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ndardized Software

검색결과 278건 처리시간 0.021초

한국어판 프리셉터 교육행동 평가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Clinical Teaching Behavior Inventory (CTBI) for Nurse Preceptors in Korea)

  • 정면숙;김은경;김세영;김종경;유선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526-537
    • /
    • 2019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linical Teaching Behavior Inventory (CTBI). Methods: The English CTBI-23 was translated into Korean with forward and backward translation.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280 nurses' preceptors at five acute-care hospitals in Korea. Content validity, construct validity, and criterion-related validity were evaluated. Cronbach's ${\alpha}$ was used to assess reliability. SPSS 24.0 and AMOS 22.0 software was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The CTBI Korean version consists of 22 items in six domains, including being committed to teaching, building a learning atmosphere, using appropriate teaching strategies, guiding inter-professional communication, providing feedback and evaluation, and showing concern and support. One of the items in the CTBI was excluded with a standardized factor loading of less than .05.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pported good fit and reliable scores for the Korean version of the CTBI model. A six-factor structure was validated ($x^2=366.30$, p<.001, CMIN/df=2.0, RMSEA=.06, RMR=.03, SRMR=.05, GFI=.90, IFI=.94, TLI=.92, CFI=.94). The criterion validity of the core competency evaluation tool for preceptors was .77 (p<.001). The Cronbach's ${\alpha}$ for the overall scale was .93, and the six subscales ranged from .72 to .85. Conclusion: The Korean version CTBI-22 is a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 for identifying the clinical teaching behaviors of preceptors in Korea. The CTBI-22 also could be used as a guide for the effective teaching behavior of preceptors, which can help new nurses adapt to the practicalities of nursing.

구조방정식 모델을 이용한 사회경제적 수준과 치주질환과의 연관성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periodontal disease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황수연;양진영;김기은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979-986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periodontal disease. Methods: The data used for the analysis were obtained from the six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5). A total of 5,632 adults, aged over 19 years,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is study analyzed data relating to socioeconomic status and health behaviors. The socioeconomic status was defined as an exogenous factor. Periodontal disease was the endogenous variable. Health behavior was a mediating variable. The study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ith Mplus 7.0 software. Results: According to the model fit test, the associated root-mean-square error was 0.05 (90% CI: 0.046-0.059); comparative fit index was 0.93; Tucker-Lewis index was 0.88; and standardized root-mean-square residual was 0.03. We found that socioeconomic status had significant effects on health behaviors (${\beta}=0.304$, p<0.001) and periodontal disease (${\beta}=-0.289$, p=0.001). Moreover, health behaviors had significant effects on periodontal diseases (${\beta}=0.143$, p<0.001). The analysis of a possibl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periodontal disease using path analysis demonstrated health behaviors difficulties, along wi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further increased the risk of periodontal disease. Conclusions: The findings suggest that future interventions for the prevention of periodontal disease should consider health behavior.

사용자 정의 웹 서비스를 위한 IoT 정보 자동생성 도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oT information Generation Tool for User Defined Web Services)

  • 심성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1호
    • /
    • pp.329-334
    • /
    • 2018
  • 웹 서비스는 네트워크 및 관련 표준을 통하여 운영체제 및 프로그램 언어에 제한을 받지 않고 상호 운영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표준화된 소프트웨어 기술로써 서비스를 제공, 발견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분산 컴퓨팅 서비스이다. 웹 서비스의 검색 방법은 기능적 측면만을 고려해 서비스 선정 시 사용자 위주의 검색에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IoT 정보 자동생성 도구를 제안하여 웹 서비스 검색 시 IoT 확장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서비스를 선정할 수 있도록 문제점을 개선한다. 제안하는 IoT 확장 정보 자동생성 도구는 사용자, 사물, 서비스로 구성된 세 가지 요소가 분산된 환경에서 상호 자율적으로 협업하여 Sensing, networking, 정보처리 등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수집 저장한다.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정보를 웹 서비스 검색 시 확장정보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 적합한 서비스 검색을 지원한다. 제안방법은 4차 산업 분야 전반에 걸쳐 적용됨으로 다양한 환경의 요구사항에 맞는 사용자 정의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다.

