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el sheet pile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37초

강널말뚝 교대의 응력 및 변형 해석 (Analysis of Stress and Strain for Steel Sheet Pile Bridge Abutment)

  • 정하익;유준;오인규;은성운;손인군;이성열;김형구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561-564
    • /
    • 2004
  • Steel sheet pile can be alternative material for bridge abutment for. The steel sheet pile bridge abutment is new and replacement bridge abutment due to its aesthetically attractive and cost effective. Use of embedded steel sheet piling brings savings in dead load, provides a compliant retaining wall, and permits speedier construction. In addition, for replacement bridge projects, traffic interruption can be minimized.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encourage designers and constructors to consider a steel substructure option more frequently during the conceptual and preliminary design phases of projects and thereby to take advantage of the potential to construction more efficiently. In this paper, an analysis of stress and strain for steel sheet pile bridge abutment was conducted. From the analysis results, the stress and strain characteristics of steel sheet pile bridge abutment with variations of steel sheet pile parameters is suggested.

  • PDF

진동타입기에 의해 시공되는 강널말뚝의 거동특성 (Characteristics of Behavior of Steel Sheet Pile installed by Vibratory Pile Driver)

  • 이승현;김병일;김주철;김정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1C호
    • /
    • pp.27-35
    • /
    • 2010
  • 사질토지반에 진동타입되는 강널말뚝의 거동을 파악하고자 계측기를 부착한 강널말뚝을 각각 1본씩 단독시공 및 연결시공하여 현장시험을 수행하였다. 깊이측정장치를 통해 구한 깊이에 따른 관입속도결과에 따르면 연결부 마찰의 영향이 강널말뚝의 관입속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연결시공시 연결부 마찰은 관입깊이에 대해 불규칙한 양상을 보여주었으며, 그 크기는 19.1kN/m이었다. 진동타입시 강널말뚝은 거의 강체로 거동함이 계측결과를 통해 확인되었다. 단독시공시의 효율계수는 0.42이었으며 연결시공시의 효율계수는 0.71이었다. 계측자료로부터 유도한 하중전이곡선의 양상은 Dierssen이 제안한 그것과 가장 유사하였다.

현장시험 시공을 통한 Z형 강널말뚝의 현장차수특성 분석 (Analysis of Permeability Characteristic for Z type Steel Sheet Pile by Field Test)

  • 이용수;정하익;홍승서;이광범;김상진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0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25-330
    • /
    • 2000
  • In general steel sheet pile use the containment system, vertical barrier systems for waste disposal and landfill purposes, roads in excavation which have a more permanent character or temporary structure. The sheet pile joints between section of the wall are sealed with a filter material arid the resistance to seepage is a function of the type of material employed.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view a characteristic of permeability for Z type sheet pile by field test in various condition.

  • PDF

바이브로해머를 이용한 광폭 Hat형 강널말뚝의 현장 관입시험 (Field Driveability Test of Wide Hat-type Sheet Pile using Vibro-Hammer)

  • 김병일;김재규;백인철;이승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03-109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 파라미터의 변동이나 모델의 불확실성 및 외부 외란 등에 강인한 외란 관측기에 기초로 한 강인 제어기의 설계를 제안한다. 제어기는 두 개 루프의 구조를 갖는 모델기반 보상기와 궤환 제어기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내부 루프 보상기는 내외부의 외란을 제거하고, 외부 루프 궤환 제어기는 주어진 사양을 만족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결과적으로, 제안한 강인 제어기를 이용함으로써 외란에 대해 시스템을 안정화시킬 수 있으며, 제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인다.

  • PDF

모래지반에 대한 강널말뚝의 진통항타거동 연구 (A Study on Vibratory Behavior of Steel Sheet Pile Installed in Sand Ground)

  • 이승현;이종구;유완규;김병일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79-90
    • /
    • 2007
  • 모래지반에 대하여 계측기를 부착한 강널말뚝을 진동항타하고 항타과정을 통해서 계측된 자료를 분석하여 진동항타시 강널말뚝의 진동항타거동을 살펴보았다. 특히, 강널말뚝에 대한 진동항타시 말뚝에 작용하는 응력, 이론적인 항타력과 실제 말뚝에 전달되는 힘의 차이를 반영하는 효율계수, 강널말뚝의 강체거동 여부, 지반의 동적 저항특성, 강널말뚝의 관입특성 등을 분석하였다. 강널말뚝의 진동관입시 말뚝은 거의 강체로 거동하였으며 말뚝머리부에 작용하는 응력의 최대값은 재료의 인장강도보다 상당히 작았다. 진동관입중 실제 말뚝머리부에 전달되는 최대하중은 이론식에 의해 계산된 값의 72% 정도였다. 가속도-시간이력곡선으로부터 4개의 관입깊이에 대해 유도된 변위-시간이력곡선에서의 변위진폭값은 진동기 공운전시의 진폭값의 약 16$\sim$75%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강널말뚝을 이용한 국내.외 시공 사례 (A Case study of steel sheet pile)

  • 여병철;김광일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1994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11-118
    • /
    • 1994
  • The use of steel sheet pile walls as barrier walls have the temporary for coffer dam, retaining wall in excavation, etc., but also permanent of semi-permanent for harbor construction, containment systems, vertical barrier systems for waste disposal (landfill) or subway in excavarion. In all these applicaions the resistance of the structure to seepage plays an important role. Also the stability and longevity of the construction, the possibility of permanent control and survey make the steel sheet pile wall a nearly perfect vertical barrier from a technical and economical point of view.

