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rt-up business strategies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31초

대학생 창업교육이 창업지식 및 경영전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Entrepreneurship Knowledge and Management Strategy)

  • 김태성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13-120
    • /
    • 2021
  • In the past, manufacturing-oriented industries focused on improving labor productivity to achieve economic growth. Korea is changing from a labor-intensive industry to a technology-intensive industry in order to occupy a competitive edge compared to other countries. Recently, a lot of investment has been made not only in technology-intensive industries but also in information industries. Therefore, it is developing in various forms such as special technology, platform industry, and virtual reality as a technology-intensive industry and information industry field. In this social phenomenon, the necessity of starting a business using new ideas and technologies is increasing. Therefore, universities also need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their students, and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how the contents of the university's start-up education support, individual achievement needs, and the degree of acquisition of start-up knowledge affect the establishment of business strategies necessary for start-ups.

시니어 창업의 정책 제안과 마케팅전략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olicy Proposal for Senior Start-up and Marketing Strategies for Entrepreneurs)

  • 윤정근
    • 유통과학연구
    • /
    • 제11권1호
    • /
    • pp.55-63
    • /
    • 2013
  • Purpose - As the members of the baby boomer generation have retired in earnest, the start-up market has received more attention than ever before. According to recent statistical data, an increasing number of entrepreneurs are in their fifties. There has been a continuous increase in promotional materials on small business issues published by start-ups. This means that senior start-ups have increased in number. A number of support systems have been established for youth start-ups, but there are few government support policies in place for the senior start-up market. Thus, this study suggests a number of constructive alternatives from the perspective of government policy and marketing strategy for entrepreneurs, in order to generate competitiveness in the start-up process, through examining the current state of the senior start-up and by diagnosing extant problems.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This study gives a number of options regarding the government's support policies and the securing of competitiveness in order to vitalize senior business start-ups. As for the government's support policies, funding support policy, publicizing business start-up policies, and operating systematic mentoring policies before retirement have all been covered. In particular, in order for senior business start-ups to become competitive, development through mutual relations with diverse policies is urgently needed. The aging population is becoming an issue in Korea, so businesses for the aged, and the creation of jobs for these people, will become a social issue. Senior business start-ups are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expanding enterprise productivity, in addition to enhancing national competitiveness. Expanding senior business start-ups is important, because they also serve to expand the national infrastructure. Productivity increase through continuous expansion is thus recommended. Results - In order to expand the competitiveness of business start-ups, marketing-related observations and learning in regard to customers are necessary for the baby boomer generation, and competitiveness for seniors is urgently needed. Conclusions - Studies on the business start-up policies for the domestic baby boomer generation are almost non-existent, and systematic studies on small businesses are necessary. Only the government is providing statistical studies for small businesses, and such research remains at a general level for entrepreneurs. Therefore, a support system that can actually assist entrepreneurs is essential. Continuous business start-up studies with respect to the baby boomers should be vitalized, to invigorate studies on competition. In order to supplement and strengthen foundational support, senior business start-ups must develop various competitive capabilities with a focus on the customer. The government and the various stakeholder agencies and organizations involved with start-up businesses must find ways to offer support to founders. Such support should include access to knowledge and legal and consultancy services in order to incubate the rapid increase in start-ups founded by seniors. Government support projects should be expanded to meet this end.

  • PDF

청년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성과에 미치는 지원 요인에 관한 연구 (Impact of Youth Start-Up Business Incubating System On the Start-Up Business Performance)

