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ndard normal Distribution

검색결과 323건 처리시간 0.026초

서울 거주 산모 모유 중 PBDEs 이성질체 농도 및 노출 요인에 관한 연구 (Concentrations of PBDE Congeners in Breast Milk and Predictors of Exposure in Seoul Residents)

  • 위성욱;윤조희;민병윤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440-449
    • /
    • 2011
  •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levels of polybrominated diphenyl ethers (PBDEs) in breast milk and to evaluate the relations with factors affecting these levels. Methods: The congener levels of PBDE in 22 samples of breast milk were analyzed using a high resolution gas chromatograph with a high resolution mass detector. In accordance with our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the recoveries of internal standards had to range between 68% and 118%. Since the distribution of PBDE concentrations is close to log-normal, the data were logarithmically transformed before analysis. Test subjects were healthy primipara and multipara mothers with a mean age of 32 (SD = 2.7) in 2006. Results: Seven PBDE congeners (BDE-28, 47, 99, 100, 153, 154, and 183) were detected and identified in all of the pooled breast milk samples, indicating widespread contamination from PBDEs in the environment in Korea. Residue levels of total PBDEs (sum PBDEs from tri- to hepta-BDE) ranged from 0.84-13.1 ng/g lipid with median and geometric mean levels of 2.6 ng/g lipid and 2.74 ng/g lipid, respectively. PBDE congeners 47, 99 and 153 markedly predominated and accounted for about 75% of the amount of the PBDE congeners analyzed. BDE-47 was the dominant congener in most samples, whereas BDE-153 was predominant in a few (n = 7/22). BDE-47 was highly correlated with total PBDEs (r = 0.987, p < 0.01). In analyses of the differences of the means of log transformed breast milk PBDE levels for groups of potential covariates, only breast milk BDE-47 and BDE-99 level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fish (p < 0.05) and meat consumption (p < 0.01). However, we did not find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PBDE levels and maternal age, body mass index (BMI), parity, job presence and smoking status. Conclusions: Our findings are mainly limited due to the small sampling size and low doses of PBDEs exposure. Background and human exposure data of PBDEs is lacking, and longitudinal investigations into the environment and biota are encouraged to determine the health impact on future populations in Korea.

초등학생들의 체중신장지수(WLI)와 치아우식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eight Length Index and Dental Car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이선미;김송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5-43
    • /
    • 2003
  • In Korea, changes in children's diet patterns accelerate their physical growth and development: frequent snacking has been presumed to be a major cause of increasing dental caries.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development of growing children and their tooth decay. For this purpose, 632 six-grade children in 4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Urban(Seoul) and Rural(Po-gok, Yang-In)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 Weight Length Index(WLI), known to reflect the nutritional conditions of school-age children, and the relationship was analyzed between each group and the variables considered to be related with dental caries. The result is as follows: The average weight and height of the male is $44.88{\pm}10.89$ kg, $148.49{\pm}7.33$ cm and female is $43.35{\pm}9.60$ kg, $149.23{\pm}6.73$ cm, respectively, which are in the similar level with the Korean Physical Standard. The classification of the children by the WLI reveals a relatively high distribution of over-weighted child ren - 212 persons, 335% of the entire population. The DMFT Index was a little high in the rural area(3.15 teeth in urban and 3.31, in rural). Among the groups of children classified by the WLI, the over-weight group have the highest DMFT index(3.69 tee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equency of taking in basic nutrients and the DMFT index is also found: the relationship is not evident in case of the foods containing rich calcium, protein, as well as fruits and vegetables. But, in the protein-rich food, higher frequency of its intake means significantly lower DMFT index in the normal-weight group of the urban children. In case of carbohydrate, higher frequency of its intake means significantly higher DMFT index in all the groups of the rural children. The DMFT index has some correlations with the relevant variables: the index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frequency of snacking,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economic status. That is, the higher the frequency of snacking is, and the lower the economic status is, the higher the DMFT index may be. In the logistic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nducted with the presence of DMFT as a dependent variable, only the frequency of tooth brushing is turned to be a variable affecting the presence of either decayed, missing, or filled teeth. Based on the above result, the variables affecting the DMFT index are a time spent on eating, frequency of intake of protein and carbohydrate for a week, frequency of snacking, regular dental check-ups, preventive behaviors for oral health(fluoride gargling, tooth brusing after each meal, proper tooth brushing method). These variables have a relationship with the DMFT index, but the degree is somewhat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classified either by the region or by the WLI. Therefore, appropriate nutrition management should be conducted according to the individual's nutritional conditions when the services like nutritional education are provided based on the closely-examined characteristics of each target group. And, at the same time, oral health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and its importance should also be emphasized so that people can pay attention to their own oral health.

