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rt-up intention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26초

초기창업자의 창업동기와 창업준비가 사업계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창업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Nascent Entrepreneurs Motivation and Preparation on the Business Continuity: Based on the Mediation Effect of Start-up Satisfaction)

  • 한향원;하규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5호
    • /
    • pp.77-98
    • /
    • 2020
  • 공공금융기관에 따르면 금융위원회가 신용보증기금과 산업은행에서 정책금융 등의 많은 창업지원 자금을 통해 약 35조원을 지원하였으며 최근 3년간(2015년~2018년) 창업기업에 약 100조원 이상을 지원하였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창업국가 조성을 위해 2020년도 부처별 창업지원사업을 조사한 결과, 16개 부처(90개 사업)에서 모두 1조 4,517억원이 지원한다고 밝혔다. 실제로 중소벤처기업부의 지원예산 중 스타트업 지원 비중은 85%에 달한 반면 스케일업(성장·성숙기)지원은 15%에 불과하다. 그러나 국내 창업기업의 생존율은 선진국에 비해 턱없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창업 후 3년간 생존율은 39.1%로 10곳 중 4곳 정도만 살아남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5년간 살아남을 확률은 27.5% 10곳 중 3곳 정도만 살아남는다. 반면 해외 창업기업들은 5년간 창업기업 생존율은 우리나라의 2배에 달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최근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는 초기창업자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과 함께 창업동기와 창업준비가 사업계속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창업만족도의 매개역할에 관한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살펴보고자 한다. 설문조사는 전국 초기창업자들을 대상으로 2020년 4월 1일부터 5월15일까지 하였고 총 245부 중 222부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설문문항은 Likert 5점 척도를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창업동기를 구성하는 모든 요인이 창업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침으로써 채택되었다. 또한, 초기창업자의 창업준비의 하위 요인 중 아이템준비가 창업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침으로써 일부 채택되었다. 둘째, 초기창업자의 창업만족도가 사업계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침으로써 채택되었다. 셋째, 창업동기의 자아실현 동기가 사업계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침으로써 일부 채택되었다. 또한, 초기창업자의 창업준비의 아이템 준비가 사업계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침으로써 일부 채택되었다. 넷째, 초기창업자의 창업동기와 사업계속의도간에 창업만족도의 매개효과가 나타남으로써 채택되었다. 또한, 초기창업자의 창업준비와 사업계속의도간에 창업만족도의 매개효과가 나타남으로써 채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초기창업자들의 창업만족도를 높이고 계속 가능한 창업수행을 할 수 있도록 유용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창업 멘토링 기능이 교육만족과 추천의도 그리고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 여대생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Mentoring Quality on Educational Satisfaction,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 Focused on Female College Students)

  • 배지은;한인수;이필수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8권2호
    • /
    • pp.25-36
    • /
    • 2017
  • Purpose - Recently,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s been revitalized with interest in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education is an educational service activity that is provided for entrepreneurship and individual start-up success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o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ship, the satisfact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ffects entrepreneurship and as a result increases entrepreneurship.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female entrepreneurs has also increased as the number of entrepreneurial issues has increased. Based on previous studies, this research proposed the theoretical framework about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mentoring quality (career development, psychological social, role modeling), education satisfaction,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ossibility of attempting to create a theoretical basis for entrepreneurial mentoring education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In this model, mentoring quality consists of three sub-dimensions such as career development, psychological social, and role modeling. In order to test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03 female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entrepreneurial educat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 with SPSS 24.0 and SmartPLS 3.0 statistical program. Result -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role modeling has a positive effect on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Second, career development has a strong negative effect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rd, career development and role modeling had a positive effec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had positive influence on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Conclusions - As women's social advancement becomes more active, start-up support programs including entrepreneurship mentoring are increa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how to use the mentoring program mix and how to allocate the resources for the education program when the entrepreneurial education manager plans and executes the mentoring education program. For example, this study shows that career development and role modeling enhance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in turn increase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s means that entrepreneurship education should consist of contents that include career development functions such as sponsorship, guidance, protection, and provision of challenging work. In addi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mentors should perform the function of allowing the participants to have confidence and professional thinking ability at the time of start up based on their experiences.

