는 시력교정목적으로 착용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렌즈관리 시스템의 경우 전체 조사자의 16.5%는 매일세척을 하였으며, 29.1%는 매일 세척과 단백질 제거를 한 것으로 조사되었고, 21.9%는 매일세척과 다목적용액을 사용하였으며, 32.5%는 매일세척과 단백질제거 그리고 다목적용액을 사용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렌즈 착용시간은 10시간 이내가 31.6%, 11~13시간 미만의 경우가 41.3%, 14시간이상은 27%로 조사되었다. 콘택트렌즈 보관방법에서 62%는 보존액, 38%는 식염수를 사용하였다. 콘택트렌즈 교체 이유는 렌즈분실 35%, 렌즈손상 37.6% 이물질 침착 21.9%, 5.5%는 렌즈수명의 이유로 렌즈를 교체하였다. 현재 사용 중인 콘택트렌즈의 주요 자각증상은 급성 충혈의 자각증상 21%, 이물감 20.8%, 통증 19.6%, 건조감 9.4%, 흐린 시야 5.5%, 시야감소 3.8%, 유루 3.7%, 삼출물 2.8%, 가려움 2.6%, 자각증상이 없는 착용자는 10.2%로 조사되었다. 콘택트렌즈 사용자의 렌즈관리 교육에 대한 만족도에서 51%는 만족하였으나 28.7%는 불만족을 나타냈다. 착용자의 정기검사에서 81.1%는 정기검사를 하지 않았으며, 18.1%는 정기검사를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적채 추출물의 기능성 및 적채를 첨가한 우리밀 국수의 품질특성 (Functional Properties of Brassica oleracea L- Extract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Wheat Noodles With Brassica oleracea L.)

  • 김미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9호
    • /
    • pp.1443-1449
    • /
    • 2005
  • 본 연구는 품질 특성과 기능성을 가진 우리밀 국수를 개발하기 위하여 적 채 분말을 물과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 등의 기능성을 검토하고 적채를 첨가한 우리밀 국수의 품질특성을 검토하였다.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물 및 에탄을 추출물 모두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자공여능도 증가하였으며 1000 ppm에서 물 추출물은 $64\%$, 에탄을 추출물은 $76\%$로 에탄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이 물 추출물보다 높았다. 추출물의 아질산염소거능은 물 및 에탄을 추출물 모두에서 pH가 낮아짐에 따라 증가하여 PH 1.2에서 가장 높았고 동일 pH에서는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적채를 첨가한 우리밀 국수 생면을 $20^{\circ}C$에서 일주일간 저장하였을 때 적채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총균수 및 진균수는 대조구의 최대균수를 나타낸 저장일의 균수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우리밀 적채국수의 색도 측정 결과 명도(L)는 생면과 건면의 경우 적채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으며 적색도(a)는 생면, 건면, 삶은면 모두에서 적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져 $7\%$ 첨가구가 가장 높았고 황색도(b)는 생면과 건면의 경우 적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았다. 삶은면에서는 적색도 감소가 가장 큰 $5\%$ 첨가구에서 황색도 및 명도가 가장 높았다. 적채를 첨가한 우리밀 건면과 삶은면의 관능검사 결과 색을 제외한 모든 기호도에서 $3\%$ 첨가구가 가장 높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김밥 제조공정에서의 미생물 오염도 평가 및 감마선 조사를 이용한 김밥의 보존안정성 향상 (Determina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the Process of Rice Rolled in Dried Laver and Improvement of Shelf-life by Gamma Irradiation)