  • PDF

성형압력이 Soil-Cement의 강도 및 내구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Molding Pressure on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Durability of Soil-Cement Mixture)

  • 서원명;고재군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575-4591
    • /
    • 1978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ain size distribution, cement content, and molding pressure on the strength and durability of soil-cement mixtures, a laboratory test of soil cement mixtures was performed at four levels of cement content, five levels of molding pressure, and four levels of normal curing period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Optimum moisture contents in loam soil and maximum dry density in sand soil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cement content, but in others, both optimum moisture contents and maximum dry density were changed ununiformly. 2. When the specimens were molded with molding pressure, 50kg/$\textrm{cm}^2$, strength of soil cement mixture with cement content, 2 and 4 per cent, was lower than the strength of soil cement mixture without cement content by more than 40 to 50 per cent. 3. The strength of soil-cement molded with molding pressure, 100kg/$\textrm{cm}^2$, was higher than the strength of soil-cement molded with M.D.D. obtained from standard compaction test more than 40 per cent in sand loam cement and 50 per cent in loamy cement. 4. There was high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molding pressure, cement content and unconfined compressive strentgh and so the following multiple regression equations were obtained. Loam: fc=1.9693C+0.197P-0.84 Sandy loam: fc=2.9065C+0.235P-0.77 5. When the specimens were molded with molding pressure, 20 to 100kg/$\textrm{cm}^2$, the regression equation between the 28-day and 7-day strenght was obtained as follows. Loam : q28=1.1050q7+7.59(r=0.9147) Sandy loam : q28=1.3905q7+3.17 (r=0.9801) 6. At the cement contents of above 50 per cent, the weight losses by freeeze-thaw test were negligible. At the cement content of below 8 per cent the weight losses were singnificantly high under low molding pressure and remarkably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molding pressure up to 80kg/$\textrm{cm}^2$. 7. Resistance to damage from water and to absorption of water were not improved by molding pressure alone, but when the soil was mixtured with cement above 6 per cent, damage seldoms occurred and absorbed less than 5 per cent of water. 8. There was highly significant inverse-corelationship betwee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soil cement mixtures and their freeze-thaw loss as well as water absorption. By the regression equation method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m were expessed as followed fc=-7.3206Wa+115.6(r=0.9871) log fc=-0.0174L+1.59(r=0.7709) where fc=unconfined compressive stregth after 28-days curing. kg/$\textrm{cm}^2$ Wa=water absorption, % L : freeze-thaw loss rate, %

  • PDF

Comparison of Relative Thickness of the Iliotibial Band Following Four Self-Stretching Exercises

