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rols

검색결과 241건 처리시간 0.041초

하수처리장 방류수역에서 분변계스테롤과 노닐페놀류의 분포 특성 (Distribution of Fecal Sterols and Nonylphenolic Compounds in Sediments from Busan Suyeong Estuary, Impacted by Wastewater Treatment Plant Effluents)

  • 백승홍;윤세라;이인석;황동운;최민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1006-1013
    • /
    • 2014
  • Wastewater organic compounds, that is, nonylphenolic compounds (NPs) and fecal sterols, were measured in surface sediments from Busan Suyeong Estuary, where two wastewater treatment plants (WWTPs) are located, to assess contamination from municipal effluents. The NPs analyzed were nonylphenol, and nonylphenol mono- and di-ethoxylates, all synthetic endocrine disruptors. The fecal sterols analyzed were coprostanol (COP), cholestanol, and epicoprostanol. Concentrations of NPs in the sediments ranged from 146 to 3,723 ng/g, and those of COP ranged from 366 to 13,018 ng/g. Their detection in all of the sediments analyzed indicates widespread pollution by municipal effluents. The highest concentrations of NPs and COP were detected at stations close to outfalls of WWTPs. Their levels in sediments are categorized in the higher range of those previously reported in Korean coastal areas. Moreover, in comparison with screening values of NPs in the Netherlands, Norway, and Canada, more than 50% of the sampling stations exceeded the guidelines. This indicates that the estuary may be adversely influenced by municipal effluents.

대두발아(大豆發芽)중 지질대사(脂質代謝)에 관한 연구-제1보(第1報) 조지방량(粗脂肪量) 및 지질(脂質)성분의 변화에 관하여- (Studies on the Lipid Metabolism of Soybean during its Germination-(Part 1) Changes of crude fat content and lipid composition in soybean during germination-)

  • 신효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7권4호
    • /
    • pp.240-246
    • /
    • 1974
  • 한국산의 대두를 $21{\sim}25^{\circ}C$의 암소(暗所)에서 10일동안 발아시키면서 2일 간격으로 두아(豆芽)를 채취하여 자엽부(子葉部)와 배축부(胚軸部)의 2부분으로 분리한 후 이 두 부립(部位)의 건물량(乾物豊), 조지방량(粗脂肪量) 및 지질(脂質)성분의 변화를 각각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발아 중 자엽부(子葉部)의 건물량(乾物豊)과 조지방량(粗脂肪量)은 감소 하는데 반(反)하여 배축부(胚軸部)의 건물량(乾物豊)은 증가하였고 조지방량(粗脂肪量)은 큰 변화없이 일정 하였다. (2) 발아중 자엽부(子葉部)의 triglyceride 함량은 계속 감소하고 유리지방산의 함량은 계속 증가하는데 반하여 배축부(胚軸部)의 triglyceride 함량은 6일 후까지는 변화가 없으나 8일 후부터는 약간씩 증가하였고 유리지방산의 함량은 4일 후 까지는 증가하다가 6일 후 부터는 감소하였다. 그리고 phospholipid, free 및 esterified sterol의 함량은 자엽부(子葉部)에서는 모두 증가하였고 배축부(胚軸部)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다.

  • PDF

Analysis of Lipophilic Constituents Related to Heartwood Formation in Young Swietenia mahagoni (L.) Jacq Trees

  • Rizki ARISANDI;Koetsu TAKAHASHI;Arif NIRSATMANTO;Sri SUNARTI;Anto RIMBAWANTO;Asri Insiana PUTRI;Noor Khomsah KARTIKAWATI;Liliek HARYJANTO;Toni HERAWAN;Fajar LESTARI;Ganis LUKMANDARU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2권1호
    • /
    • pp.13-30
    • /
    • 2024
  • Swietenia mahagoni is one of the commercial timbers in Indonesia. Mahogany heartwood is an important characteristic as it relates to the natural durability and aesthetics of the wood. Lipophilic extractives are known to be involved in the heartwood formation proces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lipophilic compounds associated with heartwood formation. The n-hexane extract from sapwood and heartwood samples (1 to 5 years) was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ntent of n-hexane extract ranged from 0.76% to 2.45% based on dry wood. The main group of compounds identified in the lipophilic fraction consisted of sterols (β-sitosterol, stigmasterol, campasterol, and cyclolaudenol), fatty acids (palmitic, oleic, linoleic, and stearic acid), and hydrocarbons (pentadecane, 1-octadecane, hexadecane, cyclotetracosane, cycloeicosane, and cyclooctacosane) after heartwood formation. In addition, the hydrocarbon fraction was the largest, followed by sterols, fatty acids, and 1-heneicosanol. In the radial variation, the distribution of fatty acids was greater in the sapwood than in the heartwood (4-year-old). However, the reverse pattern was found at the age of 5 years. The lipophilic fraction was generally more abundant in the heartwood compared to the sapwood, especially at 5 years of age, with much higher levels than when the heartwood was forming (4 years). These findings show that when the heartwood formation begins, the lipid composition was not fully metabolized at the beginning of heartwood formation compared to 5-year-old trees.

