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nding crops

검색결과 202건 처리시간 0.031초

철원북방 DMZ내의 중영양호 토교저수지의 생태학적 연구 V. 경안천(팔당호)과 토교저수지에서 식물플랑크톤의 크기별 현존량과 Chlorophyll $\alpha$의 계절 변동 (Ecological studies on Togyo Reservoir in Chulwon, Korea. V. Seasonal Changes of Size-Fractionated Standing Crops and Chlorophyll a of Phytoplankton in Kyungan Stream of Paldang River-Reservoir Systems and Togyo Reservoir, Korea)

  • 한명수;이후랑;홍성수;김영옥;이경;최영길;김세화;유광일
    • 환경생물
    • /
    • 제20권1호
    • /
    • pp.91-99
    • /
    • 2002
  • 오염부하량이 높은 경안천과 오염부하량이 낮은 철원북방 비무장지대내 토교저수지에서 식물플랑크톤의 크기별 현존량과 chlorophyll a농도에 대한 계절적 변화 및 환경요인과의 상호관계를 조사하였다. 또한 식물 플랑크톤의 크기를 고려하여 > $8\mu{m},\;3-8\mu{m},\;<3\mu{m}$ 세포 크기별로 분획하여 현존량과 chl. a 농도를 관찰하였다. 물리.화학적 환경요인은 경안천이 토교저수지보다 높게 나타났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경안천에서 10배 정도 높았으나 크기별 chl. a의 농도는 두 지점 모두 소형 플랑크톤에서 높은 농도를 보였다. 경안천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은 대부분 미세형이었지만 chl. a는 부분적으로 극소형 이 우위를 차지하였다. 반면, 토교저수지에서는 현존량은 소형과 미세형이, chl. a는 소형에서 높이 분포하였다. 따라서 영양염 및 물리적 조건이 서로 상이한 수계에서의 식물플랑크톤의 분포는 출현종의 크기를 결정하기도하고 출현종의 특성에 따라 현존량과 chl. a의 불균형적 특성을 유도한다.

함평만 갯벌 저서규조류의 다양성과 생물량 (Diversity and Biomass of Benthic Diatoms in Hampyeong Bay Tidal Flats)

  • 이학영
    • 환경생물
    • /
    • 제31권4호
    • /
    • pp.295-301
    • /
    • 2013
  • 함평만 갯벌에서 2005년부터 2013년까지의 조사를 통해 동정된 저서규조류 중 가장 우점도가 높은 종은 Paralia sulcata였으며 연간 40종에서 77종의 범위로 동정되었다. 조사가 이루어진 8년 동안 출현종의 분석에서 완만하지만 지속적으로 다양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조사시기에 따른 출현종 분포에서는 전 지점에서 5월과 7월에 비교적 다양했고 3월에 종조성이 가장 단순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표층 퇴적물의 연 평균 엽록소 a 농도는 21~65 mg $m^{-2}$이었으며 2006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다가 2011년에는 세 지점 모두에서 일시 증가한 후 다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절 분포에서는 봄철에 가장 높고 여름에서 가을로 접어드는 시점에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면적당 출현 개체수도 세 지점 모두에서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생물량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온도에 따른 저서규조류 출현종수 $Y=-0.0208X^2+0.5264X+19.529(r^2=0.0269)$의 식으로 표현되어 최고의 종 다양도는 $15^{\circ}C$에서 23.1종인 것으로 나타났고, 저서규조류 생물량 $Y=-0.9181X^2+27.011X+310.07(r^2=0.0797)$의 식으로 표현되어 최고의 생물량은 $15^{\circ}C$에서 502.38 ${\mu}m^3cm^{-2}$인 것으로 나타났다.

동해안 석호의 식물플랑크톤 분포와 현존량 (The Distribution and Standing Crop of Phytoplankton of Lagoons in the East Coast of Korea)