창업 전 기업가기질과 사회적 자본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Entrepreneurial Temperament and Social Capital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before Start-up)

  • 윤기창;이재은
    • 산경연구논집
    • /
    • 제8권6호
    • /
    • pp.97-109
    • /
    • 2017
  •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temperament (ET) such as innovativeness, risk-taking, and proactiveness in entrepreneur's lifetime before start-up and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SC) such as network ties and trustworthines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We examined the components of ET (innovativeness, risk-taking, and proactiveness) and components of SC (network ties and trustworthiness) through existing prior research and investigated the factors that affecte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first hypothesis of this study was that entrepreneurial temperament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network ties of social capital, and the second hypothesis assumed that entrepreneurial temperament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rustworthiness of social capital. Finally, the second hypothesis assumed that social capital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We collected 175 data using questionnaires for people who have not yet started a start-up. And we used the Structure Equation Modeling (SEM) to evaluate the collected data and to test the research model by the two step research procedure. Results - As a result, the innovativeness and proactiveness of E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network ties and trustworthiness of SC, but the effect of risk-taking on risk-taking of SC is not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network ties and network ties of SC was reveale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I. Conclusions - The implications of this article could be observed as mentioned in this paper. First, we found that entrepreneurial innovativeness and proactiveness are helpful in constructing SCs, but not risk-taking.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ET of entrepreneurs is important factor in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Second, the SC that an entrepreneur built before the start-up has a meaning for EI. In conclusion, ET was affected partially to EI mediated SC. It is academic in that ET and SC are independent from each other and have a mediating role between ET and EI, unlike those directly affecting EI. Although some important implications were found in this study, this study had some limitations and we hope that future research will be complemented.

정보기술역량과 창업태도 및 창업의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Competence on Entrepreneurial Attitud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 최대수;성창수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7-39
    • /
    • 2017
  • Lately, there is a worldwide boom for start-ups. This trends has led to develop many policies for entrepreneurship in Korea, which focused on college education. Also, as the forth industrial revolution knows no borders, demands of software early education are expanding in line with strong interests in IT (Information Technology). Information technology is now an essential competency for all professionals who need creative thinking. And entrepreneurs are a representative job that requires creative thinking. This study suggests IT competencies-IT planning competencies (ITPC) and IT development competencies (ITDC)-as a core factor of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s paper is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IT competencie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So we investigated IT competenc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university students with a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empirical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planning competencies have positive influence on entrepreneurial attitude and intention. But IT development competencies do not influence directly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Second, entrepreneurial attitude have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T planning competencie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So, we need to develop good contents related to the IT planning capabilities when organizing training programs in start-up course.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al contents that can have a broad perspective for understanding the trends of technology convergence and creating opportunities.

시니어 창업자 역량과 창업지원정책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멘토링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Senior Entrepreneurship Competency and Start-up Support Policy on Entrepreneurship Intention: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Mentoring)

  • 김영태;허철무
    • 벤처창업연구
    • /
    • 제16권2호
    • /
    • pp.109-121
    • /
    • 2021
  • 최근 시니어의 퇴직이 많아지며 창업에 대한 높은 관심으로 시니어 창업이 활발해지고 있다. 대학생을 포함한 청년 창업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고 있으나 시니어 창업에 대한 선행연구 대부분은 개인적 특성과 사회 환경에 대한 연구 위주로 진행되었으며 창업지원정책의 영향요인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는 많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시니어 창업의 영향요인으로 창업지원정책과 창업자 역량에 대한 연구와 논의를 하였다. 본 연구의 독립변수로 창업자 역량을 기술적 역량, 창의적 역량의 두 가지 요인을 채택하였고 창업지원정책은 교육지원, 자금지원으로 구분하였다. 조절변수로 멘토링, 종속변수로는 창업의지를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인 40대 이상 시니어들로부터 수집한 총 232부의 설문지를 실증분석 하였다. 연구의 가설 검증을 위해서 탐색적 요인분석과 회귀분석은 SPSS 23, 조절효과는 Process 3.4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기술적 역량, 창의적 역량, 교육지원, 자금지원의 요인은 모두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적 역량(𝛽=.318), 자금지원(𝛽=.188), 교육지원(𝛽=.152), 기술적 역량(𝛽=.139)순으로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적 역량 및 창의적 역량과 창업의지 간에 멘토링의 조절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교육지원 및 자금지원과 창업의지 간 멘토링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시니어 예비창업자들의 창업역량과 창업지원정책을 위주로 창업의지를 활성화하는 영향요인을 연구함으로써 시니어 창업지원정책의 연구와 제도적 보완 그리고 차별화된 창업지원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창업의지에 높은 영향력이 있는 창의적 역량을 높이기 위한 방안 모색과 멘토링 기능의 확대방안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중장년 직장인의 창업 개인역량 및 창업기회인식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창업기회평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Competence and Perception of Entrepreneurship Opportunitie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ship Opportunity Assessment)