  • 황보윤;김재형;방중혁
    • 벤처창업연구
    • /
    • 제8권1호
    • /
    • pp.149-160
    • /
    • 2013
  • 본 연구는 정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청년 창업지원 사업 및 지원시스템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서울시 청년창업지원시스템(청년창업1000프로젝트)이 청년창업가의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설문조사를 통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청년창업1000프로젝트에 수혜를 받은 20세이상 40세 미만의 청년창업가를 표본으로, 청년창업가 특성(수혜시기, 창업 시 자본금 규모, 입주 전 지적재산권 보유개수) 및 창업지원 서비스 요인에 대한 만족도(창업활동지원금, 홍보 및 판로개척지원, 입주자간 협업지원 등)가 창업성과(창업성공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청년 창업가의 창업시 자본금 규모, 입주전 지적재산권 보유개수, 창업활동 지원금 지원, 홍보 및 판로개척지원, 입주사간 협업 지원들이 창업성과와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업가의 특성 및 지원서비스와 창업성과와의 회귀분석 결과는 청년 창업가의 졸업기수, 사무실 규무, 지적재산권 기존 보유 개수, 창업활동 지원금 지원, 입주사간 협업 지원들이 청년 창업기업의 창업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청년창업가의 창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으로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적 지원 방안의 기초자료가 된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있다.

  • PDF

창업마케팅특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arketing Characteristic on Business Performance)

  • 전인오;안운석
    • 벤처창업연구
    • /
    • 제11권3호
    • /
    • pp.97-109
    • /
    • 2016
  • 우리나라의 신생기업은 5년 후 생존율이 29.6%로 낮아진다. 이는 초기의 창업기업들이 중견기업에 비해 자원이 풍부하지 못하기 때문에 생존율이 낮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창업기업의 마케팅특성이 주요 원인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학습지향성, 마케팅경험, 경쟁지향성 등은 창업기업에 따라 다르게 소유하고 있으며, 특히 창업기업의 경우 마케팅전략에 미치는 영향은 다르게 조사될 수 있다고 판단되어 학습지향성, 마케팅경험, 경쟁지향성이 창업기업의 마케팅전략에 미치는 관계를 검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기업성과를 측정하여 창업기업의 대표자들에게 창업기업의 생태계에 관련된 내용을 시사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표본은 2015년도를 기준으로 창업한지 3년 6개월 이내의 창업기업가들을 대상으로 2015년 11월 20일부터 12월 20일까지 창업 기업 종사자 25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데이터클리닝 한 결과 207개의 표본을 대상으로 SPSS 2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독립변수인 창업기업의 마케팅환경이 매개변수인 마케팅전략에 미치는 영향은 학습지향성, 마케팅경험, 경쟁지향성에 있어 제품전략, 유통 전략, 촉진전략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개변수인 마케팅전략이 종속변수인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제품전략, 유통전략, 촉진전략은 재무성과와 비재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마케팅전략의 매개효과는 학습지향성, 마케팅경험, 경쟁지향성이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제품전략과 유통전략이 확실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학습 지향성과 마케팅경험, 경쟁지향성이 비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제품전략만이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결과의 요약을 종합해보면 창업기업이 기업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 마케팅전략을 펼쳐야 하는데 특히 학습지향성과 마케팅경험이 중요시되며 창업마케팅특성이 기업성과를 높이는데 있어서 제품전략과 유통전략이 재무성과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제품전략은 재무성과와 비재무성과를 높인다고 볼 수 있다. 이에 창업기업 마케팅특성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기업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 창업마케팅특성에 따른 마케팅전략을 펼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 PDF

창업기업 성과에 미치는 창업보육 지원 서비스 연구 (Impact of Start-Up Incubator Service On the Start-up Performance)

  • 황보윤;김재형
    • 벤처창업연구
    • /
    • 제11권5호
    • /
    • pp.57-66
    • /
    • 2016
  • 본 연구는 창업지원제도의 수혜 받을 당시가 아닌 졸업 후 2년 이상 지난 시점에서 창업보육 지원서비스가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실증 분석을 위해서 서울시가 지원하는 청년창업1000프로젝트 졸업 후 2년 이상 경과한 813명의 창업가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들에게 제공하는 지원서비스들인 사무공간무상제공, 창업활동지원금 지원, 교육 및 코칭 지원, 전문컨설팅 지원, 홍보 및 판로개척지원, 입주기업 간 협업지원을 독립변수로 하고 졸업 후 창업성과(창업성공만족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 분석을 결과는 창업기업들의 지원서비스 만족도 평균이 가장 낮게 나왔던 창업가의 입주사 간 협업지원에 대한 만족도가 창업성공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업가의 창업활동지원금에 대한 만족도가 창업성공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창업보육센터내 창업기업들의 창업 성공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창업 활동금 지원과 입주사간 협업 지원에 더욱 집중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사무공간 무상 제공과 교육 및 코칭 지원, 전문컨설팅 지원, 홍보 및 판로 개척 지원은 입주기업 들에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볼 때 창업보육센터 지원서비스들에 있어서 입주기업들에게 창업성공 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방법을 국내외에서 차별적으로 실적을 달성하고 있는 창업보육센터들을 벤치마킹하여 새롭게 지원서비스 방법을 모색하여야 하겠다.

