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notrophomonas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9초

폭약 TNT 분해세균 Stenotrophomonas sp. OK-5에서 분리된 NAD(P)H-nitroreductase의 정제 및 특성 연구 (Characterization of NAD(P)H-nitroreductase Purified from the TNT-degrading Bacterium, Stenotrophomonas sp. OK-5)

  • 호은미;천재우;강형일;오계헌
    • 미생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23-229
    • /
    • 2003
  • 2,4,6-Trinitrotoluene (TNT)을 분해할 수 있는 Stenotrophomonas sp. OK-5에서 분리한 NAD(P)H-nitroreductase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먼저 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 DEAE-sepharose, 그리고 Q-sepharose 등의 일련의 정제 과정을 통하여 NAD(P)H-nitroreductase을 분리정제하였다. 분취기로부터 얻어진 시료로부터 NAD(P)H-nitroreductase의 효소활성을 가지는 3개의 다른 fractions (I, II 및 III)이 탐침되었다. NAD(P)H-nitroreductase의 fractions I, II, 그리고 III의 비활성(specific activity)은 각각 5.06 unit/mg, 4.95 unit/mg, and 4.86 unit/mg이었으며, crude extract와 비교하여 각각 10.5배, 9.8배, 8.9배 이상 농축되었다. 이 실험에서 이들 3개의 fractions 가운데, fraction I이 가장 높은 비활성을 나타내었다. NAD(P)H-nitroreductase (fractions I, II 및 III)의 효소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몇 가지 요인을 조사하였다. 모든 NAD(P)H-nitroreductase (fractions I, II 및 III)의 최적 온도는 30$^{\circ}C$이었으며, 최적 pH는 약 7.5이었다. 4Ag^+, Cu_2^+, Hg_2^+$ 등의 금속이온은 약 80%의 효소활성을 저해하였으나, $Mn_2^+ 이나 Ca_2^+$의 첨가 시에는 약 30~40% 정도의 활성이 감소되었다. 그러나 $Fe_3^+$은 이들 효소의 활성을 증진시켰다. SDS-PAGE에 의해 측정된 NAD(P)H-nitroreductase의 fractions I, II 및 III의 분자량은 모두 약 27 kDa임이 확인되었다.

사포닌 전환 활성 Stenotrophomonas rhizopilae Strain GFC09 균주의 분리 동정 및 전환 사포닌의 주름 개선 효과 (Isolation of Stenotrophomonas rhizopilae Strain GFC09 with Ginsenoside Converting Activity and Anti-wrinkle Effects of Converted Ginsenosides)

  • 민진우;김혜진;주광식;강희철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75-382
    • /
    • 2015
  • 진세노사이드(인삼 사포닌)는 인삼의 대표적 약리성분 중의 하나로 생물학적 활성을 가진 배당체 화합물이다. 이들 사포닌은 가수분해 되어 저분자화 되었을 때, 항주름 및 항산화, 항암 등에 높은 약리효능효과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인삼 esculin 배지를 활용하여 ${\beta}$-glucosidase 활성을 가진 균주를 분리하였고 인삼 사포닌 전환을 미생물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본 균주들을 16S rRNA sequencing을 통하여 동정하여 본 결과 Stenotrophomonas rhizopilae strain GFC09로 확인되였다. 균주의 최적 활성 조건을 결정하기 위해 조효소 1 mM와 인삼사포닌 $Rb_1$과 함께 배양한 후 생물학적 전환을 TLC, HPLC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조효소에 의한 인삼 사포닌 $Rb_1$의 전환 경로는 다음과 같다. LB: RbNeobio R&D center, Gyeonggi-do 16954, Korea${\rightarrow}$Rd${\rightarrow}$FNeobio R&D center, Gyeonggi-do 16954, Korea${\rightarrow}$compound K, TSB: $Rb_1{\rightarrow}Rd{\rightarrow}F_2$. 가수분해된 생성된 물질은 NMR로 구조 동정하였다. 전환 산물의 효능 분석결과, 콜라겐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ginsenoside $F_2$와 compound K 함유 인삼 전환 산물의 주름 개선 소재로서 활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Endophytic Bacteria with Plant Growth Promoting Activity and Biocontrol Potential from Wild Pistachio Trees