  • 김동호;송현파;김재경;김정옥;이현자;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991-996
    • /
    • 2003
  • 김밥 원료 및 김밥 보존 중의 일반 호기성세균과 대장균군의 분포를 측정하고 감마선 조사에 의한 김밥의 위생성 및 보존성 개선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김밥 원료 중 미생물 오염이 가장 큰 것은 김이었으며 비가열 채소인 오이의 오염가능성도 높았으나 실제로 김밥에 오염된 미생물의 대부분은 제조과정에서 환경으로부터 유입되었다. 김밥의 보존 중 일반세균의 생장은 밥과 계란에서 가장 높았으며 대장균군의 생장은 동물성 원료인 계란과 햄에서 현저하였다. 김밥의 감마선 조사에서 일반세균은 2kGy 이상의 선량에서 2∼4 log cycle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대장균군은 2 kGy 이상의 선량에서 대부분 사멸되었다. 감마선 조사선량에 따른 김밥의 관능평가 결과 3 kGy 조사구는 대조구에 비하여 관능적인 선호도가 현저히 낮았으며 2 kGy 조사구는 감마선 조사 직후 대조구에 비하여 다소 선호도가 낮았으나 15$^{\circ}C$에서 24시간 보존 후에도 안정적인 관능특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김밥의 위생성 및 보존성 개선을 위하여 2 kGy의 감마선 조사가 적정 수준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beta-Galaetosidase의 고정화 및 응용에 관한 연구 제2보: Aspergillus niger CAD 1의 효소 교정화 조건 및 고정화 효소의 성질 (Studies on immobilization and application of beta-galactosidase II.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the immobilized enzyme from Aspergillus niger CAD 1)

  • 이용규;전순배;최원기;정기철;배석;김관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0-46
    • /
    • 1986
  • 제1보에서 보고한 Aspergillus niger CAD 1의 beta-galactosidase를 cellulose triacetate를 담체로 하여 고정화조건을 검토하였던바, 13%(v/v)의 정제된 효소와 10%(w/v)의 cellulose triacetate를 30분간, 150stroke/min으로 진탕하면서 포괄시킨 고정화 효소의 활성이 가장 좋았다. 고정화 효소의 최적온도는 $45^{\circ}C$, 최적 pH는 4.5로서수용성 효소의 것과 같았다. 기질로서 ONPG와 유당에 대한 Km값은 각각 $8.3{\timess}10^{-3}$$117.0{\times}10^3M$, Vmax값은 각각 $30.3{\times}10^3M$$5.0{\times}10^3M$이였다. 본 고정화 효소는 $4^{\circ}C$에서 90일간 저장시에 90%, $45^{\circ}C$에서 5회 사용후에 70%의 잔존활성을 나타냈으며 유당분해율도 좋았다.

  • PDF

Protopectinase를 이용한 참다래의 가공 특성 (Processing Properties of Kiwifruit Treated with Protopectinase)

  • 이대희;이승철;황용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01-406
    • /
    • 2000
  • 가공식품의 개발에 있어서 식품의 맛과 더불어 저장성, 열안정성 및 색조유지는 소비자의 기호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B.subtilis EK11 유래의 PPase는 식물조직 중엽부의 주성분인 불용성 protopectin을 분해하여 단세포화하는 효소이다. PPase를 참다래에 작용시켜 참다래 고유의 세포 속에 함유되어 있는 세포내 성분들의 파손 없이 단세포를 유리하였다. 참다래 조직으로부터 제조된 단세포화물의 착즙 후 관찰된 회수율과 잔사율은 각각 82%와 18%로써, 기계적 마쇄물에서의 60%와 40%에 비하여 높은 회수율과 낮은 잔사율을 나타내었다. 총당, 환원단, sucrose,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섬유에 대해 함량 변화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이는 단세포 처리에 의하여 이들 성분이 안전하게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PPase로 처리시 가장 불안정한 비타민 C가 1일 경과 후에도 95% 이상이 보존되는 것으로 보아 단세포에 의한 일반적인 구성성분이 안정하게 유지 보호됨을 알 수 있다. PPase로 처리된 참다래 단세포물을 $4^{\circ}C$에서 6일간 저장하며 색조를 관찰한 결과, 기계적 마쇄물에서는 변색이 일어났으나 단세포화물에서는 뚜렷한 색조의 차이가 없었다. 또한 PPase로 처리한 참다래 단세포물을 $100^{\circ}C$에서 60분간 열처리한 후 관찰한 결과, 기계적 마쇄물에서는 짧은 처리에도 극심한 변화를 보였으나 단세포화물에서는 변화가 보이지 않아 높은 열안정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PPase는 참다래의 단세포화물에 응용 가능하여 참다래 음료제조 및 원료 보존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 진다. 또한 PPase을 이용한 참다래의 효율성 제고와 고부가가치의 기능성 식품제조에 이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PDF

