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phylococcus sp.

검색결과 205건 처리시간 0.032초

원유시료에서 분리된 반코마이신 저항성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us 균주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a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us sp. Isolated from Raw-Milk having Reduced Susceptibility to Vancomycin)

  • 하남주;최성숙
    • 약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491-493
    • /
    • 2001
  •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us sp #39, isolated from raw-milk showed reduced susceptibility to vancomycin. The minimun inhibitory concentration for strain #39 was at 8$\mu\textrm{g}$ of vancomycin per ml. Transmitting electron microscopy displayed that this strain had a 2.5-3.5 times thicker cell wall than a vancomucin sensitive strain of Staphylococcus sp. The strain #39 also had an increased cell volume. These data indicate that the reduced susceptibility may be due to the thickness of the cell wall of the test strain.

  • PDF

Sphingobacterium sp. SW-09에 의한 토양환경에서의 다환 방향족탄화수소인 페난스렌의 분해 (Sphingobacterium sp. SW-09 Effectively Degrades Phenanthrene, a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in a Soil Microcosm)

  • 손승우;장혜원;김성국;장종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1호
    • /
    • pp.1511-1517
    • /
    • 2011
  • 페난스렌은 다환방향족 탄화수소의 일종으로서 미량으로도 인체에 강한 해를 미칠 수 있는 주요 환경오염 물질이다. 미생물을 이용한 페난스렌 제거 목적으로 중국 쑤저우(Suzhou) 지역의 유류 오염토양에서 페난스렌을 강력하게 분해하는 세균을 분리하였다. 16S rDNA 염기서열 결정에 의하여 이 세균은 Sphingobacterium sp. SW-09로 동정되었으며 PCR 증폭을 통하여 페난스렌 분해 유전자인 nahH를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전의 연구에서 포천일대의 군부대에서 분리된 강력한 페난스렌 분해세균인 Staphylococcus sp. KW-07과 이번에 분리된 Sphingobacterium sp. SW-09을 이용하여 이들의 페난스렌 분해능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쑤저우 지역에서 분리된 Sphingobacterium sp. SW-09이 최소배지와 실제토양에서 모두 Staphylococcus sp. KW-07보다 강하게 페난스렌을 분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이번에 분리된 Sphingobacterium sp. SW-09을 사용하여 유류 오염토양의 환경정화에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시력 교정용 안경의 세균 오염 (The Bacterial Contamination in Glasses for Vision Correction)

  • 김흥수;황석연;윤치영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7-73
    • /
    • 2013
  • 목적: 최근 시력 교정용 기구 및 주변용품들에 대한 미생물의 오염이 안과 질병요인으로 지목됨에 따라 시력 교정용 안경에 대한 세균의 오염 실태를 조사하였다. 방법: 초등학생 36명, 중학생 37명, 고등학생 30명, 대학생 10명, 노인 32명으로 총 145명의 안경으로부터 세균을 채취하여 분리 배양한 후 동정하였다. 결과: 시력 교정용 안경으로부터 검출된 세균은 총 17종으로 Bacillus cereus, Bacillus licheniformis, Bacillus sp., CNS, Enterococcus, Escherichia coli, Proteus sp., Pseudomonas sp., Serretia sp., Streptococcus sp., Staphylococcus epidermidis, Staphylococcus aureus, Streptococcus hemolyticus, Acinetobacter, Enterobacter cloacae, GNR, Pseudomonas aeruginosa이었다. 안과질환과 관련한 세균류는 각막염을 유발하는 Enterobacter cloacae, Pseudomonas aeruginosa, Staphylococcus epidermidis, 각막궤양을 유발하는 Pseudomonas sp., Staphylococcus aureus, 급성누낭염, 안와봉소염, 망막정맥주위염, 눈꺼풀테염을 유발하는 Staphylococcus aureus와 급성결막염 등을 유발하는 Streptococcus hemolyticus가 포함되었다. 결론: 시력 교정용 안경에서 고위험군 기회감염성 균류들이 다량으로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한 감염에 따른 질병의 유발이 예측되므로 안경의 청결관리를 위한 대안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축산유래 식중독 세균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제1보 : 일부 농촌지역 젖소 유방염의 발생양상 및 그 원인균이 항균요법제에 관한 감수성 (Ecological Studies on the Causative Agents of Food Poisoning from Food Animals - 1. Patterns on the Outbreaks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Causative Agents Isolated from Bovine Mastiffs in a Rural Area)