  • Etminani, Faegheh;Harighi, Behrouz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4권3호
    • /
    • pp.208-217
    • /
    • 2018
  • In this study,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leaves and stems of healthy wild Pistachio trees (Pistacia atlantica L.) from various locations of Baneh and Marivan regions, Iran. In total, 61 endophytic bacteria were isolated and grouped according to phenotypic properties. Ten selected isolates from each group were further identified by partial sequencing of the 16S rRNA gene. Based on the results, isolates were identified as bacteria belonging to Pseudomonas, Stenotrophomonas, Bacillus, Pantoea and Serratia genus. The ability of these isolates was evaluated to phytohormone production such as auxin and gibberellin, siderophore production, phosphate solubilization, atmospheric nitrogen fixation, protease and hydrogen cyanide production. All strains were able to produce the plant growth hormone auxin and gibberellin in different amounts. The majority of strains were able to solubilize phosphate. The results of atmospheric nitrogen fixation ability, protease and siderophore production were varied among strains. Only Ba66 could produce a low amount of hydrogen cyanide. The results of biocontrol assay showed that Pb78 and Sp15 strains had the highest and lowest inhibition effects on bacterial plant pathogens, Pseudomonas syringae pv. syringae Pss20 and Pseudomonas tolaasii Pt18 under in vitro condition. Pb3, Pb24 and Pb71 strains significantly promote root formation on carrot slices.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the isolation of endophytic bacterial strains belonging to Pantoea, Bacillus, Pseudomonas, Serratia and Stenotrophomonas genus from wild pistachio trees with plant growth promoting potential and biocontrol activity.

종합병원 응급실내의 영상의학과 장비에서의 세균 오염에 관한 보건학적 융합 분석 (Analysis of Healthcare Convergence on Bacterial Contamination of Radiological Equipment in Emergency Rooms of General Hospitals)

  • 홍동희;박미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51-59
    • /
    • 2017
  • 본 연구는 종합병원 내 응급실에 설치된 CT 장비와 일반촬영장비에 대한 세균 오염도 검사를 실시하여 보건학적 융복합 감염관리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2015년 12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수도권 3곳과 전라도 2곳, 충청도 2곳 등 총 7곳의 의료기관을 대상으로하였다. 영상의학과 응급실 내 CT장비의 검출된 표면 오염 균주는 Micrococcus species(4,5%), Stenotrophomonas maltophilia(9%), Enteococcus faecium(4.5%), Providencia stuartii(4.5), Gram negative bacilli(4.5%), 일반촬영장비에서 검출된 표면 오염 균주는 Providencia stuartii(11%), Klebsiella pneumonia(3.5%), Stenotrophomonas maltophilia(11%), Pantoea species(11%), Acinetobacter baumannii(3.5%), Micrococcus species(3.5%), Escherichia coli(3.5%), Enterobacter species(3.5%), Gram negative bacilli(11%) 로 병원 감염의 원인균으로 알려진 균주는 없었고, 특이성을 가진 균주 역시 없었지만 가장 많이 검출된 구역이 모두 환자와 밀접한 관련을 갖는 곳이므로 방사선사는 검사 전후 알코올 등으로 깨끗이 닦아내야 할 것이다.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KJ-2 균주로부터 얻은 PolyMG-specific 알긴산분해효소의 상동성 모델링 및 활성자리 연구 (Homology Modeling and Active Sites of PolyMG-specific Alginate Lyase from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KJ-2)

