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rt-up intention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29초

지역축제 서비스품질이 지역기반 창업기업 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함평나비축제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Local Festival Service Quality to Purchasing Intention of Local Start-up Company Products: Focus on Hampyong Butterfly Festival)

  • 홍인기;민경세
    • 벤처창업연구
    • /
    • 제12권1호
    • /
    • pp.61-71
    • /
    • 2017
  • 지역축제란 지역기반창업기업들에게 매우 소중한 홍보 및 판매의 장이 될 수 있다. 그렇다면 지역축제의 서비스품질은 이들의 제품 판매 활성화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가? 기존의 축제서비스품질과 관련된 연구에서는 축제서비스 품질의 관광산업적 성과에 주로 초점을 맞추었던 것과는 달리, 우리는 축제서비스 품질이 제품판매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을 토대로 하여 우리는 "지역축제의 서비스품질은 지역이미지를 매개로 지역기반창업기업의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줄 것이다"라는 가설을 세우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축제서비스 품질은 구매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았다. 공감성 차원을 제외할 땐 다른 차원은 모두 직접적 영향을 주지 않았다. 반면 축제서비스 품질의 각 차원은 확신성을 제외하고 지역 이미지를 매개로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구매의도는 구매행동에도 실질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지역축제서비스품질은 지역이미지를 매개로 할 때, 지역기반창업기업의 제품판매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영향은 직접적인 영향이 아니라 간접적인 영향이었다. 또한 지역이미지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지역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언할 수 있다. 더하여 지역축제서비스 품질의 향상은 지역기반창업기업제품 판매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공감성 차원이 영향을 많이 준다는 점을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대학생의 기업가정신과 창업교육프로그램이 창업의지와 창업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ntrepreneurship and the Effect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on Entrepreneurship Intention and Entrepreneurship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 배병윤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4호
    • /
    • pp.115-125
    • /
    • 2022
  • 평생직장의 개념이 없어진 현시대에 대학생들에게 창업은 취업의 대안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인생 전체의 관점에서 보면 필수적인 고려사항이다. 오늘날 대한민국 대부분의 대학에서는 대학생의 창업 육성을 위하여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창업동아리를 교과 프로그램으로 창업강좌 등 창업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기존 선행연구에서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기업가정신이 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기업가정신과 창업교육프로그램(창업동아리 참여, 창업강좌 수강) 통한 창업의지가 창업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창업공모전 참여 등 창업교육프로그램이 대학생들의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 연구는 일부 있지만 그 중요성에 비해 많지 않고, 기업가정신과 창업교육프로그램이 창업의지와 창업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실증연구는 국내외 연구에서 찾아보고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창업동아리와 창업 강좌를 운영하고 있는 국내 대학 1군데를 선정하여 전체 재학생에게 온라인 설문 배포 후 회수된 127명의 설문을 실증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의 하위요인인 진취성, 위험감수성은 각각 창업의지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혁신성은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둘째, 대학생의 창업교육프로그램의 하위요인인 창업동아리 참여는 창업의지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창업강좌 수강은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대학생의 창업의지는 창업행동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넷째, 창업의지는 위험감수성, 창업동아리참여 각각의 요인과 창업행동과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위험감수성을 높이고, 창업동아리 참여를 통하여 창업의지를 높이고, 이를 매개로 하여 창업행동에 도달 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초기창업자 멘토링: 어떻게 창업의도로 연결되는가? (Mentoring Nascent Entrepreneurs: What Leads to Intention?)

  • 이일한
    • 벤처창업연구
    • /
    • 제8권2호
    • /
    • pp.47-52
    • /
    • 2013
  • 대학과 대학원 학생의 창업역량과 창업장애물의 인식은 멘토링의 발전에 중요성을 가정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부분의 사업을 시작하는 창업의도에 대해 기여하는 요인을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창업능력과 창업장애물이 창업경험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며, 다음으로 창업경험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며, 마지막으로 창업경험과 창업의도간의 관계에 창업멘토링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우리는 139개의 샘플을 사용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창업역량은 창업경험의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업장애물은 창업경험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으며, 창업경험은 창업의도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창업경험과 창업의도 간의 관계에 대한 창업멘토링 조절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향후에는 창업멘토링의 영향력을 세분화할 필요성이 제기되며, 본 연구에서는 창업멘토링의 측정문항을 외국 문헌의 자료를 인용하여 사용하였기에 우리나라 실정에 약간은 맞지 않다는 한계점이 있다.