  • PDF

H-Pile과 Plastic Sheet Pile을 결합한 토류벽체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Numerical study for Application of H-Pile Connection Plastic Sheet Pile Retaining Wall (HCS))

  • 이규남;임희대
    • 지질공학
    • /
    • 제27권3호
    • /
    • pp.331-34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H-Pile+토류판 또는 H-Pile+토류판+차수그라우팅 공법의 안정성, 시공성 및 경제성을 개선하기 위해 H-Pile에 Plastic Sheet Pile(P.S.P)과 연성벽체인 P.S.P의 간격유지 및 보강기능을 위한 간격재(각형강관)를 결합한 토류벽체 System인 HCS공법을 개발하고, HCS공법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거동을 3차원 유한요소해석에 의해 규명하는 연구이다. HCS공법의 거동을 수치해석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Plastic Sheet Pile 규격 3종류, H-Pile 규격 2종류 및 설치간격 3종류, 간격재 규격 1종류 및 설치간격 4종류에 대해 광범위한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실시하였다. 수치해석결과 $P.S.P-460{\times}131.5{\times}7t$ (PS7)와 H-Pile $250{\times}250{\times}9{\times}14$ (H250), $P.S.P473{\times}133.5{\times}9t$ (PS9)와 H-Pile $300{\times}200{\times}9{\times}14$ (H300)의 조합에서 상대적으로 유사한 응력비(=발생응력/허용응력)를 갖는 것으로 검토되어 이 제품의 조합이 경제적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P.S.P+H-Pile+간격재 복합체의 강성이 증가할수록 벽체의 수평변위와 상부지반의 연직변위가 감소하였다. 특히, H-Pile과 P.S.P의 강성차이로 인한 Arching 현상으로 P.S.P의 토압의 상당부분이 H-Pile로 응력(토압) 전이가 발생하여 P.S.P의 응력 및 변위는 미소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HCS공법을 구성하는 각각의 부재들의 거동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확인된 연구결과를 통해 향후 HCS공법을 합리적이고 안정하며 경제적으로 적용하는 데 활용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강널말뚝의 횡방향 진동모델에 대한 매개변수 연구 (Parametric Study on Lateral Vibration Model of Steel Sheet Pile)

  • 이승현;김병일;김주철;김정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1047-1052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진동타입기에 의해 시공되는 강널말뚝의 횡방향진동모델에 대해 횡방향스프링상수를 달리하여 횡방향진동에 따른 에너지손실 및 하중감소계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강널말뚝의 자유길이에 따른 에너지손실과 하중감소계수는 계산에서 고려한 횡방향스프링상수의 크기에 관계없이 강널말뚝의 휨강성보다는 편심거리의 크기에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계산에서 고려한 횡방향 스프링상수값, 10000N/m 이상일 경우 말뚝의 자유길이에 따른 하중감소계수가 수렴함을 알 수 있었다.

강널말뚝으로 보강된 점토지반거동의 수치해석 (Numerical Analysis on the Behavior of Clayey Foundation Reinforced with Steel Sheet Pile)

  • 양극영;이대재;정진섭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42-154
    • /
    • 2002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constraint effects of deformation (heaving, lateral displacement) of clayey foundation reinforced with sheet pile at the tip of banking on soft ground, under intact state (natural) and the state of vertical drain respectively. The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1. In view of reduction in heaving or lateral displacement, sheet pile is not supposed to be of use. 2. Sheet pile is effective only when vertical drain is installed for acceleration of consolidation and gradual loading is applied.

Z형 강널말뚝의 오염물질 차단효과 (The permeability charateristic of Z-type sheet pile joints under water sealing conditions)

  • 홍승서;이용수;정하익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세계 도시지반공학 심포지엄
    • /
    • pp.1283-1288
    • /
    • 2009
  • In general steel sheet piles are used in the containment system, which are vertical barrier systems for waste disposal and landfill purposes, and roads in excavation for temporary structure. This paper presents case study of the use of an interlocking sheet pile for water and containment. Cut-off Z-type sheet pile joints are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ir permeability from the field test. Four different joint sealing materials are used in field test. The results showed joint permeability is significant time-dependent and joint-dependent. These are explored and conclusions on permeability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sealants are noted. A case study gives a design example as well as suggestion on permeability and water tightness can be implemented in using the sheet pile barrier in civil and environment works. From the test results, the effective sealing programs of sheet pile interlocks are sugges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