  • 김희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28-136
    • /
    • 2014
  • 알긴산은 ${\alpha}$-L-guluronic acid와 ${\beta}$-D-mannuronic acid가 (1-4) 결합한 선형 산성다당류이다. 알긴산은 다양한 알긴산 분해효소들에 의하여 분해되는데 ${\beta}$-제거반응으로 비환원 말단에 이중결합이 있는 불포화 우론산 올리고머가 생산된다. 본 연구실에서는 이전에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KJ-2로부터 새로운 구조를 가진 polyMG lyase를 재조합하였다. KJ-2 polyMG lyase의 단백질구조를 예측하기 위하여 상동성 모델링을 한 결과 Azotobacter vinelandii가 생산하는 세 종류의 polyMG lyase들이 모두 PL7 family에 속하는 반면 KJ-2 polyMG lyase는 PL6 family에 속하였다. 또한 $^1H$-NMR spectra를 분석한 결과 polyMG lyase는 M-${\beta}$(1-4)-G 당쇄결합을 분해하고 G-${\alpha}$(1-4)-M 결합은 거의 분해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측된 polyMG lyase 모델을 기초로 하여 14군데 아미노산 잔기를 선택하였으며 17개의 돌연변이체를 만들어 알긴산 분해효소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Lys220Ala, Arg241Ala, Arg241Lys및 Arg265Ala 돌연변이체들은 완전히 알긴산 분해효소의 활성을 잃었으며 Arg155Ala, Gly303Glu 및 Tyr304Phe 돌연변이체들의 분해활성은 19.1-39.3%까지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Arg155, Lys220, Arg241, Arg265, Gly303 및 Tyr304 들은 알긴산 분해효소의 촉매활성과 기질결합에 중요한 잔기들임을 알 수 있다.

디젤의 미생물 분해와 군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icrobial Community and Microbial Degradation of Diesel)

  • 최희철;조윤아;최상일;이태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509-516
    • /
    • 2010
  • 토양으로부터 농화배양된 두 미생물 군집의 디젤 분해 특성과 미생물의 군집 양상을 살펴보았다. 간균 형태를 띄는 두 군집은 육안으로 뚜렷히 구별되는 황색(YE-5)과 투명한 형태(WH-5)의 콜로니를 형성하였으며 1% 디젤 오염된 배지에서 26일간 배양하였을 때 디젤 분해율은 99.07 mg-Diesel/$L{\cdot}day$와 57.82 mg-Diesel/$L{\cdot}day$로 YE-5가 약 1.7배정도의 빠른 분해속도를 나타내었다. YE-5에 의한 디젤의 분해양상은 $C_8-C_{24}$ 전반에 걸쳐고르게 분해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PCR-DGGE 기법을 이용하여 YE-5를 동정한 결과 Psedomonas, Klebsiella, Escherichia, Stenotrophomonas 등이 관찰 되었으며 모두 단백세균에 속하는 것으로 분석 되었고 YE-5에서만 Uncultured Stenotrophomonas sp.가 관찰되었다. 본 실험을 통해 디젤의 효과적 분해를 위해 적절한 군집의 조합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Escherichia hermannii나 Uncultured Stenotrophomonas sp.와 같은 기 보고되지 않은 종들이 디젤 분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정상 한우 및 번식장애 한우에 대한 자궁 내 세균 분석 (Characteristic of bacterial flora from the uterus in HanWoo cattle)

  • 김기주;박소연;조영재;정배동;박정준;한태욱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219-224
    • /
    • 2014
  • Uterine sterilization is important for improving fertility in cattle. This study compared bacterial flora in the uterus between healthy and repeat breeder cows (RBCs). The uterine flushing of six heifers, 13 healthy HanWoo cows and eight RBCs (HanWoo) were sampled, and 15 frozen semen samples were selected. Overall, 35 bacteria were identified from in HanWoo uterine flushing and semen. The bacterial genera identified from HanWoo uterine flushing were Alloiococcus, Bacillus, Enterobacter, Enterococcus, Erysipelothrix, Gardnerella, Granulicatella, Kocuria, Pantoea, Pasteurella, Rothia, Serratia, Sphingomonas, Staphylococcus, Stenotrophomonas and Streptococcus. The bacterial genera identified from HanWoo semen were Bacillus, Escherichia, Kocuria, Oligella, Pseudomonas, Serratia, Sphingomonas, Staphylococcus, Stenotrophomonas and Streptococcus. The prevalence and presence of the identified bacteria between healthy cows and RBCs differed significantly.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termine the role of these bacteria in the uterus of HanWoo cattle with reproductive disor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