  • PDF

여성의 셀프리더쉽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on the Lntention of Start-up in Women: The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

  • 임정숙;김성숙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5호
    • /
    • pp.65-76
    • /
    • 2020
  • 본 연구는 여성의 셀프리더쉽이 창업이라는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반영하여 여성의 셀프리더쉽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영향요인인 셀프리더쉽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셀프리더쉽 전체와 더불어 하위요인인 행동지연 전략, 보상자연 전략 및 건설적 사고전략에 대해서도 검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온라인 설문에 응답한 198명을 대상으로 Hayes(2018)가 제안한 PROCESS macro의 model 4번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간접효과는 붓스트랩 샘플을 5,000개로 지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효능감은 여성의 셀프리더쉽이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매개효과는 부분매개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효능감은 여성의 행동지향적 전략이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매개효과는 부분매개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여성의 자연보상적 전략이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매개효과는 부분매개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효능감은 여성의 건설적 사고전략이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매개효과는 완전매개로 나타났다. 이는 여성의 셀프리더쉽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과 창업의도가 높아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여성 창업에 대한 발전적 제언을 하였다.

창업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타당성 평가방안의 이론적 고찰;BMO 모델 응용 중심으로 (Literature Studies for Testing validity of Business Model of High-tech Starts-up;Utilizing BMO Model)

  • 정화영;양영석
    • 벤처창업연구
    • /
    • 제2권2호
    • /
    • pp.1-22
    • /
    • 2007
  • 본 연구는 창업기업들이 초기단계 성공의 가장 핵심인 성공적인 비즈니스 모델의 수립과 실행을 사전적으로 가늠해 볼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창업기업들은 창업 성공확률을 제고하기 위해 사전적인 철저한 분석과 준비가 요구되며 동시에 직관적으로 수립된 비즈니스 모델들이 사업타당성을 갖는지 사전적으로 검증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창업기업들이 본격적인 사업을 시작하기 이전에 보다 타당하고 성공가능성이 높은 사업기반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요소를 인식하고 이에 대한 효과적인 대처방안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크게 두 가지의 접근을 시도하였다. 첫째 본 논문은 이론적인 검토를 통해 창업기업의 성공에 있어 비즈니스 모델이 차지하는 중요성을 고찰하였다. 둘째 본 논문은 창업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타당성을 분석하기 위해 Bruce Merrifield 박사가 고안한 BMO 방법이 창업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타당성 분석에 유용한 모형을 제공하고 있음을 입증하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분석을 통해 창업기업들이 성공적인 창업을 위해 사전적으로 타당한 비즈니스 모델 수립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비즈니스 모델 타당성 분석에 있어 BMO 방법을 활용해야 하는 당위성을 제공하였다.

  • PDF

청년창업기업의 생존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Empirical Study on Survival Factors of Youth Start-Ups)