  • 진주영
    • 벤처창업연구
    • /
    • 제18권3호
    • /
    • pp.45-60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창업기회평가를 매개하여 중장년 직장인의 창업 개인역량과 창업기회인식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창업 개인역량의 하위변수로는 사전지식, 긍정적 태도, 사회적 네트워크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하여 창업에 관심이 있는 전국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약 15일간(2023.02.06.~2023.02.20.) 네이버 오피스를 이용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62부를 수집하여 결측치 12부를 제외한 250부를 대상으로 SPSS Ver.24.0과 PROCESS MACRO Model 4.0을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창업자 개인역량의 사전지식과 사회적 네트워크 및 창업기회인식은 높을수록 창업기회평가와 창업의도가 증가하는 유의한 정(+)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창업자 개인역량 중 긍정적 태도는 창업기회평가 및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업기회평가 및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는 창업기회인식, 사전지식, 사회적 네트워크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장년 직장인의 창업에 대한 긍정적태도는 COVID-19로 인한 창업환경 위축, 창업준비 부족으로 인한 실패의 두려움, 과잉자신감에 따른 인지편향의 오류로 인한 창업실패 사례 속출 등으로 창업이 부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창업자 개인역량과 창업기회인식이 통제된 상황에서 창업기회평가는 창업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업기회평가는 창업자 개인역량의 사전지식, 사회적 네트워크 및 창업기회인식과 창업의도 간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긍정적 태도와 창업의도 간은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창업기회평가 및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중 창업자 개인역량보다 창업기회인식이 더 크게 나타나 창업기회인식의 중요함이 확인하였다. 다섯째, 창업자 개인역량인 사전지식과 네트워크가 창업기회평가 및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창업사전지식 함양 및 경험의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창업교육을 강화하면 중장년 직장인들의 창업을 활성화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 PDF

벤처동아리활동 대학생의 목표 지향적 행동모델이 자기결정성 및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성격 5요인의 매개효과 (The Infuence of Venture Club Activity by University Student's Goal-Oriented Behavior Model on Self-determination and Startup Intention: Focused on the Medaiation Effects of Big 5)

  • 박화순;변상해
    • 벤처창업연구
    • /
    • 제16권2호
    • /
    • pp.79-93
    • /
    • 2021
  • '왜?'창업을 하려는 지에 대한 질문은 어떠한 특정의 행동을 하려는 데에 대한 가장 기초적인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즉, 어떠한 특정의 목적을 설정함에 있어서 개인은 자신의 결정에 대한 확신의 정도가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들이 존재하고 있다. 이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성격 5요인을 매개로 한 대학생의 목표 지향적 행동모델이 자기결정성 및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대학생의 창업교육 방향성 도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국공립 및 사립 대학교에 재학하면서 벤처 동아리에 소속된 대학생을 대상으로 2019년 10월 01일에서 11월 11일까지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고,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의 목표 지향적 행동모델이 자기결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태도와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긍정적 기대와 부정적 기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대학생들의 목표 지향적 행동모델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지각된 행동통제와 긍정적 기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부정적 기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회귀모델 I에서는 대학생의 창업의지와 목표 지향적 행동모델 중에 지각된 행동통제, 긍정적 기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부정적 기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성격 5요인을 매개변수로 투입한 회귀모델 II에서는 지각된 행동통제, 긍정적 기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부정적 기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목표 지향적 행동모델이 자기결정성 및 창업의지를 실행함에 있어 중요 변인임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또한 자신의 성격 5요인을 긍정적인 피드백으로 활용하여 자신의 삶을 계획하고 성취하기 위해 목표를 세우고 계획하고 활용할 수 있는 성격을 매개역할이 확인되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이 증명 되었다.