대규모 웹 기록물의 원격수집을 위한 콘텐츠 중복 필터링 개선 연구 (A study on the enhanced filtering method of the deduplication for bulk harvest of web records)

  • 이연수;남성운;윤대현
    • 기록학연구
    • /
    • 제35호
    • /
    • pp.133-160
    • /
    • 2013
  • 네트워크 및 정보통신기기가 발전함에 따라 웹이 우리 일상에 미치는 영향력은 점점 더 증가하고 있다. 또한 웹 공간에서 생성되는 정보도 각 시대를 반영하는 중요한 기록물로서 그 중요성이 나날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웹 정보들을 아카이빙 할 수 있는 표준화된 방법이 요구되고 있으며, 그중 한 가지가 자동화된 수집도구를 사용하여 주기적으로 수집하는 스냅샷 전략이다. 하지만 스냅샷 전략은 주기적으로 웹 콘텐츠를 수집하기 때문에 동일한 웹 콘텐츠가 중복 수집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웹 환경에서 구현되는 복잡한 기술로 인하여 의미 없는 웹 콘텐츠가 수집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공공기관 홈페이지 웹 콘텐츠를 스냅샷 전략으로 수집한 사례 분석을 통해서 원격 수집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콘텐츠 중복 문제들을 살펴보고, 기술 측면에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4차 산업혁명 기술의 기록관리 적용 방안 (Application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to Records Management)

  • 안대진;임진희
    • 기록학연구
    • /
    • 제54호
    • /
    • pp.211-248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제4차 산업혁명의 신기술을 활용하여 기록관리를 더 잘 할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기록의 생산 및 관리에 큰 영향을 미치는 클라우드, 빅데이터,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등 네 가지 기술들을 선정하고 이 기술들의 개념과 특징, 적용분야를 정리하고 대표적 기술들을 테스트하였다. 이후 각 기술로 인해 변화된 생산기록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신기술로 인해 기록의 생산량은 급증했고 유형은 다양해졌다. 또한 데이터의 품질 확보와 생산 맥락을 설명하기 위한 조치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각 기술을 기록관리에 효과적으로 도입하기 위해서는 기술의 성숙도별로 당장 적용할 기술과 나중에 적용해야 할 기술을 구분하여 로드맵을 설계해야 한다. 생산기록의 특징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유연한 데이터 구조를 갖추고 표준화된 형식으로 생산해야 한다. 또한 공공기관이 SaaS 제품을 조달할 수 있도록 하고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여 공공서비스의 품질을 높여야 한다.

영상 콘텐츠의 신뢰도 평가를 위한 언어와 비언어 통합 감성 분석 시스템 (Integrated Verbal and Nonverbal Sentiment Analysis System for Evaluating Reliability of Video Contents)

  • 신희원;이소정;손규진;김혜린;김윤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0권4호
    • /
    • pp.153-160
    • /
    • 2021
  • IT 기술 발달에 따른 영상 콘텐츠 생산과 소비가 증가함에 따라 영상 콘텐츠를 통한 제품 리뷰 정보로 구매의사 결정이 빈번해졌다. 따라서, 리뷰 영상에 대한 신뢰성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품 리뷰 영상을 얼굴 표정 분석과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리뷰어의 표정과 음성을 분석하여 영상의 신뢰도를 분석한다. 영상 내 인물 표정의 감성 값을 추출하는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비언어 감성을 정량화하고, 유의미한 감정 변화 구간을 추출한다. 유의미한 감정 변화 구간의 리뷰어 음성을 텍스트화하여 표준어 및 비표준어 감성 사전 활용을 통해 긍정과 부정으로 리뷰에 대한 언어 감성 분석 후 수치화 한다. 비언어 감성 분석과 언어 감성 분석의 결과를 통합하여 일치 여부에 따라 신뢰도를 도출한다. 본 연구를 통해 영상 콘텐츠의 신뢰성 평가 방법을 제시한다.

Effect of different voxel sizes on the accuracy of CBCT measurements of trabecular bone microstructure: A comparative micro-CT study

  • Tayman, Mahmure Ayse;Kamburoglu, Kivanc;Ocak, Mert;Ozen, Dogukan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52권2호
    • /
    • pp.171-179
    • /
    • 2022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accuracy of cone-beam computed tomographic (CBCT) images obtained using different voxel sizes in measuring trabecular bone microstructure in comparison to micro-CT. Materials and Methods: Twelve human skull bones containing posterior-mandibular alveolar bone regions were analyzed. CBCT images were obtained at voxel sizes of 0.075mm(high: HI) and 0.2mm(standard: Std), while microCT imaging used voxel sizes of 0.06 mm (HI) and 0.12 mm (Std).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CTAn software with the standardized automatic global threshold method.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used to evaluate the consistency and agreement of paired measurements for bone volume (BV), percent bone volume (BV/TV), bone surface (BS), trabecular thickness (TbTh), trabecular separation (TbSp), trabecular number (TbN), trabecular pattern factor(TbPf), and structure model index (SMI). Results: When compared to micro-CT, CBCT images had higher BV, BV/TV, and TbTh values, while micro-CT images had lower BS, TbSp, TbN, TbPf, and SMI values (P<0.05). The BV, BV/BT, TbTh, and TbSp variables were higher with Std voxels, whereas the BS, TbPf, and SMI variables were higher with HI voxels for both imaging methods. For each imaging modality and voxel size evaluated, BV, BS, and TbTh we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TbN, TbPf, and SMI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maging methods(P<0.05). The consistency and absolute agreement between micro-CT and CBCT were excellent for all variables.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e potential of high-resolution CBCT imaging for quantitative bone morphometry assessment.