  • Kim, Hyun-Sook;Yoon, Tae-Lim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4-31
    • /
    • 2012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self-stretching exercises for iliotibial band (ITB) (Side-lying; right hip and knee were flexed to support the pelvis while left hip was extended and adducted, Standing A; side-bending of the trunk on standing with crossed leg, Standing B; same as Standing A, except the hands were clasped overhead and shifted right side, and Standing C; same as Standing B, except moving the arms diagonally downward) to help determine the most effective self-stretching method to stretch ITB. Twenty-one healthy subjects who do not have ITB shortness from Yonsei University (14 men and 7 women) between the ages of 18 to 28 years voluntarily participated. Ultrasound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thickness of the ITB between the long axis of the ITB and the level parallel to the lateral femoral epicondyle during four self-stretching exercises. All data were found to approximate a normal distribution. We used a one-way repeated-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ANOVA) to compare the thickness of the ITB among all self-stretching exercises. The level of significance was set at ${\alpha}$=.05. The ANOVA was followed by Bonferroni's correction. The overall mean of ITB thickness was $1.14{\pm}.4$ mm (${\pm}$ standard deviation) in resting status. The change in the ITB thickness in percentages between the tested position of each self-stretching exercises and resting status was significant (p<.05) (Side-lying $26.62{\pm}10.18%$ with 95% confidence interval [CI]=21.99~31.25%; Standing A $29.46{\pm}16.19%$ with 95% CI=22.09~36.84%; Standing B $44.06{\pm}14.82%$ with 95% CI=37.31~50.81%; Standing C $53.76{\pm}12.1%$ with 95% CI=48.25~59.29%). Result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four self-stretching exercises except Side-lying versus Standing A (p<.01).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anding C self-stretching exercise was the most effective in stretching the ITB thickness among four types of ITB self-stretching exercises. Additionally, the Side-lying self-stretching exercise using gravity to stretch the ITB is recommended as a low-load (low-intensity), long-duration stretch.

전립선암의 방사선치료에서 토모테라피와 VMAT의 치료계획에 따른 유용성 평가 (Usefulness Evaluation on the Treatment Plan of Tomotherapy and VMAT in Radiotherapy for Prostate Cancer)

  • 허광명;한재복;최남길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449-457
    • /
    • 2015
  • 전립선암의 방사선치료에서 토모테라피와 용적변조회전치료(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 VMAT)의 치료계획에 따른 유용성 평가를 위해 흡수선량, 선량체적곡선(dose volume histogram, DVH), 치료효율성, MapCHECK2를 이용한 선량 검증 정확도 결과를 각각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으로는 2014년 7월부터 12월까지 H 대학병원 방사선종양학과에서 토모테라피 치료를 받은 전립선암 환자 중 12명을 무작위로 선택하였다. 흡수선량과 DVH를 분석한 결과 종양조직과 방광에서 두 방사선 치료계획이 근소한 차이를 나타냈지만 처방선량의 오차범위인 -5%에서+3%안에 포함됐고 정상조직 부작용 확률 권고치인 견딤선량 범위를 넘지 않았다. 치료시간은 2.5배 짧고 MU(monitor unit)도 10.3배 작아 VMAT가 치료효율성이 높았다. 선량정확도는 모두 95% 이상의 통과기준에 포함 되었으며 VMAT가 2.3% 더 높게 나타났다. 토모테라피와 VMAT 모두 종양조직에 적합한 선량이 흡수되었으며 정상조직의 견딤선량 범위를 넘지 않아 선량분포특성에서 큰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치료시간이 짧고, total MU가 낮아 치료효율성이 좋고 선량 검증의 정확도 또한 우수한 VMAT를 선택하는 것이 치료에 더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사고등급별 고속도로 교통사고 처리시간 예측모형 개발 (Development of Freeway Traffic Incident Clearance Time Prediction Model by Accident Level)

  • 이숭봉;한동희;이영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97-507
    • /
    • 2015
  • 고속도로의 비반복 혼잡은 주로 돌발상황에 의해 발생된다. 돌발상황의 주요 원인은 교통사고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교통사고 시 사고처리시간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은 돌발상황 관리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고속도로의 2008-2014년 총 7년치(60,473건)의 사고 자료를 이용하였다. 사고처리시간 예측모형은 과거의 교통사고 이력자료를 바탕으로 비모수모형인 KNN (K-Nearest Neighbor) 알고리즘을 활용하였다. 사고자료 현황 분석결과 사고등급별로 사고처리시간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사고처리시간은 사고등급별로 분류하여 모형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현재 발생한 사고의 교통상황과 도로 기하구조를 반영하기 위하여 교통량, 차로수, 시간대를 구분하여 데이터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데이터 중 현재 교통사고와 유사한 사고를 검색하기 위하여 사고처리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상태간 거리 산정을 위해서 세부항목별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가중치산정은 정규분포 표준화방법을 적용하였고, 이를 통해 사고처리시간을 예측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형의 예측결과는 기존의 연구들의 결과에 비해 낮은 예측오차(MAPE)를 보여 모형의 우수성을 입증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고속도로의 돌발상황 발생 시 효율적인 고속도로의 운영관리에 기여할 수 있고, 기존의 모형들이 갖고 있던 한계를 개선 및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운전 패턴을 이용한 운전자 보조 인증방법 (The Sub Authentication Method For Driver Using Driving Patterns)

