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tion Influence Areas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7초

Verifing Formation of Area of Influence of Subway Station through Land Value Distribution Analysis - Case Study on Seoul

  • Lee, Byoungkil;Lee, Sangkyeong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403-411
    • /
    • 2016
  • This research has the purpose to develop a method to evaluate whether station’s area of influence has been formed, and verify formation of the area of influence through empirical analysis of all subway stations in Seoul. First, we created buffers of 100m intervals from 100m to 1000m, based on subway station exits, calculated the average land price of each buffer, and divided station areas of influence into 10 clusters using K-means clustering with the average land prices as values of observation. Subsequently, we have assumed a decreasing price curve from increasing distance from a nearby subway station, estimated a price curve and evaluated whether the area of influence actually exists using regression analysis of each cluster. The 10 area of influence clusters were largely divided into strong, weak, and no area of influence of subway station. The stations where the strong areas of influence are formed are mainly located in center, sub-centers, and local centers; stations where weak and no areas of influence are formed are mostly located in the adjacent areas of center or sub-centers or suburbs.

Exploring Synergistic Effect in Metro Station Areas: A Case Study of Shanghai, China

  • Zhuang, Yu;Zhang, Lingzhu
    • 국제초고층학회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105-115
    • /
    • 2016
  • In the process of exploring sustainable development, major cities in China are expanding metro systems as a strategy to reduce the negative environmental and social consequences of fast-paced motorization. A metro station is not only a transportation node, but also a place where diverse activities can be performed. Therefore, the realization of the spatial potential for human interaction is the essence of the strategy for integrated development in metro station areas. For this paper, 10 well-developed metro stations in Central Shanghai were select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accessibility and spatial performance in station areas. The spatial performance in station areas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metro configuration. However, both vehicle and pedestrian accessibility show weak influence on spatial performance. A synergistic model was then developed to provide quantitative support for transit-oriented development in metro station areas.

자전거 이용 시설물의 균형적인 관리를 위한 평가 - 송파구 역세권을 대상으로 (An Evaluation for Balanced Management of Bicycle Facilities -Testing on Station Influence Areas in Songpa District)

  • 김지연;김혜영;전철민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1권3호
    • /
    • pp.71-78
    • /
    • 2013
  • 자전거 이용 활성화에 따라 지속적인 자전거 이용 시설물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기존 연구에서는 이용자 또는 전문가들의 설문을 중심으로 자전거 이용 환경 평가를 하여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는 자전거 이용 시설물들을 균형적으로 조성할 수 있도록 정량적인 평가지표를 설정하여 평가하고자 한다.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자전거 이용 환경 평가지표를 토대로 자전거 이용자들이 이용 가능하며 정량화할 수 있는 이용 시설물 변수를 도출하였으며 시설물의 단위를 설정하였다. 평가를 위해 대상지를 송파구 역세권으로 선정하였다. 분석방법은 첫째, 사분면을 변형한 '자전거도로-시설물'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개별적인 시설물 현황 및 역세권을 상대적으로 파악하였다. 둘째, 주성분분석을 실시하여 자전거 이용 시설물들을 전체적으로 통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시설물 변수들 중 공통적인 성질을 갖고 있는 변수들로 그룹화하여 비슷한 유형의 역세권을 파악하였으며 그룹별로 순위를 선정하였다.

의사결정방법에 따른 TOD 계획요소 중요도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n Importance of TOD Planning Factors according to Decision Making Methods)

  • 임삼진;박준태;김태호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654-661
    • /
    • 2012
  • 본 연구는 대중교통 이용을 영향을 미치는 TOD 계획요소의 중요도를 분석하여 도시철도 역세권 환경의 실제적 특성과 계획적 특성의 중요도 인식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평가 방법론적 의미로서 정량적 데이터를 활용하는 평가방법의 타당성과 전문가들에 의한 정성적 설문조사에 기초한 평가방법의 타당성과에 세부적인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실제 조성된 역세권 환경(정량적)의 현실적 특성과 전문가 관점(정성적)의 계획적 특성의 중요도 분석을 통해 향후 역세권 개발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서울시 도시철도 환승역세권 유형별 대중교통이용자 특성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Transport Users According to the Types of Transit Station Influence Areas in Seoul's Urban Railway's)

  • 임삼진;박준태;김태호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129-137
    • /
    • 2013
  • 본 연구는 최근 도시개발에 있어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는 대중교통지향형 개발(TOD)에 대한 바람직한 개발방향을 모색하고, 서울시 역세권을 환승특성 유형별로 구분하여 실증분석을 통해 이에 대한 분석결과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하였다. 대중교통 이용자 특성에 미치는 영향력은 환승특성 유형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규명 되었다. 향후 수도권의 대중교통전략 수집 시 차별화된 영향요소를 기반으로 개선(안)을 도출하는 것이 필요하며, 향후 지속적인 대중교통 이용수요 증진을 위한 기초를 마련해야 한다고 판단된다. 또한 지하철역과 직접적인 연계를 하기 보다는 보조적인 수단으로 버스전용차로(BRT)를 적절하게 연계하여 현재 단일역세권을 거점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인천광역시 도시철도 1호선 개통에 따른 역세권 도시공간 변화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the Urban Space at Station Influenced Areas by the Open of Incheon Urban Railroad Line 1)

