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2652/Ksce.2012.32.6D.673

A Study on Improvement of Demand Estimation in Urban Railway through Segmentations of Station Influence Areas  

Jeon, Sangmin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철도전문대학원 철도경영정책학과)
Chung, Sungbong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철도전문대학원 철도경영정책학과)
Kim, Sigon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철도전문대학원 철도경영정책학과)
Cho, Hangung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철도전문대학원 철도경영정책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v.32, no.6D, 2012 , pp. 673-67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Accurate demand estimating process in the construction of urban railway is very important, and precise validation is required. Existing model formula in the 4 phase model is limited in the estimation of the demand the administrative boundary-based zone system reflects no spatial railway demand characteristics around railway st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mproving the accuracy of urban rail demand estimation through segmentations of station influence areas and modal split characteristics within the areas. According to the case analysis, it is possible to set up the ststion influence area with a radius of 500m in the urban region and 1,000m in the suburban. And eastablishing proper segmentations of the ststion influence area shows more accurate results to the real demand of railway stations.
Keywords
station influence area; urban railway; demand estim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대웅 외(2002) 지하철 도보역세권 설정방법과 적용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37권 제5호 통권 123호, pp. 177-186.   과학기술학회마을
2 김성희 외(2001) 대중교통으로의 보행거리가 통행수단선택에 미치는 영향,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36권 제7호, pp.297-307.
3 김대웅 외(2004), 역세권 특성을 고려한 도시철도 수송수요 예측 모형 구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4권 제6D호, pp. 863-872.   과학기술학회마을
4 김대철(2006) 서울시 지하철 역세권의 공간적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5 김진(2010) 역세권 도시구조특성과 지하철 이용수요의 상관관계 분석 : 서울시와 경기도 사례연구,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6 박준영(2010) 고속철도 역세권 개발 활성화 방안, 석사학위논문, 목원대학교.
7 손의영 외(2009) 역세권을 반영한 도시철도 역별 수요추정 모형 개발,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7권 제2호, pp. 15-22.   과학기술학회마을
8 수도권교통본부(2009) 수도권 장래교통수요예측 및 대응방안 연구.
9 유승환 외(2012) 역세권 공간구조특성이 지가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32권 제1D호, pp. 61-69.
10 이성룡 외(2011) 경기도 역세권 정비를 위한 개발밀도 관리방안, 경기개발연구원.
11 이응현 외(2008) 도심재생 측면에서 본 고속철도 역세권 개발(계획) 분석, 대한건축학회지, 대한건축학회, 제24권 제6호 통권 제236호, pp. 253-264.   과학기술학회마을
12 이재영 외(2004) 수도권 신도시 역세권의 토지이용 특성 및 변화분석, 도시행정학보, 한국도시행정학회, 제17권 제2호, pp. 47-63.
13 임희지(2007) 서울시 대중교통 역중심 생활권 형성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4 전성찬(1996) 지하철역 주변 상업적 토지이용 변화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