  • 정희곤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90-98
    • /
    • 1994
  • 전남지역에서 사육하고 있는 젖소 767두 중 유방염으로 의심되는 405두에서 원인균을 분리하여 유병률, 계절별 분리균의 분포, 항균 요법제에 대한 감수성 검사 등을 실시하였다. 유방염의 유병률을 살펴보면, 총 767두 중애서 259두(33.8%)이었고, 분방별로는 총 3,068분방 중에서 568분방(18.5%)이었으며, 계절별로는 8원(17.6%), 9월(12.7%), 4월(11.2%) 등의 순으로 나타났고 체세포 숫자별로는 평균 105.9X10$^4$ $\pm$ 79.5X10$^4$이었다. 원인균의 월별 분리빈도분포를 살펴보면, 1월에는 Staphylococcus sp. & Escherichia coli(33.3%), 2월 Staphylococcus sp.(71.4%), 3월 Streptococcus sp.(31.6%), 4월 Streptococcus sp.(41.4%), 5월 Escherichia coli(35.7%), 6월 Staphylococcus aureus(26.9%), 7월 Salmonella sp.(25.9%), 8월 Escherichia coli(20.5%), 9월 Escherichia coli & Pseudomonas sp.(21.2%), 10월 Klebsiella sp.(29.6%), 11월 Salmonella sp.(31.6%), 12월 Streptococcus sp.(37.5%) 등이 가장 높았다. 체세포 숫자별 원인균의 분리빈도분포를 살펴보면, Staphylococcus sp.(251 X 10$^4$ $\pm$ 300X10$^4$ 35.7%)을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50 X 10$^4$ $\pm$ 100X10$^4$이 가장 높았다. 항균요법제에 대한 감수성은 일반적으로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은 Streptococcus Sp,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sp., Klebsiella sp.에 높았으며 gentamycin은 Staphylococcus sp., Escherichia coli, Klebsiella Sp, Proteus sp., Pseudomonas sp., Salmonella sp.에 높았다.

  • PDF

식용식물의 유기용매 추출물로부터 딸기부패균 Staphylococcus sp.에 대한 항균활성 검정 (Antibacterial Activities of Edible Plant Extracts against Strawberry Spoiling bacteria Staphylococcus sp.)

  • 하철규;이동규;강선철
    • KSBB Journal
    • /
    • 제15권3호
    • /
    • pp.226-231
    • /
    • 2000
  • 원예산물의 저온저장중 부패방지를 위한 천연항균제 개발의 일환으로 식용 가능한 식물을 채집하여 E. coli K 12, B. subtilis K KCTC 1028 및 딸기부패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사철 쑥, 가죽나무 잎, 초피 잎, 적송 잎, 뽕 잎, 씀바귀, 마늘의 즙액은 E. coli와 B. subtilis에 대하여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이들 식물체 즙액으로부터 n-hexane, ethyl ace떠te, chloroform 및 물로 용매분획한 분획물로 항균성을 재검색한 결과, 사철쑥, 가죽나무 잎, 적송 잎, 씀바귀의 ethyl acetate 분획과 초피 잎과 마늘의 모 든 분획에서 비교적 높은 향균활성을 보였으며 가죽나무 잎의 ethyl acetate 분획 이 가장 높은 항균활성(6 nun)을 보였다. 한편 딸기의 저온저장중인 과육으로부터 두 종의 부패 세균을 분리하 여 각각 Staphylococcus sp. TG-IOI과 Staphylococcus sp. TG-I02 로 동정하였다. 이들 균주에 대한 항균성을 조사한 결과, 가죽나 무 잎의 ethyl acetate 분획에서 두 균주에 대하여 가장 높은 저 해효과(각각 6 mm, 7 nun)를 보였다.

  • PDF

유방염 감염 우유에서 분리된 Staphylococcus sp의 지방산 조성 비교 (Comparison of fatty acid composition of Staphylococcus sp isolated from bovine mastitis milk)

  • 김순태;김신;김상윤;손재원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7-45
    • /
    • 1997
  • The result of API staph-ident system was compared with cellular fatty acid composition for the identification of Staphylococcus species isolated from cattle. Isolated strains from cattle were correctly identified to S aureus, S intermedius, S hyicus, S simulans, S saprophyticus, S epidemis, S sciuri and S xylosus by API staph-ident system. The correlation between bacterial cellular fatty acid profile and Staphylococcus species isolated to API STAPH-IDENT system were. In conclusion, the result presented indicate that Staphylococci can be indentified to the species level by the cellular fatty acid profiles. Moreover, computerized fatty acid profile correlative anaylsis can be applied for determining identify of Staphylococcus species.