GC/MS에 의한 담석과 담즙내의 Cholesterol, Bile Acids 및 Sterols의 동시 Profiling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Cholesterol, Bile Acids and Sterols in Human Bile Juices and Gallstones Using GC/MS)

  • 양윤정;이선화;김현주;정봉철
    • 대한화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66-276
    • /
    • 1998
  • 담즙산 분비 저하 및 콜레스테롤의 과도한 분비는 담석 형성의 주된 원인으로 담즙내의 담즙산과 콜레스테롤 및 그 전구 물질인 스테롤의 상대적인 농도는 담즙 성분의 이상을 알아보기 위한 중요한 지표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염기를 이용한 가수 분해와 pH 14와 1에서 두 번의 액체-액체 추출을 거친 후, $MSTFA/NH_4I$ 혼합액으로 유도체화 시키는 전처리 방법과 GC/MS를 이용한 새로운 분석 방법을 설정, 담즙산과 스테롤 그리고 콜레스테롤의 동시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고 회수율은 73.56-96.95% 이었고 within-a-day 및 day-to-day 분석의 RSD 값은 각각 1.72-13.79%, 0.68-14.10% 이었으며, 이 방법을 간내 담석증 환자에 적용하여 담즙과 담석내에 존재하는 7종의 스테롤과 5종의 담즙산, 그리고 콜레스테롤의 농도 및 그들간의 상대적인 농도 분포를 측정한 결과 담즙고 담석에서 현저히 다른 차이를 보였다.

  • PDF

Xylooligo당이 고콜레스테롤 식이 횐쥐 간조직의 UDP-Glucuronyl Transferase 활성과 분변중 Sterol류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Xylooligosaccharide on Hepatic UDP-Glucuronyl Transferase Activity and Compositions of Fecal Sterols in Rat Fed High Cholesterol Diets)

  • 김성옥;이인구;이순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197-1203
    • /
    • 2001
  • 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에서 xylooligo당이 간조직중의 UDP-glucronyl transferase 활성과 분변을 통한 지질, 담즙산 및 중성 sterol류의 배설 및 장기능개선 효과를 관찰하였다. 실험동물은 100$\pm$10g의 Sprague-Dawley 횐쥐를 이용하여 정상 식이군과 1% 고콜레스테롤 실험군으로 나누고 다시 실험군은 1%의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xylooligo당을 0%, 5%, 10% 및 15% 농도 첨가군(C, C5XO, C10XO 및 C15XO군)로 나누어 각군마다 10마리씩 4주간 자유섭식 시켰다. 분변중의 총지질 및 TG함량은 C군에 비해 xylooligo당 공급군에서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간 microsome의 UDP-glucuronyl transferase의 활성은 정상군에 비해 C군에서 35% 증가되었고 또 C5XO, C10XO 및 X15XO군은 C군에 비해 15%, 41% 및 21%씩 각각 증가되었다. 분변중의 bile acid 함량은 C군에 비해 C5XO, X10XO 및 C15XO군에서 3.1배, 3.6배, 2.8배씩 각각 증가되었다. 분변중 중성 스테롤류인 cholesterol, coprostanol, coprostanone 함량은 C군에 비해 xylooligo당 공급군에서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xylooligo당은 고콜레스테롤 식이 횐쥐에서 간조직의 UDP-GTase활성을 증가시키고 분변으로 총지질 및 중성지방 그리고 스테롤류의 배설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었고 또 분변량도 증가시키는 장기능 개선 효과도 뚜렷하였다.

  • PDF

수산물의 지질에 관한 연구 (제4보) -두족류의 근육지질성분에 대하여- (Studies on the Lipid of Aquatic Products (Part 4) On the Flesh Lipid Composition of Cephalopods)