  • PDF

창업교육이 성인학습자의 창업의지와 창업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and Entrepreneurial Behavior of Continuing Education Enrolled Students in Universit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 유소영;양영석;김명숙
    • 벤처창업연구
    • /
    • 제18권1호
    • /
    • pp.107-124
    • /
    • 2023
  • 4차 산업혁명시대가 현대사회에 도래함에 따라 시대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현재의 삶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하여 직업전환을 꾀하거나 자기개발 및 노후 준비를 위한 성인학습자들의 창업에 대한 관심이 계속해서 증대되고 있다. 정부와 대학 등 여러 기관에서는 창업에 관심이 많아진 성인학습자들을 위하여 창업을 적극적으로 장려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제2차 대학 창업교육 5개년 계획(안)에 따르면 실습형 강좌보다 이론 중심의 창업교육이 대부분이며, 창업 이후의 고도화 교육지원 역량이 부족한 상황(교육부, 2018)이다. 성인학습자에게 창업교육 및 창업 환경 조성이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대두되어 창업교육이 성인학습자의 창업의지와 창업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2022년 9월부터 10월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였고, 총 207부가 수집되었다. 척도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크론바흐 알파계수(Cronbach's α)를 산출하여 분석하고 측정하였다. 가설검증은 다중회귀분석 통계분석 방법을 사용하였고 SPSS 22.0 통계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자기효능감은 창업교육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교육은 성인학습자의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업교육은 성인학습자의 창업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효능감은 성인학습자의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기효능감은 성인학습자의 창업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창업교육과 성인학습자의 창업의지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매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창업교육과 성인학습자의 창업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완전매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학습자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교육방식 등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함을 확인하였고 따라서 성인학습자들에게 본인들의 현장경험을 기반한 국내·외 창업 사례나 벤처기업 등의 경영관리의 전반적인 내용에 대해 실무적으로 학습하는 프로그램 또는 성인학습자들이 직접 창업을 구성하고 구상한 내용에 맞는 사업계획서를 작성하여 그 내용을 발표하고 토의하는 방식 등의 전문적인 창업교육을 위하여 지속적 개발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창업교육을 통해 성인학습자들이 실제로 창업행동을 할 수 있도록 창업의지를 제고시키고 자기효능감을 심어주어 그들의 자기개발 또는 제2의 삶을 설계 할 수 있도록 지원체계를 만들어야 할 것이다.

  • PDF

The Sustainable Value and Belief of Multicultural Intelligence on Start-ups

  • Um, Hyemi;Han, Aram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8권2호
    • /
    • pp.17-33
    • /
    • 2021
  • Korean society is changing into multicultural society with increasing international marriage and immigrant influx. The increasing number of immigrants in Korean society suggests the necessity of social and economic integration of people with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We study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multicultural immigrant. Cultural intelligence is closely related with sustainable value and belief to their eagerness in surviving of the 2nd country. Cultural intelligence is the individual's capability to function or manage effectively in different cultural settings or in multicultural settings. It is assumed that the cultural intelligence of multicultural immigrant might affect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we set up the research model. 243 usable responses of multicultural immigrants in Korea were analyzed. Our findings suggest that cultural intelligence positively affected entrepreneurial intention by affecting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This study contributed the study of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multicultural immigrant.

직장인들의 은퇴후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Factors affecting startup intention of retired office-workers)

  • 최양림;하규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9호
    • /
    • pp.195-212
    • /
    • 2012
  • 대부분의 직장인들이 미래에 대하여 불안해하면서 다양한 미래 계획들을 준비한다. 급속한 산업패턴의 변화로 직장인들의 근무기간은 점차 줄어드는 반면에 은퇴이후의 생존기간은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기 때문에 직장인들이 은퇴 이후의 대안의 하나로 창업 등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직장인들의 창업의도에 미치는 요인을 개인적요인, 심리적요인, 환경적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개인적 요인에는 경제적 노후 준비와 퇴직후 생활 전망 등과 같은 설문들로 구성되어 있다. 심리적 요인에는 위험감수 성향, 자기 효능감, 직업가치를 설명하는 창업가특성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환경적 특성에는 사회경제적 위기 인식, 창업에 대한 인식, 고용의 불안정성 등의 설문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설문지는 340부를 회수하여 결측값이 있는 26부를 제외하고 314부를 사용하여 SPSS Win 18.0 버전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인적 요인으로 퇴직후 생활전망은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심리적 요인인 위험감수성향은 창업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적 요인에서는 창업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에 창업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창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 등과 같은 창업 환경 개선에 대한 정책적 배려의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창업공모전 참여동기를 매개변수로- (An Empirical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the Entrepreneurship of Undergraduate Student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Focused on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ng in the Start-up Idea Contest as a Mediator)