  • 정종명;강형철;조효진;윤지원;이동훈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919-929
    • /
    • 2013
  • 최근에 많은 IT기술들이 자동차에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일부 자동차 IT 기술들은 보안에 대한 적절한 고려 없이 자동차에 적용되어 보안 사고를 야기할 수도 있다. 특히 최근의 연구 결과들은 차량 소유자 인증을 해주는 특정 모델의 스마트키가 무선 신호를 재전송하거나 이를 위조하는 공격으로부터 안전하지 않고, 이를 통해 차량을 탈취할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해 증명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키의 무선 신호 조작 공격을 이용한 차량도난으로부터 안전한 차량 운전자 인증 방법을 제안한다. 오늘날 차량에 구축된 전자장치간의 네트워크에서는 운전자의 운전 패턴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차량 소유자의 운전 패턴 정보를 학습시켜 이를 표준 정규분포화한 후, 운전자에 대한 인증이 가능한 인증 모델을 설계하였다. 또한 제안하는 인증 모델을 검증하기 위해 k-묶음 교차 검증을 수행하였고, false positive rate가 0.35일 때 true positive rate 0.7 로 운전자 인식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제안하는 인증모델은 차량 소유자에게 연락할 수 있는 모듈(eg. 3G/4G 통신 module)과 함께 사용된다면 기존의 소유기반(스마트 키)의 인증 방식 보다 더 안전하게 차량을 보호할 수 있다.

체장조성으로서 생잔율를 추정하는 방법 - I (APPROXIMATE ESTIMATION OF THE SURVIVAL RAT IN FISH POPULATION UTILIZING THE LENGTH COMPOSITION)

  • 신상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43-150
    • /
    • 1976
  • 동일 년급군 체장에 관한 도수분포는 정규분포를 하는데, 어류자원의 감소계수를 z라 할 때 x 세 년급군의 미수가 $N_x=N_o\exp(-zx)$로 표시된다. 위의 두가지 사실에다 체장조성표를 이용하여 생잔율 $\varrho^{-z}$ 추정하는 방법을 연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연령, 분업에 관한 정밀조정표(표본)로부터 각년급군별 모체장평균, 모분산의 불편추정치($\bar{x},S^2$ 소표본일 때는 S^2 대신 $n/n-1{\cdot}S^2$를 구하였다. 2. 표본에서 구한 각 연금군별 모체장평균의 불편추정치$(\bar{x})$간의 경향선식과 각 년급군별 모분산($S^2$ 혹은 $n/n-1{\cdot}S^2$의 불편추정치간의 경향선식을 구하였다. 3. 각 경향선식에서 년급군별 모체장평균치와 모분산의 추정치$\hat{u},\hat{\sigma^2}$를 구하였다. 4. 각 년급군별로 모체장평균이 불편추정치$(\bar{x})$와 경향식에서 구한 모체장평균의 추정치$(\hat{u})$와의 차에 관한 유의성검정을 하고 또 각 년급군별로 모분산의 불편추정치($S^2$ 혹을 $n/n-1{\cdot}S^2$와 경향선식에서 구한 모분산의 추정치$\hat{\sigma}^2$와의 차에 관한 유의성검정을 하였다. 5. 유의성검정에서 두 종류 가운데 적어도 하나가 유의적이면 유의적인 년급군의 모체장평균(u)과 모분산$(\sigma^2)$을 모체장평균의 불편추정치$(\bar{x})$와 모분산의 불편추정치($S^2$ 혹은 $n/n-1{\cdot}S^2$로 한다. 2종의 검정이 유의적이 아닌 때는 해당하는 년급군의 모체장평균(u)과 모분산$\sigma^2$을 경향선식에서 구한 모체장평균의 추정치$\hat{u}$와 모분산의 추정치$(\hat\sigma^2)$로 하였다. 표본이 없는 년급군의 모체장평균(u)과 모분산$(\sigma^2)$도 역시 경향선식에서 구한 모체장평균 및 모분산의 추정치$\hat{u},\;\sigma^2$로 하였다. 6. 모체장평균(u)과 모분산$(\sigma^2)$이 추정되면 정규곡선면적표를 이용하여 년급군별로 각 체장계급에 해당하는 확률표를 만들었다. 7. 서로 이웃하는 체장계급의 비를 이용하여 생잔율 $\varrho^{-z}$ 값들을 구하였다. 8. $\varrho^{-z}$값들 중 이상적인 값은 유의적이면 기각하고 나머지 값으로 평균생잔율과 그 분산, 표준편차, 신뢰한계를 구하였다. 9. 향해 및 동지나해에 있어서 한국기선저인망에 어획된 참조기의 연령 및 체장에 관한 정밀조정표와 체장조직성표를 이용하여 년평균생잔율 $\varrho^{-z}$와 그 분산, 표준편차, 신뢰계수 $95\%$의 신뢰구분과 연평균 감소계수 Z를 구하였다.