  • 하봉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9-73
    • /
    • 1982
  • 두족류의 근육지질의 특징을 알기 위하여 3종의 두족류를 사료로 하여 이들 근육에서 총지질을 적출하였고, 이를 thin layer chromatography, column chromatography 및 gas-liquid chromatography 그리고 TLC-scanner를 이용하여 총지질을 구성하는 지질성분. 지방산조성, sterol조성 그리고 총지질에서 분획한 중성지질, 당지질 및 린지질의 지방산조성을 정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각 시료의 총후무사양은 생시료에 대하여 문어가 $0.5\%$, 낙지가 $0.8\%$ 그리고 꼴뚜기가 $0.6\%$였고 이들 평균지질함양은 $0.6\%$였다. 그리고 총지질의 전지방산양은 문어가 $19.3\%$, 낙지가 $47.8\%$,꼴뚜기가 $38.4\%$였으며, 불광화물양은 문어가 $10.9\%$, 낙지가 $15.8\%$, 꼴뚜기가 $41.1\%$로서 높은 함양을 나타냈다. 2) 총지질을 구성하는 성분으로는, sterol성분과 극성지질일색소 혼합층의 함양분포가 총지질에 대하여 각각 $27.0\sim35.5\%$ 그리고 $38.3\sim63.4\%$로서 시료에서 다 같이 높은 함양을 나타내고 있어 총지질이 주성분을 이루며, 문어의 근육에는 다른 시료보다 sterol성분의 함양이 높았다. 그리고 그가 소양성분으로 triglyceride, 유리지방산 및 탄화수소-esterified sterol혼합층이 분리 동정되었다. 3) 총지질의 지방산조성은 시료에서 다 같이 Palmitic acid가 주성분을 이루고 그외 oleic acid, linoleic acid, octadecatetraenoic acid 및 eicosapentaenoic acid가 구성지방기의 주체를 이루고 있다. 특히 문어의 총지질에는 palmitic acid와 eicosapentaenoic acid가 서로 비슷한 양으로 존재하면서 주성분을 이루고 있었다. 4) sterol조성에 있어서는 시료에서 다 같이 전sterol성분에 대한 cholesterol의 함양분포가 $82.4\sim89.1\%$로서 가장 많았고 그외 소양성분으로서 22-dehydrocholesterol 과 24-methylenecholesterol이 각 시료에 공통적으로 함유하고 있었다. 5) 총지질에서 분획한 비극성복질(신성지질)과 극성지질의 함양비는 시료에서 다 같이 비극성낙질보다 극성지질의 함양이 훨씬 높았다. 그리고 극성지질중에서도 당지질보다 린지질의 함양이 월등히 높았다. 6) 중성지질을 구성하는 성분으로는 유리 sterols의 함양분포가 중성서질에 대하여 $50.0\sim70.5\%$로서 주성분을 이루며, 그 다음 서로 비슷한 양으로 나타나는 esterified sterol, 유리지방산 및 triglyceride가 분리 동정되었다. 그리고 중성지질을 구성하는 지방산은 palmitic acid, oleic acid, hexadecadienoic acid 주성분이었다. 7) 당지질을 구성하는 지방산은 palmitic acid가 가장 많고 그가 oleic acid, linoleic acid, octadecatetraenoic acid, myristic acid가 구성지방산의주함분을 이룬다. 그러나 특히 꼴뚜기의 당지질에는 이들 지방산외에 arachidonic acid의 함양이 월등히 높아 주성분의 하나였다. 8) 린지질을 구성하는 지방산은 palmitic acid함양이 가장 많았고 그가 oleic acid, linoleic acid, octadecatetraenoic acid가 구성지방산의 주성분이었다. 본 연구는 1981년도 문교부연구조성비의 지원으로 이루어 졌음을 밝힌다.

  • PDF

Stigmasterol isolated from marine microalgae Navicula incerta induces apoptosis in human hepatoma HepG2 cells

  • Kim, Young-Sang;Li, Xi-Feng;Kang, Kyong-Hwa;Ryu, BoMi;Kim, Se Kwon
    • BMB Reports
    • /
    • 제47권8호
    • /
    • pp.433-438
    • /
    • 2014
  • Plant sterols have shown potent anti-proliferative effects and apoptosis induction against breast and prostate cancers. However, the effect of sterols against hepatic cancer has not been investigated. In the present study, we assessed whether the stigmasterol isolated from Navicula incerta possesses apoptosis inductive effect in hepatocarcimona (HepG2) cells. According to the results, Stigmasterol has up-regulated the expression of pro-apoptotic gene expressions (Bax, p53) while down-regulating the anti-apoptotic genes (Bcl-2). Probably via mitochondrial apoptosis signaling pathway. With the induction of apoptosis caspase-8, 9 were activated. The DNA damage and increase in apoptotic cell numbers were observed through Hoechst staining, annexin V staining and cell cycle analysis. According to these results, we can suggest that the stigmasterol shows potent apoptosis inductive effects and has the potential to be tested as an anti-cancer therapeutic against liver cancer.

차가버섯으로부터 분리한 페놀성 화합물의 항산화효과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henolic Compounds Isolated from Inonotus obliquus)

  • 김형자;진창배;이용섭
    • 생약학회지
    • /
    • 제38권2호통권149호
    • /
    • pp.164-169
    • /
    • 2007
  • ln our continued search for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traditional medicine, we found that ethyl acetate fraction from Inonotus obliquus showed potent antioxidant activities on three different cell-free bioassay systems. Bioassay-directed chromatographic fractionation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 from Inonotus obliquus afforded four phenolic compounds, 4-(3,4-dihydroxyphenyl)-(E)-3-buten-2-one (1) , 3,4-dihydroxybenzaldehyde (2), protocatechuic acid (3) and caffeic acid (4) along with three sterols such as lanosterol (5), ergosterol peroxide (6) and 9,11-dehydroergosterol peroxide (7). Among isolates, phenolic compounds (1-4) were assessed for antioxidant activities. Almost phenolic compounds showed potent DPPH and superoxide anion radicals scavenging and lipid peroxidation inhibitory activities indicating that these phenolic compounds contribute to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I. obliquus. Compounds 2-3 and 7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is pl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