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ndard of Care

검색결과 1,361건 처리시간 0.034초

영유아 교육시설에서의 실내공기질 평가 (The Evaluation of Air Quality in Educational Child Care Centers)

  • 임지혜;방승기;손장열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9권1호
    • /
    • pp.1-10
    • /
    • 2010
  • It is indispensable for child care centers to investigate and manage indoor air quality (IAQ) because they perform education and day care for children who usually have weak immunity. Nevertheless, there is insufficient research being done, given its importanc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indoor pollutants' concentration and to seek the causes in order to improve the air quality conditions. Also it aims to secure data which can be used for further researches. Measurements were performed for air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carbon dioxide, carbon monoxide, fine particle mass, formaldehyde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Temperature, humidity, CO and CO2 were measured 30times(1min/time) and PM10 was measured 10times (3min/time). Formaldehyde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were measured and analyzed based on The Indoor Air Quality Official Test Method. The results show that the temperatures were within the comfort zone in over half of the centers. CO2 was found to be the main pollutants as its concentration exceeded the IAQ standard. The concentrations of TVOC and PM10 exceeded the standard, by 32% and 24% respectively, whereas those of HCHO and CO were under the standard. HCHO and CO concentrations were under the guideline. 24% of child care centers for education were found to exceed the standard in 2 or more of the pollutants. 82% of were found to exceed the standard by 1 or more. Therefor it is requested for IAQ to manage and improve in child care center for education.

가정전문간호사 인력 수요추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jected Workforce of Home Health Care Specialists in Korea)

  • 오복자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7-45
    • /
    • 200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projected workforce of home health care specialists in Korea. Method: Need model. ratio methods and expert opinion were used for projecting the number of home health care specialists. Result: 1) In 2002. there are 13 programs which offer one year home health specialist training. From those programs. they produced 3860 registered home health care specialists. 2) In 2002. there are 89 hospitalbased home health service units and 220 active home health care specialists. 3) In case of hospital- based home health service. average of 4 services per month for average of 3 months was assumed as workforce standard. 4) In case of community-based home health service. average of 4 services per month for 12 months was assumed as workforce standard. 5) The number of home health care specialists required to meet the demands for home health care population in 2000 and 2005 was estimated at minimum of 20.361 to maximum of 31.360 and 21.989 to 34.080. respectively. Conclusion: Community home health care agencies are needed to meet the demands of home health care.

  • PDF

요양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인식, 표준주의 지식 및 수행도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 among Long-Term Care Hospitals Nurses)

  • 변상희;강다해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9호
    • /
    • pp.231-240
    • /
    • 2019
  •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인식, 표준주의 지식 및 수행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요양병원 간호사 134명을 대상으로 2018년 1월 2일부터 6월 4일까지 자료수집이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WIN 21.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으로 하였다. 환자안전문화 인식은 표준주의 지식(r=.192, p=.027), 표준주의 수행도(r=.211, p=.014)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정착과 표준주의 수행 증진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교육을 통해 표준주의 지식을 함양하고 긍정적인 환자안전문화를 조성할 수 있도록 하여 그 속에서 환자안전과 의료관련감염 관리의 중요성을 스스로 인식하고 실천하도록 해야 갈 것이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표준주의에 대한 지식과 이행도 (Knowledge of and Compliance with Standard Precautions by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

  • 조귀래;최정실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3-81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intensive care unit nurses' knowledge of and compliance with the standard precautions (universal precaution) as stated in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Method: From September 14 to September 28, 2006, data were collected via a questionnaire survey from 189 Intensive Care Unit nurses working at three university branch hospitals and one general hospital in Gyeonggi province. Results: The mean knowledge score was 18.8/20.0 (93.9%). The mean compliance score was 3.4/4.0 (85.8%). Two factors influencing compliance were perception of the standard precautions and experience of needle stick injuries over the past year (p<.05). Two factors influencing knowledge were support of co-workers in the use of protective devices and the availability of hand-washing device or waterless alcohol gel (p<.05).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knowledge and compliance with standard precautions, all factors of importance for knowledge and compliance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e clinical work place and in education.