  • PDF

황해중부부이에서 관측된 기온 및 표층수온의 변화양상 분석 (Variation Pattern Analysis on the Air and Surface Water Temperatures of the Yellow Sea Monitoring Buoy)

  • 조홍연;정진용;심재설;김선정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316-325
    • /
    • 2010
  • 황해중부해역에 설치된 황해 모니터링 부이에서 관측한 기온과 표층수온의 변동성분을 추출하기 위하여 조화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기온과 표층 수온 모두 1년, 반년 주기성분이 가장 우세한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보다 짧은 주기성분은 $0.2{\sim}0.5^{\circ}C$ 이하의 작은 변동성분에만 기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기온과 표층수온의 조화분석 성분에서 추출한 잔차성분을 분석한 결과, 기온 잔차성분의 표준편차는 표층 수온 잔차성분의 표준편차보다 2.4배 정도 크고, 잔차성분의 발생빈도분포는 정규분포로 근사화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기온에 따른 표층수온 변화양상을 기온-표층수온 평면에서 분석한 결과 뚜렷한 연속적인 이력고리(hysteresis loop)를 형성하는 것이 발견되었으며, 반시계방향의 기온-표층수온 상승기, 기온-표층수온 하강기 그리고 동계 일정한 표층수온 유지기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경험적 영향함수와 표본영향함수의 차이 및 보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ce and calibration of empirical influence function and sample influence function)

  • 강현석;김홍기
    • 응용통계연구
    • /
    • 제33권5호
    • /
    • pp.527-540
    • /
    • 2020
  • 이상치에 대한 적절한 선별과 배제없이 모든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게 되는 경우 데이터 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의 신뢰성과 해석의 일반성에 치명적인 위협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의 분석 과정에서 이러한 이상치를 판별하고, 이상치가 통계량, 통계적 모형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 지에 대한 분석은 매우 중요한 일이라 할 수 있다. Hampel이 영향함수를 활용하여 이상치를 판별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한 이후, 이상치를 판별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영향함수가 폭넓게 활용되어 왔다. 영향함수에는 경험적 영향함수와 표본영향함수가 있으며, 경험적 영향함수를 활용해 표본영향함수를 근사 추론하여 하나의 관측값이 제거되었을 때 통계량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는 방법론이 주로 활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표본평균, 표본분산, 표본표준편차의 표본영향함수 유도를 통해 경험적 영향함수와 표본영향함수의 차이를 살펴 본다. 또한 경험적 영향함수로 표본영향함수를 근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줄이기 위해 경험적 영향함수의 보정으로 표본영향함수를 근사 추론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한 추론 방법의 타당성을 확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