  • 문병렬;이옥민
    • 환경생물
    • /
    • 제20권4호
    • /
    • pp.325-338
    • /
    • 2002
  • 송지호, 쌍호, 매호, 향호 등 4개의 호소로부터 총 12개의 채집 정점을 선정하여 2001년 5월, 8월 그리고 11월 등 3회에 걸쳐서 식물플랑크톤의 종분포와 현존량을 조사하였다. 본 조사수역으로부터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종분포는 Engler의 분류체계에 따라 정리한 결과 총164 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 이는 4문 4강 14목 26과 59속 139종 22변종 2품종 1미동정종으로 분류되었다. 이를 문별로 살펴보면 남조식물문이 31종 2변종으로 33분류군이 출현하였고,황갈조식물문의 규조강이 84종 16변종으로 총 100분류군이 출현하였다. 또한 유글레나식물문은 6종 1변종으로 7 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 녹조식물문은 18종 3변종 2품종 1미동정종으로 총 24 분류군이 출현하였다. 각 정점의 우점종은 synedra fasciculata, Nitzschia amphibia, Cyclotella comta, Oscillatoria planctonica 등 5종의 규조류와 3종의 남조류로 나타났다. 아우점종은 Trachelomonas cervicula와 Spirogyra sp.를 제외하면 Nitzschia obtusa를 비롯하여 대부분이 규조류로 나타났다. 현존량은 조사된 4개의 석호에서 비교적 높은 값을 나타냈다. 본 연구수역에서 출현한 종 중 Oscillatoria chlorina등 16분류군이 오염수역에 분포하는 종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정수역에 분포하는 종으로는 Cocconeis placentula 1분류군이 출현하였다. 출현종 중 Microcystis nos-aquae 등 4종은 비릿한 냄새를 내서 악취를 낼 수 있는 종류들이다. 식물플랑크톤의 종분포와 현존량을 통하여 볼 때 조사 수역은 오염수역에 분포종이 다수 분포하며, 높은 현존량을 나타냄으로써 모두 부영양화된 수역으로 판단된다.

토양수분모형을 이용한 주요 밭작물의 미래 가뭄 전망 -전라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Climate Change Impacts on Agricultural Drought for Major Upland Crops using Soil Moisture Model -Focused on the Jeollanam-do-)

  • 홍은미;남원호;최진용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7권3호
    • /
    • pp.65-76
    • /
    • 2015
  • Estimating water requirements for upland crops are characterized by standing soil moisture condition during the entire crop growth period. However, scarce rainfall and intermittent dry spells often cause soil moisture depletion resulting in unsaturated condition in the fields. Changes in rainfall patterns due to climate change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creasing the occurrence of extreme soil moisture deple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valuate agricultural drought for upland crop water planning and management in the context of climate chang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agricultural drought for upland crops and changes in the temporal trends of drought characteristics. First, the changes in crop evapotranspiration and soil moisture in the six upland crops, such as Soybeans, Maize, Potatoes, Red Peppers, Chinese Cabbage (spring and fall) were analyzed by applying the soil moisture model from commonly available crop and soil characteristics and climate data, and were analyzed for the past 30 years (1981-2010), and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RCP) climate change scenarios (2011-2100). Second, the changes on the temporal trends of drought characteristics were performed using run theory, which was used to compare drought duration, severity, and magnitude to allow for quantitative evaluations under past and future climate conditions.

구미 황상동 마애여래입상의 구조적 안정성, 풍화 및 보존방안 (Structural Stability, Weathering and Conservation Method of Granite Standing Sculptured Buddha at Hwangsang-dong, Kumi)

  • 이찬희;최석원;서만철;채상정
    • 보존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1-32
    • /
    • 2000
  • 구미시 황상동에 위치한 마애여래입상 (보물 제 1122 호)의 구성 암석은 흑운모-각섬석 화강섬록암으로서 약 30 여 개의 불연속적 동일 암체로 구성되어 있으나, 보관석은 역질 사암이다. 마애불 주변에 노출된 암괴의 대부분은 $N25{\sim}45^{\circ}W$의 주향과 거의 수직($70{\sim}85^{\circ}SE$)에 가까운 배면경사를 갖는 절리들이 발달되어 있다. 마애불 본체의 암괴들은 균열된 채 서로를 지지하고 있으나, 접합점에서는 심한 기계적 및 화학적 풍화를 받아 붕괴위험에 쳐해 있다. 또한 상부와 배면으로부터 발생하는 토압과 응력에 의하여 본체는 전면으로 두상은 좌측으로 기울어져 있다. 이 마애불을 이루는 암석의 풍화등급은 HW에 속하며, 조암 광물의 대부분은 화학적 및 광물학적 풍화에 의하여 점토 광물과 철수산화 광물로 교대되어 있다. 마애불의 표면에는 지의류와 선태류가 서식하고 있으며 모근과 포자류가 암석의 생물학적 풍화를 촉진시키고 있고, 절리대에는 이미 토양화가 진행되어 잡초가 서식하고 있다. 보존과학적 측면에서 볼 때, 이 마애불의 구조적 안정을 위해서는 불안정한 암괴의 제거가 필수적이며 불균형의 재발생과 마애불의 전면으로 작용하는 응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암석 지지공법에 의한 본체의 지보가 필요하다. 균열이 심한 절리면에는 암석용 충진제를 사용하여 수경화 처리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이며, 마애불에 미치는 지면의 습도를 저감하기 위한 차수벽 또는 차단막의 설치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표면에 피복된 지의류와 토양화가 진행된 불연속면에 서식하는 잡초를 제거하기 위한 생화학적 처리가 필요하다.