  • 박춘주;홍재범
    • 벤처창업연구
    • /
    • 제18권6호
    • /
    • pp.27-40
    • /
    • 2023
  • 본 연구는 청년창업기업의 생존요인을 분석한 것으로 기술보증기금이 청년창업기업 보증을 지원하기 위해 2012년부터 2015년까지의 기간에 평가한 3,540개 사의 평가자료를 기초로 이루어졌다. 청년창업기업 보증 대상은 창업자 연령이 39세 이하이다. 청년창업기업의 생존여부를 종속변수로, 창업자 특성, 창업환경, 창업전략을 독립변수로 정의하였다. 생존은 보증사고 발생 여부 기준으로 12개월, 36개월, 60개월, 84개월 생존으로 각각 정의하여 측정하였다. 창업자 특성은 기업가정신, 지식수준, 개발역량으로 정의하였다. 창업환경은 경쟁상황, 대체품과의 비교우위로 정의하였다. 창업전략은 아이템의 참신성, 사업화 계획, 자금조달계획으로 정의하였다. 이들 독립변수의 측정은 기술보증기금의 청년창업기업보증 심사자료를 활용하였다. 가설검정을 위해 Cox 비례위험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창업자 특성의 항목인 지식수준, 개발역량과 창업전략의 항목인 자금조달계획이 12개월, 36개월, 60개월, 84개월 생존기간 모두에서 유의한 변수이다. 창업전략의 항목인 아이템의 참신성은 36개월, 60개월, 84개월 생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창업자 특성의 기업가정신은 12개월 생존에서만 유의하였다. 창업환경은 생존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생존에 중요한 순서는 자금조달계획, 지식수준, 아이템의 참신성, 개발역량 순으로 파악되었으며, 이중 초반에서는 창업자의 지식 수준이 후반에는 자금조달계획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 PDF

유기농식품시장의 장애요인과 전략적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arriers and Vitalization Strategies of Developing New Markets for Organic Products)

  • 유덕기;황재현;권혁준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63-487
    • /
    • 2010
  • This work is described as an early effort to study organic products marketing.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barriers and vitalization strategies of developing new markets in an environment of increasing consumer awareness and marketability of organic products. Barriers to developing new markets for organic products include lack of basic information or poor understanding among farmers of sustainable techniques and practices, poor access to markets, high start-up costs, lack of understanding the developing market, uncertainty in marketing and pricing, consumer habits, inadequate financing, including resistance to paying premium prices, misinformation and misapprehension concerning the production of organic products. Recommends strategies for implementing sustainable systems, e.g., involve government agencies, educating and organizing both farmers, processors, and consumers developing marketing and distribution programs. Examines business strategies that have successfully targeted markets, such as advertising, labeling, public relations and communications, gaining consumer trust, partnerships, and diversifying operations.

한국 벤처창업기업의 상표와 비즈니스 전략간 연관성 분석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ing and Business Strategies of Korean Start-ups)

  • 김혁준;한유진
    • 벤처창업연구
    • /
    • 제19권2호
    • /
    • pp.27-43
    • /
    • 2024
  • 최근 제품과 서비스를 보호하고 차별화하기 위한 기업 경쟁력의 핵심 자원으로서 상표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글로벌 기업들은 자사의 핵심가치가 투영된 브랜드 관리와 점차 빈발하고 있는 상표권 분쟁 대응을 위해 상표권 확보에 매진하고 있고, 창업기업과 개인은 안정적 사업 영위와 투자금 유치를 위해 상표권 확보에 매진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본 연구는 국내 벤처창업기업의 상표와 비즈니스 전략간 연관성 규명을 위한 실증분석을 실시한다. 분석데이터는 2021년 벤처기업정밀실태조사 중 2,230개의 법인기업 응답데이터가 활용되었고, 분석방법으로는 성향점수매칭법, 구조방정식모형분석, 이항로짓분석이 활용되었다. 분석 결과 국내 벤처창업기업의 상표 보유는 비즈니스 전략의 수준 측면에서 큰 차이를 만들지는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국내 벤처창업기업의 상표는 주로 내부역량화 과정을 통해서만 비즈니스 전략을 고도화하는 반면 외부역량화 과정을 통한 비즈니스 전략 고도화는 매우 미미하기 때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벤처창업기업의 비즈니스 전략 수준 중 원가우위전략 수준이 상표 보유성향을 강화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원가우위수준의 완성도가 높아 지면 높아질수록 상표보유를 통해 제품·서비스의 안정적 판매·공급을 위해, 그리고 향후 고부가가치화로 전환하기 위해 상표보유를 확대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