대학 창업교육 및 창업지원제도 분석을 통한 대학창업발전방안 연구: D대학 창업교육 및 창업지원제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University Start-up through the Analysis of University Start-up Education and Start-up Support System: Focusing on the Start-up Education and Start-up Support System of D University)

  • 이성호;김정음;남정민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4호
    • /
    • pp.151-160
    • /
    • 2020
  • 본 연구는 최근 대학정책의 주요 사업으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대학 창업교육 및 지원사업의 실태를 파악하고, 그 문제점을 분석하여 대학의 창업활성화를 위한 정책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수도권 소재 종합대학인 D대학 재학생 및 휴학생 800명을 대상으로 대학 창업교육 및 창업지원제도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의 다양한 창업교육과 지원으로 인해 창업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은 높게 나타났으나, 여전히 대학생들이 창업에 도전하려는 의지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 기피요인으로는 '창업실패의 위험성'이 40.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는 '취업 우선'(24.9%), '창업지식 부족'(13.4%)이며, 창업 시 애로사항으로는 1순위가 자금조달 26.9%, 2순위가 인력확보 14.0%, 3순위가 기술개발 11.8%로 나타났다. 셋째 창업교육의 필요성은 '창업 중' > '창업 준비 중' > '창업의사 없음' 순으로 나타났으며, 창업교육 필요이유로는 '다양한 진로 선택에 대한 동기부여'가 24.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창업에 대한 다양한 지식 및 기술 습득'이 23.9%로 나타났다. 끝으로 대학 내 창업정책에 대한 홍보의 중요성 및 창업지원제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되며, 기존 공급자 측면에서 제공되던 방법에서 벗어나 정책 수요자인 대학생의 요구를 반영한 창업교육 및 창업지원제도의 변화가 요구된다.

대학생의 창업 성공과 실패에 대한 인식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Recognition of Business Failure and Sucess of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University Students)

  • 하규수;윤백중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3406-3414
    • /
    • 2011
  • 창업은 거시적인 측면에서는 고용을 창출하여 국가경제의 근간을 이루는 기능을 담당하지만 개인의 측면에서는 소득원의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창업의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개인적인 측면에서 경제적인 성과가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창업에 대한 성공과 실패에 대한 태도가 창업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창업의 성공에 대한 태도는 창업의도에 정적인 영향력을 나타내고 있으며, 반면 실패에 대한 창업 태도는 창업의도에 부적인 영향력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시장전망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조절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실패와 시장전망의 상호작용에서 부정적인 영향력을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실패라는 부정적인 요소가 창업의도에 영향을 중요한 원인으로 규명되었으므로 실패를 극복할 수 있는 창업교육이 필요하다.

창업 소상공인들의 경영활성화를 위한 마케팅전략에 관한 실증연구 -커피전문점을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on the Marketing Strategy for the Activation of management of the start-up Small Business)

  • 정두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1호
    • /
    • pp.105-115
    • /
    • 2019
  • 본 연구는 감성마케팅과 브랜드인지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SNS 활용이 브랜드인지도와 구매의도 사이에 조절효과가 있는지 검증하여 초기 창업자들의 경영활성화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감성마케팅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감성마케팅의 주요 요인들 중에서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미각요소와 시각요소로 나타났다. 둘째, 감성마케팅의 세부요인들 중 브랜드인지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세부요인은 미각요소, 촉각요소, 시각요소, 청각요소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브랜드인지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브랜드인지도는 구매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감성마케팅과 구매의도 사이에 SNS 활용이 어느 정도 조절효과가 있는지 SNS 활용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감성마케팅의 세부요인인 시각, 후각, 청각, 미각, 촉각요소 모두 SNS 활용의 조절효과는 유의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기 창업단계에서 감성마케팅과 SNS 등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 경영활성화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