  • PDF

항 MRSA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활성을 나타내는 Streptomyces sp. DG-2 (Streptomyces sp. DG-2 with Anti-MRSA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ctivity)

  • 정성윤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49-57
    • /
    • 2017
  • We isolated marine bacterium, isolate DG-2 which produces the antibiotics against MRSA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This isolate DG-2 was examined by its morphological, biochemical properties, and 16S rRNA sequencing analysis. And then, isolate DG-2 was identified to the genus Streptomyces. Therefore, this isolate was designated as Streptomyces sp. DG-2. Streptomyces sp. DG-2 grew relatively well at $25^{\circ}C$, pH 7.0, and NaCl 1.0%. For the pre-purification of the bioactive compounds, DG-2 was fermented in 30 L PPES-II medium, and the culture filtrates of DG-2 was extracted by ethyl acetate. The ethyl acetate extract of DG-2 showed the significant anti-MRSA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콩 꼬투리에서 서식하는 세균 및 콩나물 부패균의 밀도 변화 (Population Density Changes of Bacteria Causing Soybean Sprout Rot on Soybean Pods)

  • 이은정;한광섭;심명용;최재을
    • 식물병과 농업
    • /
    • 제5권1호
    • /
    • pp.41-45
    • /
    • 1999
  • Bacterial population densities on soybean pods from Chungnam province ranges 105~106 CFU/$\textrm{cm}^2$, whereas those of bacteria causing sprout rot ranged 0~103 CFU/$\textrm{cm}^2$. Erwinia chrysanthemi, Xanthomonas campestris pv. glycines, Staphylococcus sp., and Micrococcus sp. were identified as pathogenic bacteria causing soybean sprout rot. The population density of X. campestris pv. glycines was higher than those of other bacteria.

  • PDF

콩 잎에 서식하는 세균 및 콩나물 부패균의 밀도 변화 (Population Density Changes of Bacteria and Soybean Sprout Rotting Bacteria on Soybean Leaves)

  • 최재을;이은정;신철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52-160
    • /
    • 1999
  • 1. 콩잎의 세균밀도는 4.60$\times$$10^2$~ 9.10$\times$$10^{5}$CFU/$\textrm{cm}^2$으로, 생육단계가 진전됨에 따라 세균밀도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2. 콩나물 부패 세균의 밀도는 콩잎에서 0~5.00$\times$$10^3$CFU/$\textrm{cm}^2$으로, 부패세균의 밀도는 생육단계에 관련이 없었으나 재배지역과는 관련이 있었다. 3. 나물 콩 품종과 콩나물 부패세균의 밀도는 품종과 관련이 적었으며 생육단계와 작물의 부위에 따라 변이가 심하였다. 4. 콩잎에서 분리된 콩나물 부패세균은 Erwinia cypripedii, E. carotovora subsp. carotovora, Xanthomonas campestris pv. glycines, Staphylococcus sp., Micrococcus sp. 이며, E. carotovora subsp. carotovora, X. campestris pv. glycines가 밀도가 높았다.다.

  • PDF

무당벌레 소화기관으로부터 산성 단백질 분해효소를 생산하는 Staphylococcus sp. CB2-3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cid Protease Produced by Staphylococcus sp. CB2-3 from Digestive Organ of Harmonia axyridis)

  • 김세종;황경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55-262
    • /
    • 2011
  • 무당벌레 소화기관으로부터 단백질 분해 우수세균 6균주를 분리하였다. 단백질 분해세균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해석하여 계통학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 Staphylococcus sciuri subsp. sciuri (3균주), Bacillus subtilis (1균주), Bacillus thuringiensis (2균주)로 확인되었다. 이들 균주 중 pH 5.0 배지에서 58.5 U/ml의 높은 효소 활성을 나타내는 Staphylococcus sp. CB2-3을 최종 선발하였다. 효소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pH 4.0-6.0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어 산성 단백질 분해효소임이 확인되었다. 효소의 최적 반응 온도는 $40^{\circ}C$ 이었으며, $30-50^{\circ}C$의 범위에서 80% 이상의 효소 활성을 유지하였다. Staphylococcus sp. CB2-3 균주의 생육과 효소 활성을 위한 최적의 배지성분을 조사하였다. 탄소원으로 0.5% 솔비톨을 첨가하였을 때 효소 활성이 2배로 증가되었으며, 질소원으로 0.5% 탈지유를 첨가한 경우 효소 활성이 2.5배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기염류로는 KCl, $K_2HPO_4$, $FeSO_4$를 첨가하였을 때 효소 활성이 가장 높은 반면에 2가 금속이온인 $Co^{2+}$, $Zn^{2+}$, $Mn^{2+}$, $Cu^{2+}$를 첨가하였을 때는 균의 성장과 효소 활성이 심하게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