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phanolepis cirrhifer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8초

제주 남부 연안 쥐치, Stephanolepis cirrhifer의 생식년주기 (Annual Reproductive cycle of the File Fish, Stephanolepis cirrhifer, on the Southern Coast of Cheju Island)

  • 이승종;고유봉;이영돈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62-70
    • /
    • 2000
  • 1997년 7월부터 1999년 6월까지 2년간 제주도 남부 해역인 하예동 연안에서 매월 채집한 쥐치, Stephanolepis cirrhifer의 생식주기를 조직학적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암 수컷의 월별 GSI 변화는 월별 수온과 광주기 변화양상과 거의 유사하게 변화하였고 암 수컷 모두 GSI값이 6월에 년 중 최고값을 보였다. 생식주기는 암컷인 경우 성장기 2~5월, 성숙기 5~6월, 산란기 6~8월, 퇴화 및 휴지기 9~12월로 구분되고, 수컷인 경우 성장기 2~4월, 성숙기 5~6월, 방정기 6~8월, 퇴화 및 휴지기 9~1월로 구분할 수 있었다. 성숙시기에 쥐치의 난소를 조직학적으로 관찰한 결과 난소내에는 여러 발달 단계의 난모세포들이 분포하여 비동시발달형에 속하는 어종으로 판단되며 산란기동안 적어도 2회 이상 산란하는 다회산란어에 속하는 어종으로 사려된다.

  • PDF

Shallow Population Genetic Structures of Thread-sail Filefish (Stephanolepis cirrhifer) Populations from Korean Coastal Waters

  • Yoon, M.;Park, W.;Nam, Y.K.;Kim, D.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2호
    • /
    • pp.170-176
    • /
    • 2012
  • Genetic diversities, population genetic structures and demographic histories of the thread-sail filefish Stephanolepis cirrhifer were investigated by nucleotide sequencing of 336 base pairs of the mitochondrial DNA (mtDNA) control region in 111 individuals collected from six populations in Korean coastal waters. A total of 70 haplotypes were defined by 58 variable nucleotide sites. The neighbor-joining tree of the 70 haplotypes was shallow and did not provide evidence of geographical associations. Expansion of S. cirrhifer populations began approximate 51,000 to 102,000 years before present, correlating with the period of sea level rise since the late Pleistocene glacial maximum. High levels of haplotype diversities ($0.974{\pm}0.029$ to $1.000{\pm}0.076$) and nucleotide diversities (0.014 to 0.019), and low levels of genetic differentiation among populations inferred from pairwise population FST values (-0.007 to 0.107), support an expansion of the S. cirrhifer population. Hierarchical analysis of molecular variance (AMOVA) revealed weak but significant genetic structures among three groups ($F_{CT}$ = 0.028, p<0.05), and no genetic variation within groups (0.53%; $F_{SC}$ = 0.005, p = 0.23). These results may help establish appropriate fishery management strategies for stocks of S. cirrhifer and related species.

우리나라 양식 쥐치, Stephanolepis cirrhifer에서 분리된 비브리오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Vibrio isolated from cultured file fish, Stephanolepis cirrhifer in Korea)

  • 지보영;방종득;조미영;김진우;원경미;조영아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03-112
    • /
    • 2011
  • 본 연구는 실험을 위해 저수온에서 순치 중이던 쥐치에서 체표의 백탁을 보이며 폐사하여 그 원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순수 배양된 균체를 확인하여 계대 배양하여 생화학적 성상과 16S rRNA유전자와 recA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 결과 Vibrio anguillarum으로 나타났다. 빈사어 (체장 4~6 cm)의 약 30%는 체표 백탁 증상을 보였으며 약 10%는 폐사하였다. 이에 약제 감수성 시험 후, oxolinic acid 200 ppm을 1시간 동안 약욕시켰으며, 2일 경과 후 폐사가 중단되고 증상이 호전되었다.

한국 동해안 쥐치 (Stephanolepis cirrhifer)의 성숙과 산란 (Maturation and Spawning of Filefish, Stephanolepis cirrhifer in the East Sea of Korea)

  • 권혁찬;이재봉;장창익;이동우;최영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11-118
    • /
    • 2011
  • 본 연구는 동해안 해역 내에 서식하는 쥐치의 성숙과 산란에 관하여 2009년 8월부터 2010년 7월까지 자망어업에 의해 어획된 시료를 구입하여 수행하였다. 암컷의 생식소 발달과정 및 생식소중량지수의 월별 변화로부터 쥐치의 산란기는 6~9월, 주 산란기는 8~9월로 추정되었다. 포란수논 최소 693,981개(전장 13.3 cm)에서 최대 7,383,4297개(전정 23.6 cm)로 계수되었고, 전장(TL)과 포란수(F) 간의 관계식은 F=$12.19TL^{4.208}$ ($R^2$=0.727)으로, 전장이 커질수록 포란수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산란에 참여하는 50% 군성숙도 체장은 앙컷이 11.7 cm로 추정되었다. 성비는 수컷이 1일때 암컷이 0.9로 수컷이 약간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Genetic Diversity of Thread-sail Filefish Stephanolepis cirrhifer Populations in Korean Coastal Waters Inferred from Mitochondrial DNA Sequence Analysis