  • 김정곤;양동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477-487
    • /
    • 2016
  • 본 연구는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찾고, 창업공모전 참여동기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정신의 요인은 혁신성, 진취성, 위험 감수성이며,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모두 유의한 정(+)의 관계를 보였다. 둘째,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와의 영향관계에서 창업 공모전 참여동기의 매개 효과 검증 결과, 기업가정신의 혁신성이 창업의지와의 관계에서 공모전 참여동기의 성취감과 유의적인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그 외 공모전 참여동기 요인인 금전적보상, 경력적보상과는 유의한 영향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은 기업가정신이 높은 대학생은 창업의지가 높음을 알 수 있었고, 대학생들이 창업공모전에 도전하는 이유는 금전적보상이나 경력적인 보상을 얻기보다는 도전을 통한 성취감을 느끼기 위함이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창업의지를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개발할 수 있는 환경 조성과 자신감을 고취시켜 대학생들의 창업공모전 참여가 활성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창업의 지각된 가치와 위험이 예술전공 대학생 창업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Perceived Value and Perceived Risks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rt)

  • 김혜진;정지복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75-81
    • /
    • 2023
  • 본 연구는 창업의 지각된 가치와 지각된 위험이 예술전공 대학생의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부모·형제의 창업경험과 세부전공에 따른 창업의도 정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창업의 지각된 가치는 창업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업의 지각된 위험의 구성요인 중에서 재무적 위험은 창업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만 사회적 위험요인과 경력 위험요인은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술계열의 세부전공 중에서 공예전공 대학생은 다른 전공에 비하여 창업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부모·형제의 창업을 간접적으로 경험한 대학생이 그렇지 않은 대학생에 비하여 창업의도가 높으며 부모·형제의 창업경험 유무는 창업의 지각된 가치와 지각된 위험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의 창업의지를 중심으로 살펴본 연구소기업 설립.운영의 효과 (The study on the impacts of the foundation and management of the Innopolis start-ups focusing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researchers)

  • 이성상
    • 벤처창업연구
    • /
    • 제9권1호
    • /
    • pp.69-77
    • /
    • 2014
  • 연구소기업은 연구기반 스핀오프(research-based spin-offs)의 범주에 포함되지만 기술사업화 과정에서 일반적인 연구기반 스핀오프와는 구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연구자의 창업의지로 나타나는 기업가정신의 확산을 중심으로 연구소기업 설립 운영의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2개 연구소기업에 대한 심층 인터뷰 결과와 14개 공공연구기관 200명의 유효 응답자로부터 얻은 결과를 분석한다. 분석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소기업 설립 여부와 설립 건수 모두 연구자의 창업의지로 나타나는 기업가정신의 확산과 강화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자의 개별 특성 측면에서는 연구자의 기술이전 여부 및 기술이전 건수가 창업의지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매출액, 고용창출, 연구개발 투자 등과 같은 경제적인 효과와 더불어 기업가정신의 확산과 강화를 연구소기업 설립 운영의 긍정적인 효과로 볼 수 있다. 기업가정신의 확장과 경제적 성과라는 측면에서 연구소기업이 가지고 있는 장점이 실제 연구소기업을 설립, 운영하는 과정에서 실현될 수 있는지를 검토함으로써 향후 연구소기업 설립 및 운영의 전반적인 방향을 설정하는데 유용한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PDF

자기규제초점과 심리적 거리가 창업태도 및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Regulatory Focus and Psychological Distance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 하환호;변충규
    • 벤처창업연구
    • /
    • 제11권2호
    • /
    • pp.1-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창업태도와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로 자기규제초점과 심리적 거리에 주목하였다. 자기규제초점은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향상초점집단과 예방초점집단이 창업에 대한 심리적 거리에 따른 창업태도와 행동의도의 영향력을 이원변량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자기규제초점에 따라 창업태도와 행동의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즉, 예방초점집단보다는 향상초점집단에서 행동의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거리에 따라 이들의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본 결과, 향상초점집단에서는 창업에 대해 심리적 거리가 멀 때보다는 가깝다고 느낄 때 창업태도와 창업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예방초점집단에서는 창업에 대해 가깝다고 느낄 때보다는 멀다고 느낄 때 창업태도와 행동의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학문적 의의와 실무적 시사점 그리고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