가족수발자가 인지하는 표준장기요양이용계획서의 질과 만족도, 활용도 간의 관계분석 (An Analysis of Relationships among Quality, Satisfaction and Utilization Perceived by Family Caregivers in Standard LTC Utilization Plan)

  • 이정석;한은정;권진희
    • 한국노년학
    • /
    • 제31권4호
    • /
    • pp.871-884
    • /
    • 2011
  • 표준장기요양이용계획서는 노인장기요양보험 이용자와 가족의 급여이용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입된 일종의 케어플랜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가족수발자가 인지하는 표준장기요양이용계획서의 질과 만족도, 활용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자료는 2008년 11월~12월 현재 노인장기요양보험 1~3등급 판정을 받고 재가장기요양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수급자의 가족수발자를 대상으로 가정방문면접조사를 통해 수집하였고, 총 944명의 가족수발자 가운데 표준장기요양이용계획서를 읽어본 경험이 있으며 설문을 완성한 351명이 최종분석대상이 되었다. 조사도구는 가족수발자와 수급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장기요양특성, 질 측정항목(9개), 전반적 만족도 측정항목(1개), 활용도 측정항목(2개) 등을 포함하였고, 질, 만족도 및 활용도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표준장기요양이용계획서의 질은 장기요양 욕구평가 영역, 장기요양 이용계획 영역, 월 한도액 관리지원 영역 등 세 개 영역으로 구분되었고, 모든 영역이 만족도 및 활용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다음으로 경로분석 결과, 표준장기요양이용계획서의 장기요양 욕구평가 영역의 질(간접효과, 경로계수=0.077)과 전반적 만족도(전체효과, 경로계수=0.324)가 활용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는 표준장기요양이용계획서의 역할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의료종사자의 임파워먼트와 의료관련감염 관리 표준주의지침 인지도가 수행도에 미치는 요인 (Effects of Empowerment and Regarding Standard Precautions for Healthcare associated Infection Control in Healthcare Workers on Performances)

  • 정미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2호
    • /
    • pp.243-250
    • /
    • 2018
  • 본 연구는 의료종사자의 임파워먼트, 표준주의지침 인지도 및 수행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실무현장에서 의료종사자의 표준주의지침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Y시에 있는 일개 종합 병원에 근무하는 의료종사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200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통해 분석하였다. 단계적 다중회귀분석결과 표준주의지침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지도였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49.0%였다(F=191.98, p<.001).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의료종사자의 표준주의지침 수행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표준주의지침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Meditation for Alzheimer's Diseas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Lee, Go eun;Kim, Sang ho;Jung, In chul;Kang, Hyung won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37-249
    • /
    • 2019
  • Objectives: Interest in the us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reatments to treat dementia. Meditation is used to treat various symptoms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diseases. Some studies suggest that meditation might have positive effects on cognitive functions, especially attention, in the elderly. However, how meditation affects Alzheimer's disease (AD) patients remains unclear. In this review, we assessed the effectiveness of practicing meditation in combination with standard care in AD. Methods: We searched the CCRCT, MEDLINE, EMBASE, AMED and CINAHL databases on 30 May 2017. We includ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that used meditation in adult patients diagnosed with AD. We allocated patients to a meditation combined with standard care or a standard care-only group. Results: The two RCTs met the inclusion criteria. A total of 98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meditation with standard care and standard care-only groups in this review. All meditation programs in the included trials were based on practicing mindfulness. The results of our meta-analysis indicatedthat adjunctive mindfulness meditation programs exerted favourable but non-significant effects on cognitive function on the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MD=4.68, 95% CI -0.11 to 9.46; Z=1.92, p=0.06). Only one study assessed depression, anxiety, quality of life and stress. No adverse events related to meditation were reported in the included studies. Conclusions: Insufficient data iscurrently available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practicing meditation on patients diagnosed with AD. Hence, further RCTs with high methodological quality and larger sample sizes are needed to effectively estimate the effects of meditation on AD.