디피리다몰 체내동태 연구를 위한 혈청 중 디피리다몰의 HPLC 정량법 개발 및 검증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HPLC Method for the Pharmacokinetic Study of Dipyridamole in Human)

  • 조혜영;강현아;문재동;최후균;이용복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6권1호
    • /
    • pp.45-51
    • /
    • 2006
  • A rapid, selective and sensitive reversed-phase HPL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dipyridamole in human serum was developed, validated, and applied to the pharmacokinetic study of dipyridamole. Dipyridamole and internal standard, loxapine, were extracted from human serum by liquid-liquid extraction with diethyl ether and analyzed on a Nova Pak $C_{I8}$ column with the mobile phase of 40 mM ammonium acetate:methanol:acetonitrile (35:35:30)(v/v/v, pH 7.8). Detection wavelength of 280 nm and flow rate of 1.0 mL/min were fixed for the study. The assay robustness for the changes of mobile phase pH, organic solvent content, and flow rate was confirmed by $3^3$ factorial design using a fixed dipyridamole concentration (50 ng/mL) with respect to its peak area and retention time. And also, the ruggedness of this method was investigated at three different laboratories using same quality control (QC) samples. This method showed linear response over the concentration range of 2-2000 ng/mL with correlation coefficients greater than 0.999. The lower limit of quantification using 0.5 mL of serum was 2 ng/mL, which was sensitive enough for pharmacokinetic studies of dipyridamole. The overall accuracy of the quality control samples ranged from 103.94 to 105.86% for dipyridamole with overall precision (% C.V.) being 4.60-11.49%. The relative mean recovery of dipyridamole for human serum was 97.64%. Stability studies showed that dipyridamole was stable during storage, or during the assay procedure in human serum. The peak area and retention time of dipyridamole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changes of mobile phase pH, organic solvent content, and flow rate under the conditions studied. This method showed good ruggedness (within 15% C.V.) and was successfully used for the analysis of dipyridamole in human serum samples for the pharmacokinetic studies of orally administered Dimor tablet (75 mg as dipyridamole) at three different laboratories, demonstrating the suitability of the method.

유화액 시스템에서 옥테닐 호박산 베타글루칸의 계면 특성 (Interfacial Properties of Octenyl Succinyl Barley ${\beta}$-Glucan in Emulsion System)

  • 길나영;김산성;이의석;신정아;이기택;홍순택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42-652
    • /
    • 2014
  • The synthesis of octenyl succinyl ${\beta}$-gucan (OSA-${\beta}$-glucan) was carried out and its interfacial properties at the oil-water interface and in emulsion systems were investigated. An aqueous ethanol system as a reaction media was used to facilitate the synthesis process; 10% (w/w) ethanol found to be the best as it showed a maximum degree of substitution (DS: 0.0132). FT-IR showed a characteristic absorption spectrum at $1736cm^{-1}$, indicating the esterification of octenyl succinyl groups to ${\beta}$-glucan backbone. As for interfacial tension measurements, it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OSA-${\beta}$-glucan in the aqueous phase and when NaCl was added to aqueous OSA-${\beta}$-glucan solution in the range of 0.01 M to 0.1 M and also when pH was raised (pH 3 ~ pH 9). In systems of emulsion stabilized with OSA-${\beta}$-glucan, fat globule size found to decrease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OSA-${\beta}$-glucan, showing a critical value of about $0.32{\mu}m$ at 0.5 wt%. When the OSA-${\beta}$-glucan emulsions were stored, it was found that fat globule size was increased with storage time and particularly pronounced increase was observed in emulsion with 1% OSA-${\beta}$-glucan, possibly due to depletion flocculation. Results of creaming stability evaluated by light scattering technique showed that it was more stable in emulsions containing smaller fat globule size. Surface load of OSA-${\beta}$-glucan in emulsions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OSA-${\beta}$-glucan, suggesting a multilayer adsor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