  • 안정근;박만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1D호
    • /
    • pp.141-148
    • /
    • 2011
  • 인천광역시는 도시 전체의 심각한 교통체증 경감을 위하여 도시철도 1호선(총연장 31.1km)을 1999년 10월 개통하였다.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의 도시철도 1호선 개통이 역세권 도시공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규명을 통하여 바람직한 역세권 개발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국가에서 발간된 통계 자료에 근거하여 분산분석(Analysis of Variance)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도심형 및 농촌형 역세권은 철도개통에 따라 뚜렷하게 도시공간 변화에 영향을 미쳐 역세권을 형성함에 따라 지역발전을 도모하고 도시기능을 분담하였으나 주거형, 준주거형, 교외형 역세권은 철도개통 후 도시공간 변화에 큰 변화가 없어 역세권이 형성되지 못했다. 따라서 향후 도시철도 개통시 주거형 및 준주거지형 역세권에서는 역세권 입지 특성을 고려하여 주민 및 산업인구를 유인하고 다양한 시설 수요를 창출할 수 있는 계획적 역세권 개발이 요구된다. 한편 교외형 역세권에서는 역사개발 후 자연 발생적 역세권 개발이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도시철도 역사 개발시 역세권 개발을 동시에 추진하여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 및 양호한 생활여건 조성에 앞장서야겠다.

역세권 세분화를 통한 도시철도 수요예측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Demand Estimation in Urban Railway through Segmentations of Station Influence Areas)

  • 전상민;정성봉;김시곤;조항웅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6D호
    • /
    • pp.673-678
    • /
    • 2012
  • 도시철도의 건설에 있어서 정확한 수요예측 과정은 매우 중요하고, 정밀한 타당성 검증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도시철도 수요예측을 위한 교통존 기준은 행정동 단위를 기준으로 하고 있어, 역세권 특성이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역세권의 범위를 세분화하고 거리별 수단분담특성을 파악하여, 도시철도 수요예측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사례지역의 거리별 도시철도 수단분담률을 분석한 결과 도심형의 경우에는 500m, 외곽형의 경우에는 1,000m의 역세권 범위 설정이 가능하였다. 또한 기존 행정동 기준의 수요예측에 비해 역세권 세분화에 따른 수요예측결과가 실제치에 근접하여 신뢰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었다.

스마트폰 보행이동 데이터를 활용한 노인의 역세권 이용실태 분석 - "WalkOn" APP의 서울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 (Analysis of Elderly's Walking Patterns near Metro-stations in Seoul by Using Smartphone Pedestrian Movement Data - An Empirical Study Based on "WalkOn" App Big Data -)

  • 이선재;박소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3호
    • /
    • pp.129-138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aily living area of the elderly using the vast amount of travel route data collected through smart phones. In order to analyze the utilization status of the elderly into the visiting area and the living area, the subway station influence area was typed based on the number and ratio of the elderly visiting and the elderly living the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visiting area and the living area of the subway station area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walking route data for the three types of subway station influence areas where the elderly visit and live. First, we derive the range of visiting area and living area of the elderly near the subway station. Second, we derive the characteristic of moving distance which causes the linked walking of the elderly. Third, destination distribution and facility utilization are influenced by the subject of use, movement pattern, and facility awareness.

도시철도 역세권의 공간이용 모니터링을 위한 기초연구 (A study on Land use Survey and Monitoring Forcused on the Subway Station Areas in Taejeon)

  • 조병호;최봉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457-465
    • /
    • 2011
  • 본 연구는 도시철도에 의한 도시의 사회 및 공간적 영향을 개통 이후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라는 측면에서 시작되었으며, 이에 본 연구는 대전시의 공간구조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고 있는 도시철도 1호선 개통에 따라 도시적 사회적 변화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문적 고찰과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도시철도가 도시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였고, 모니터링 지표를 설정하였다. 대전광역시 도시철도 1호선 역세권 지역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 인구와 토지이용, 총 개발연면적, 지가의 변화를 통해 도시철도의 개통이 대전시의 도시계획의 흐름과 도시공간구조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즉, 도시철도가 개통됨에 따라 도시철도 역세권 중심으로 인구 및 인구활동 등이 집중 되며, 인구 및 인구활동의 집중은 상업지역을 확대를 가져왔으며, 이러한 변화는 평균지가의 상승을 가져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처럼 도시모니터링은 도시의 전반적인 시기별 변화를 파악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현재 도시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역세권 지가 변동 분석을 통한 서울시 공간 구조 변화 분석 (Analysis of Changes in Spatial Structure of Seoul by Analyzing the Land Price Changes of Station Influence Areas)

  • 구현철;이병길;이창수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63-70
    • /
    • 2016
  • 서울시에서는 1990년부터 도시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도시기본계획을 수립하여 다층적 위계를 갖는 중심지 체계를 도입하였으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시철도의 역세권에 중심지가 설정되도록 하는 전략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도시철도 역세권의 변화에 대한 검토는 서울의 공간 구조 변화를 파악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연구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지역의 도시철도 역세권에 대한 2000년, 2005년, 2010년 3개년의 표준지 공시지가의 변화를 이용하여, 서울시 중심지 구조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분석해 보았다. 연구 결과 역세권 공시지가의 시계열적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중심지 위계의 변화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