영아보육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에 대한 보육시설의 자체평가 (Self-Evaluation of the Quality of Center-Based Infant/Toddler Care)

  • 최경애
    • 아동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129-145
    • /
    • 2004
  • This research aimed to analyze the quality of center-based infant/toddler programs in Korea. Scale for infant and toddler programs divide accreditation standards into 4 areas(physical environment, curriculum, health care, management system) with 60 standards. Standards can be divided into basic criteria and general criteria. The subjects are 149 day care centers(44 infant day care centers and 105 day care centers), and raters(teachers or principal) assessed the quality of each item on a 5-point Likert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Self-evaluation result have marked 3.67 as average(range : 2.32~4.90), which barely meets basic criteria level. 2) Physical environment area has received worst score(3.41) and Health care area has received best score(3.92). 3) Each standard's score indicate the quality of infant/toddler care program: Feed care(4.29), Affectionate teacher-infant interaction(4.14) were highly rated while Nature environment/anmal/plant(2.75) and Teacher's facilities(2.74) were rated low. 4) Some variation factors showed differences in the qualitative level; number of child, education level of principal.

  • PDF

호스피스.완화의료 표준교육 프로그램 시범교육의 효과 (The Effects of the Pilot Program in Standard Curriculum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Education)

  • 강진아;유양숙;박진노;김원철;남은정;고수진;이영선;허정식;최성은;김정이;신동욱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1권4호
    • /
    • pp.206-212
    • /
    • 2008
  • 목적: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인력을 위한 기본단계 교육과정으로 개발된 표준교육 프로그램 시범교육의 결과를 평가하기 위함 방법: 표준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미국의 Education in Palliative and End-of-life Care (EPEC)교육을 벤치마킹하여 국내 실정에 맞게 수정 보완하였다. 표준교육 프로그램은 총 19개의 세부 주제로 구성하였으며, 강의와 쌍방향식 강의, 소그룹 토론, 역할극 등의 다양한 교육방법을 적용하도록 설계하였다. 개발한 표준교육 프로그램의 내용과 교육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3개 주제를 선택하여 호스피스 고위과정을 수료한 23명을 대상으로 시범교육을 실시하였다. 결과: 표준교육 프로그램 시범교육 대상자들은 피교육자 중심의 교육방법과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육 내용에 대하여 만족하였으며, 강의를 위주로 하는 기존의 교육보다 효과적인 교육이라고 평가하였다. 결론: 표준교육 프로그램 시범교육은 그 효과가 긍정적이었으며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의 표준화와 교육 방법의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 표준교육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교육자 (Trainer)를 위한 교육이 실행되어야한다.

  • PDF

장기요양서비스의 질 개념 정립과 향상 방안 -현행 전략의 한계와 '좋은 돌봄'을 위한 현장의 목소리- (A Study on the Concept and Improvement Plan of Long-Term Care Service Quality -The Voice of Service Field for 'Good Care'-)

  • 석재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6권1호
    • /
    • pp.221-249
    • /
    • 2014
  • 이 논문은 장기요양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하여 서비스 목표라 할 수 있는 '좋은 돌봄'의 개념을 정립하고 그 구성요소를 찾아내며, 좋은 돌봄을 산출할 수 있는 조건에 대해 탐색했다. 또한 서비스 질을 어떻게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한가에 대해서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정부가 채택하고 있는 질 확보전략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돌봄의 근원적 속성을 탐구한 선행 문헌들을 검토하고 지난 5년간 서비스 제공 경험에서 축적된 서비스 현장의 지혜를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담아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좋은 돌봄'은 개개인의 총체적 삶의 질(total quality life)이 가능한 최대로 보장될 수 있도록 단순히 신체적 기능적 욕구 충족만이 아니라 진정한 관심이 결합되어야 한다. 좋은 돌봄을 위한 가장 중요한 조건은 '좋은 돌봄관계'를 형성하는 것이다. 돌봄제공자와 돌봄수급자 간 관계가 시장규범에 훼손되지 않고, 상호신뢰 및 존중과 진정한 소통으로 돌봄수급자 욕구를 중심에 둔 개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평가체계는 전면적인 상대평가보다는 시설서비스의 핵심적 질에 대하여는 기관규모별 절대기준 인증체계를 마련하고, 인증기준 이상 부분은 기관마다 자율적으로 특성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문 재가서비스 평가는 이용자 만족도, 돌봄종사자 만족도, 재가서비스기관의 사례관리체계 등이 평가내용으로 구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