  • Yoon, Moon-Geun;Jung, Ju-Yeon;Nam, Yoon-Kwon;Kim, Dong-Soo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4권1호
    • /
    • pp.16-21
    • /
    • 2011
  • The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of thread-sail filefish, Stephanolepis cirrhifer (Temminck & Schlegel), were examined with a nucleotide sequence analysis of a 495bp fragment of the 5'-end of the cytochrome b gene in 113 fish collected from five populations from the south and east coasts of the Korean Peninsula. Seventeen variable nucleotide sites and 16 haplotypes were defined. The observed haplotypes had a shallow haplotype genealogy and no geographical association. Most of the populations had high haplotype diversity and low nucleotide diversity, and significant negative values for Fu's $F_S$, suggesting rapid, recent population growth from an ancestral population and sudden population expansion. The estimated pairwise fixation indices ($F_{ST}$) indicate that substantial gene flow occurs among these populations. Thread-sail filefish in the South Sea of Korea and East Sea Korean populations forms a single panmictic population. Thus, thread-sail filefish in these areas should be treated as one management unit.

어류의 식이음과 그에 대한 주음반응 -농어.쥐치.검복- (The Spectrum of Feeding Sound and the Response of Seabass, Filefish and Swellfish.)

  • 김동수;윤갑동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18권2호
    • /
    • pp.71-75
    • /
    • 1982
  • 식이음에 대한 어종의 반응행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농어, 쥐치, 검복 등의 식이음을 녹음하여 이들의 주파수와 음압준위를 구하고 이들 식이음을 수조에 다시 방성하여 공시어들의 반응행동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농어, 쥐치, 검복의 식이음의 주파수범위는 각각 80~350 Hz, 100~300 Hz, 250~500 Hz이고, 음압 준위는 각각 101~108 dB, 102~112 dB이다. 2) 공시어에게 양의 주음반응을 일으키게 하는데는 측정음압보다 20 dB 정도 증가시켜 방성하는 것이 효과적 이였다. 3) 농어는 식이음에 대한 양의 주음반응이 강하나 쥐치와 검복은 약하다. 4) 공시어는 방성 후 5분까지는 양의 주음반응을 나타내나 5분 이후부터는 음의 주음반응으로 변하는 경향이 있다.

  • PDF

거제도 연안해역의 어류 종조성 (Species Composition of Fish in Coastal Water off Goeje Island)

  • 차병열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84-190
    • /
    • 1999
  • 1996년 2월부터 10월까지 삼중자망에 의해 격월로 채집된 거제도 연안의 어류에 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채집된 총 종수는 43종이며, 전제 개체수는 493마리, 전체중량은 89,367.1 g이었다. 개체수와 중량에서 높은 어종은 쥐치 (Stephanolepis cirrhifer), 망상어 (Ditrema temmincki), 쥐노래미 (Hexagrammos otakii), 문치가자미 (Limnanda yokohamae),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였으며, 이들 어종이 전체 개체수에서 61.7% (304마리), 중량은 66.3% (59,251.4 g)을 차지하였다. 본 연구해역에서 채집된 어류는 대부분 연안 정착성 어류이었으며, 소수종은 넙치, 말쥐치, 쥐치, 도다리, 멸치, 참돔과 같은 회유성 어류로 구성되어 있었다. 채집량(개체수)은 수온이 낮은 2월에 가장 낮고, 10월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월 다양도지수의 범위는 1.99~2.81로, 6월에 최고치를 나타내었다.

  • PDF

어류의 시각에 관한 연구 - 1 . 쥐치의 시인한계에서의 선의 굵기와 거리와의 관계 - (Visual Acuity of Fish - 1 . Relationship Between line Width and Distance at Visual Limit of Filefish Stephanolepis Cirrhifer -)