Use of measuring gauges for in vivo accuracy analysis of intraoral scanners: a pilot study

  • Iturrate, Mikel;Amezua, Xabier;Garikano, Xabier;Solaberrieta, Eneko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3권4호
    • /
    • pp.191-204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methodology to evaluate the accuracy of intraoral scanners (IOS) used in vivo. MATERIALS AND METHODS. A specific feature-based gauge was designed, manufactured, and measured in a coordinate measuring machine (CMM), obtaining reference distances and angles. Then, 10 scans were taken by an IOS with the gauge in the patient's mouth and from the obtained stereolithography (STL) files, a total of 40 distances and 150 angles were measured and compared with the gauge's reference values. In order to provide a comparison, there were defined distance and angle groups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ing scanning area: from a short span area to a complete-arch scanning extension. Data was analyzed using software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Deviations in measured distances showed that accuracy worsened as the scanning area increased: trueness varied from 0.018 ± 0.021 mm in a distance equivalent to the space spanning a four-unit bridge to 0.106 ± 0.08 mm in a space equivalent to a complete arch. Precision ranged from 0.015 ± 0.03 mm to 0.077 ± 0.073 mm in the same two areas. When analyzing angles, deviations did not show such a worsening pattern. In addition, deviations in angle measurement values were low and there were no calculat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angle groups. CONCLUSION. Currently, there is no standardized procedure to assess the accuracy of IOS in vivo, and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ology can contribute to this purpose. The deviations measured in the study show a worsening accuracy when increasing the length of the scanning area.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Delivery Robots for Learning of Autonomous Driving

  • Hur, Hwa-La;Park, Myeong-Chul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1호
    • /
    • pp.107-114
    • /
    • 2022
  • 본 논문은 자율주행 학습이 가능한 택배 로봇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로봇은 지상 주차시설이 없는 공원형 아파트에서 활용 가능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지상 및 지하 경로가 복잡한 기존 아파트에 비해 공원형 아파트는 이동 경로가 정형화되어 있어 로봇의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여 학생들의 초기 교육 환경으로 적합하다. 택배 로봇은 경로학습을 위한 머신러닝 기술과 카메라와 라이다 센서를 이용한 자율주행을 통하여 택배 운반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수준별 학습이 가능하도록 제어 MCU를 3개로 분리하여 설계하였으며 자율주행, 장애물 인식 등의 동작 테스트를 통하여 학습용 택배 로봇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정밀한 실내 위치정보 인식 기술과 아파트의 공공기술 플랫폼과 연동하여 다양한 배송 서비스를 위한 교육용 배송 로봇으로 발전시키고자 한다.

캐릭터 웹드라마 클리셰 분석을 통한 스토리 추천 개발 (Development of Story Recommendation through Character Web Drama Cliché Analysis)

  • 이현수;김정이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17-22
    • /
    • 2023
  • 본 연구는 본 연구는 대중적으로 인기 있는 캐릭터 웹드라마의 장르를 분석하여 언어 모델 GPT를 통한 스토리 추천 개발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웹드라마에서도 반복되는 비슷한 클리셰가 존재함을 확인했다. 본 연구에서는 공통된 이야기 구조(클리셰)를 분석하여 숙련되지 않은 영상 제작자도 손쉽게 캐릭터 웹드라마를 제작할 수 있도록 대표적인 이야기 구조를 정형화하여 제시하였다. 분석을 위해 10대에게 가장 인기있는 장르인 학원 로맨스 장르 웹드라마의 클리셰를 기승전결에 따라 목록화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분석하여 목록화한 클리셰를 지피티에게 학습시켜 사용자를 위한 스토리 추천 매커니즘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웹콘텐츠의 데이터베이스 소비론의 입장에서 다양한 데이터베이스의 수용을 통해 대중의 인기뿐 아니라 다양한 콘텐츠의 제작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