  • PDF

영산강 수계의 수질과 식물플랑크톤의 계절적 변화 (Seasonal Change of Phytoplankton Community and Water Quality in Yeongsan River Watershed)

  • 손미선;박종환;임채홍;김세경;임병진
    • 환경생물
    • /
    • 제31권2호
    • /
    • pp.105-112
    • /
    • 2013
  • 본 연구는 2010년 4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영산강수계의 4개의 지점을 선정하여 수질과 일차생산량을 나타내는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물리 화학적 환경요인 (수온, 용존산소량, pH, 총질소, 총인, 부유물질),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 Chlorophylla의 농도를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식물플랑크톤의 종 조성은 규조강 43종, 녹조강 93종, 남조강 16종, 기타 강 22종으로 총 174종으로 조사되었다. 식물플랑크톤의 개체군 밀도는 $275cells{\cdot}mL^{-1}{\sim}58,600cells{\cdot}mL^{-1}$으로 조사되었다. 봄철과 가을철에는 Cyclotella sp., Stephanodiscus sp.와 같은 규조강, 여름철에는 Scenedesmus quadricauda, Pediastrum biwae 및 Coelastrum sp.와 같은 녹조강과 Aulacoseira granulata와 같은 규조강이 우점하였으며, 가을과 겨울에는 Cyclotella sp., Stephanodiscus sp.와 같은 규조강과 Aphanizomenon sp., Oscillatoria sp.와 같은 남조강이 우점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Chlorophyll-a의 농도는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의 월별 변동과 대부분 같은 경향으로 변화하였다.

수생태계에 미치는 석산개발의 영향 - 생물군집과 입지유형을 중심으로 (Environmental Impacts of Stone Quarry Exploitation - Aquat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and Quarry Locality)

  • 이성진;김명철;김지영;노태호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68-378
    • /
    • 2005
  • Inorganic matters originated from stone quarries and manufacturing plants could alter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adjacent aquatic systems, especially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In such situation, the locality of stone quarry and the quantity of inorganic matters would be important factors that determined the disturbing strength to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Locality patterns of stone quarries were classified into 3 types in relation to the stream ecosystem; stream-proximity, upstream-inclusion and tributary-inclusion type. In the result of species:abundance analysis, stone quarry B (upstream-inclusion type) showed geometric distribution, while others showed broken-stick distribution pattern.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closer to stone quarries showed smaller species numbers and standing crops among all types of stone quarries. However the values of species evenness index were not seriously different between controls and directly affected site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ffect of inorganic disturbance would differ from those of organic pollution that induced the highly dominant state occupied by tolerant species. Number of occurred species, standing crops, community indices and biotic indices indicated that the community of upstream-inclusion type was the most seriously damaged from the inorganic disturbance, and the community would be very simple and unstable. Tributary-inclusion stone quarry heavily damaged to tributary system in biologically, but influence to the main stream seemed to be depended on the scale of main stream. Among 3 types of stone quarry localities, stream-proximity type induced the least damages to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though the degrees of damage were different along with distances between stream and stone quarry.