  • 안영일;양용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2권3호
    • /
    • pp.241-248
    • /
    • 1996
  • The relationship between width of line target and distance at the limit of discrimination was examined by means of the behavioral method, for filefish Stephanolepis cirrhifer from 11 to 15cm body length. Target distance was distance from beginning of partition board to target plate, and was varied from 50cm to 200cm. The target plate was made of white acrylic resin with a vertical black line in the center. The width of line target was varied from 0.2mm to 8.0mm. Fish were trained to respond to a line target and the width of line target reduced until the minimum width required to elicit a response was established. Rate of success was expressed as the percentage of target choices in 90 trials. The line acuity of filefish was found to be 0.58 at a target distance of 50cm. The rate of success decreased slowly as line target width decreased from 8.0mm to 1.5mm, and decreased suddenly for target widths less than about 1.5mm. The width of the line target D(mm) at the limit of discrimination was shown to be an exponential function of the target distance L(cm) as follows : D=exp(9.947$\times$$10^-3$.L+0.146)

  • PDF

전 생활사 단계의 보름달물해파리(Aurelia aurita s.l.)에 대한 쥐치(Stephanolepis cirrhifer)의 포식과 먹이 선호도 실험 (Predation, Feeding Preference of Threadsail Filefish Stephanolepis cirrhifer on Different Life Stages of Moon Jellyfish Aurelia aurita s.l. in the Laboratory)

  • 이혜은;한창훈;이혜현;윤원득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0권1호
    • /
    • pp.36-42
    • /
    • 2015
  • 해파리에 대한 쥐치의 포식률을 파악하기 위하여 메두사, 에피라, 폴립 단계의 보름달물해파리(Aurelia aurita s.l.)를 쥐치(Stephanolepis cirrhifer)에게 공급하고 포식실험을 수행하였다. 모든 크기의 쥐치는 메두사를 적극적으로 포식하였으며, 포식률은 쥐치의 체중과 비례하였다. 평균 습중량 0.5, 1, 2.2 g의 쥐치 치어는 평균 $0.77{\pm}0.51g\;fish^{-1}h^{-1}$을 포식하였으며, 평균 습중량 150, 344 g의 쥐치 성어는 각각 $9.26{\pm}1.61$, $15.89{\pm}3.67g\;fish^{-1}h^{-1}$을 포식하였다. 유생에 있어서도 평균 습중량 3.7 g의 쥐치가 10분 이내에 100개체의 에피라를 포식하였고, 평균 습중량 2.2 g의 쥐치는 단위체중당 $5.73{\pm}0.59$ polyps $g^{-1}$ of fish $h^{-1}$의 폴립을 포식하였다. 반면에 쥐치 성어는 폴립을 포식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쥐치의 해파리 포식이 현장에서도 가능한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된 먹이 선호도 실험에서, 쥐치 성어는 다른 먹이인 굴(약 60%)과 갯지렁이(약 80%)를 주로 포식하였고 메두사 포식은 약 2%에 불과했다. 하지만 쥐치 치어는 다른 먹이인 곤쟁이류와 함께 에피라, 폴립도 포식하였으며, 폴립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포식활동을 보였다. 그리고 쥐치 치어는 주변에 다른 먹이가 있어도 보름달물해파리 유생에 대한 포식이 활발했지만, $11^{\circ}C$ 이하에서는 섭식활동을 중지한 실험결과로부터 $11^{\circ}C$ 보다 수온이 낮은 3-4월경에 발생하는 에피라 유생에 대한 현장에서의 포식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반면, 폴립의 경우 수온에 관계없이 연중 서식하기 때문에 현장에서 쥐치 치어의 폴립 포식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쥐치를 이용하여 보름달물해파리 구제작업을 시행할 경우, 폴립을 대상으로 하여 쥐치 치어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대기압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쥐치포 중 주요 식중독세균의 살균 효과 (Antibacterial Effects of Atmospheric Plasma against Main Foodborne Bacteria on the Surface of Dried Filefish (Stephanolepis cirrhifer) Fillets)

  • 박신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78-182
    • /
    • 2019
  • 바이오존의 대기압 플라즈마를 사용한 쥐치포(Stephanolepis cirrhifer) 중 미생물안전관리 대상인 B. cereus F4810/72와 S. aureus ATCC 6538의 저감화 정도 및 품질 특성을 관찰하였다. 대기중의 공기를 활용하여 플라즈마 발생을 유도하여 0 분, 1 분, 3 분, 5 분, 10 분 및 20 분 처리하였다. 이후 대상 미생물의 살균력 평가를 위해 표준평판법을 사용하여 로그 감소값을 계산하고 Color difference meter를 사용하여 Hunter "L"(명도), "a"(적색도) 및 "b"(황색도)의 차이를 분석했다. 대기압 플라즈마 3분 처리만으로도 이 두 세균을 1 로그 감소(=90% 감소) 시킬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아울러 최대 20 분 처리시 쥐치포의 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본 연구에 사용된 대기압 플라즈마의 기타 수산 건어포와 일반 식품에 대한 산업적 적용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목적 미생물의 살균력 연구와 각 품질의 특성을 고려한 품질평가 및 관능평가 등의 추가적인 연구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