하천형 호수인 팔당호 수질의 시공간적 특성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in a River-Reservoir (Paldang))

  • 공동수;민정기;변명섭;박혜경;천세억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70-486
    • /
    • 2018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llochthonous load and water quality of a typical river-reservoir, Paldang during spring (March ~ May) of 17 years (2001 ~ 2017). Phosphorus loading from point sources seems to have been reduced by 74 % in the 2010s. As a result, trophic state of the Paldang reservoir, eutrophic during the 2000s, has returned to the lmesotrophic state. Along with decrease in phosphorus concentration, standing crops of algae (Chl.a) decreased, and concentration of biodegradable organic material decreased to the past level. Concentration of total suspended solids has decreased, and it is due to the decrease of phytoplankton standing crops since the mid-2000s. As transparency increased, it is estimated that euphotic area increased by 22 % and euphotic capacity expanded by 27 %. In the river/transition zone of Paldang, concentration of organic matter increases slightly due to algal growth, but concentration of all water quality items decreases in the lacustrine zone. Although algal growth rate revealed positive correlation with concentration of phosphorus, it was insignificant. Algal growth appeared to be dependent on renewal of phosphorus by flow, than either flow rate or phosphorus concentration. The empirical model including inflow phytoplankton concentration fit well with observed values, and indicates the Paldang reservoir is greatly influenced by allochthonous loads.

동해(東海) 서남해역(西南海域) 식물(植物) 플랑크톤의 현존량(現存量) 분포(分布)와 수온(水瑥)-염분(鹽分) 특성(慝性)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Standing Crop and the Associated T-S Properties in the Southwestern East Sea (Sea of Japan))

  • 이원호;심재형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7
    • /
    • 1990
  • 동해 서남해역의 상부 125미터 수층을 대상으로 1981년 9월부터 1984년 10월에 걸 쳐 6회의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841개의 해수시료를 구하였고, 이들의 수온, 염분, 무 기영향염류 및 식물플랑크톤 종별 현존량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도합 235종류의 식물플랑크톤을 동정하였으며, 이 가운데 Cylindrothecqa closterium 과 Nitzschia delicatissuma 등의 두 종이 최고의 공통종인 동시에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연구해역 상부혼합 층 시료 중의 식물플랑크톤 현존량과 수온, 염분 및 무기영양염류 등의 환경 요인과의 관계를 다중회귀 분석한 결과 봄에는 수온의 회귀상수가 염분에 비해 1.6-4.2배 컸으며, 반대로 가을에는 염분의 회귀상수가 수온에 비해 2.1-3.4배 크게 나타났다. T-S diagram 위에서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분포가 봄에는 수온 변화에 민감 하였으며 가을에는 염분 변화에 민감하였고, 도식적으로 T-S diagram 상에 표시한 높 은 현존량 구역은 계절적으로 순환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는 연구해역의 식물플랑 크톤 현존량 분포가 여타가 여타의 환경요인보다 특별히 해양물리학적 특성과 긴밀한 관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 PDF

잔디의 물질생산과 성장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ry Matter Production and Growth Analysis of Zoysia japonica)

  • Jin, AHee Sung;Joon Huh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9권3호
    • /
    • pp.161-184
    • /
    • 1986
  • An experiment was made in order to analyze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Zoysia japonica under control, mowing and TIBA treatment conditions at the experimental farm of Kyung Hee univ. from May 26 to Oct. 1 in 1985. The field was planned by the randomized block design method and each treatment was given to three plots (2${\times}$2, 4${\times}$4 and 10${\times}$10 cm) and was replicated three times. Each plot was 1$m^2$ for Zoysia japonica. The sampling of each plot was taken once a week after sowing. In order to know the dry matter of total standing crops, kept 9$0^{\circ}C$ and weighted each organ of the plants. Total leaf area of a plant was measured by drawing method. The author adopted the growth analysis of English School. The increasing rates of numbers of leaf and stem were remarkably high in each plot between 10th and 12th weak after sowing and it was highest in TIBA treated plot. The increasin rate of leaf area in each plot was remarkably high beween 10th and 12th week and the maximum value of leaf area was 274.00c$m^2$ in TIBA treated plot of 100 plants/$m^2$. The increasing rate of standing crop was remarkably high between 10th and 12th week and the high increasing tendency in TIBA plot resulted from TIBA. The positive correlationship was founded between standing crop and leaf area. The evaporation rather than temperature acted as a main factor of negative correlation with standing crop during the experiment period. Solar radiation had a high positive correlation in the lower density of plot. C/F ratio was low, during the growth period, from 10th to 12th week after sowing and was low in the higher density under each treated plot. T/R ratio was not constant during the sampling period but was high in the lower density. The increasing rates of RGR and NAR were high between 11th and 12th week after sowing. Leaf area ratio was high in higher density in each plot and not constant in all treated plo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