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ge-Discharge Curve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32초

액체로켓엔진의 2단 시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2-Stage Startup of Liquid Rocket Engine)

  • 박순영;조원국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24-327
    • /
    • 2008
  • Two stage startup of high thrust liquid rocket engine can reduce the abrupt impulse to the vehicle and engine by changing oxidizer flow rate to the combustion chamber. Also it ensures stable ignition of combustion chamber against hard start and to prevent pump stall by the sudden supply of large mass flow rate. However high discharge pressure of oxidizer pump or temperature rise in gas generator may be a problem in applying the preliminary stage. To solve this problem, we analyzed the effect of the slope of oxidizer pump's head curve and the oxidizer mass flow rate to combustion chamber during preliminary stage using the rocket engine startup analysis code. A moderate slope(${\circleddash}{\sim}$-3) of head curve and 80% mass flow rate during preliminary stage can reduce the oxidizer pump discharge pressure by 15 to 20% comparing with the condition of ${\circleddash}$=-4.37 head curve and 70% mass flow rate. Also it can maintain the turbine inlet temperature rise within 50K from the nominal value.

  • PDF

하천 수리특성을 고려한 확률론적 유속공식에 의한 하천유량 산정 (Estimation of Rivers Discharge by Probabilistic Velocity Function Considering Hydraulic Characteristics)

  • 추태호;이상진;박상우;오륜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6B호
    • /
    • pp.537-542
    • /
    • 2009
  • 수위만의 함수로 작성되는 기존의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개선하기 위하여 비교적 쉽게 취득할 수 있는 하천의 폭, 넓이, 윤변, 하상경사 등 기본적인 수리특성인자를 활용하고 확률론적 방법인 엔트로피 기법을 연계하여 하천 유량을 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평균유속과 최대유속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하천의 평형상태를 나타내는 엔트로피 함수를 도출하고, 이를 활용하여 하천 수리특성 인자가 반영된 유속공식으로 하천유량을 산정하는 방법이다. 캐나다 알버타 대학 등에서 제공된 수리실험실 및 자연하천 수문자료를 활용하여 유량을 산정한 결과 기존 수위-유량관계곡선식에서 추정된 유량에 비해 오차가 작고 실측치에 근사하여 개선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연형 호안공법을 적용한 소하천의 수리특성 분석 (Analysis of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Apply to Nature-Friendly Stream Protection Method)

  • 이강석;박종화;연규방
    • 한국관개배수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71-81
    • /
    • 2010
  • Stream Pilot Project, which began in May 2003 and finished in December 2003, was selected to develop effective methods applicable to nature-like streams. Stream restoration projects aim to maintain or increase ecosystem goods and services while protecting downstream and coastal ecosystems. Fields environmental monitoring such as flow discharge and precipitation were conducted along the Idong stream for amount of channel zone change in 2007. This study selected three monitoring positions to measure the water level and discharge of flowing water. A stage-discharge relation is obtained from direct discharge measurements for three stations by fitting an empirical relationship to the data set. Since discharge measures are made only for low flow conditions, a curve of discharge against stage can then be built by fitting these data with a power curve. And this study used data obtained from floodmark checkup as well as HEC-RAS model to analyze the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monitoring sites. Reach-averaged hydraulic parameters for the supply reach were calculated from the small area's HEC-RAS model for Idong stream, and a HEC-RAS model used to analyze hydraulics for a period in 2007, after the stream was considered bank stabilization.

  • PDF

화원 수위관측소 지점의 고리모양 수위-유량 관계곡선 작성 (Development of Looped Rating Curve at Hwawon Station)

  • 강신욱;이상호;황만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9권6호
    • /
    • pp.487-494
    • /
    • 2006
  • 화원 지점의 홍수시 유량은 수위가 상승할 때와 하강할 때 동일한 수위에 대해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이와 같이 이력효과의 크기가 클 경우에는 많은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유량 환산 오차를 줄이기 위해 낙동강 본류 화원 수위관측소 지점에 대한 고리모양 수위-유량 관계곡선을 작성하였다. 하천유량과 단순 환산된 유량의 편차를 계산하기 위해 부정류 모의 사례로부터 (수위, 유량) 자료쌍을 획득하여 단순 수위-유량 관계곡선식을 작성하였다. 이 관계에서 이탈하는 유량편차 ${\Delta}Q$와 수위변화 따른 하천폭과 시간변화율의 곱인 $B{\Delta}h/{\Delta}t$와의 관계로부터 고리모양 수위-유량 관계의 유량을 구하였다. ${\Delta}Q$$B{\Delta}h/{\Delta}t$는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로부터 계산된 유량은 1997년의 수위 7m이상 관측유량 11개 중 7개가 고리모양 수위-유량 환산관계의 유량과 10% 이내의 차이를 보였고, 수위 9m이상의 1998년 관측유량은 고리모양에 근접하였다. 화원 지점과 같이 고리폭이 큰 지점은 단순 수위-유량 관계보다 고리모양 수위-유량 관계를 적용하는 것이 유량 환산의 오차를 줄 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일유량 분석을 이용한 대규모 저수지의 퇴사량 추정 (Sediment Estimation of Large Reservoir Using Daily Flowrate Analysis)

  • 정재성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6권5호
    • /
    • pp.417-423
    • /
    • 199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pply basic data for large reservoir sedimentation research In future and make suggestions to maintain and opera능 the reservoir more of efficiently. At first, previous studios about the estimation of sediment yield rate were reviewed in Korea. And the discharge rating curves of upstream stage gauging station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dam Inflow and stage discharge were analyzed. With the analysis results, the spec유c sediment rate of Soyanggang dam was estimated as 608 m3/km2/yr. It was similar to that of Soyanggang dam feasibility study and 1994's field surveys of the reservoir than that of 1983's field surveys. Because the sediment rating curves were derived under the low discharge conditions, It needs to be checked under the flood conditions. However, the suggested methods such as flowrate analysis and sediment estimation will be useful to the sediment studios In future. Key words . reservoir sediment, sediment yield rate, rating curve, flowrate analysis.

  • PDF

2007년 섬강 시험 유역의 운영 (Operation of Seom River Experimental Watershed in 2007)

  • 이민호;최흥식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699-702
    • /
    • 2008
  • In this study, it has observed the precipitation and stage data at each point every ten minutes for gaining the sustainable, reliable and high-quality hydrological data through operating the experimental watershed in mountainous areas such as Gyecheon located in the upstream of Seom river that is the tributary of Nam-Han river. And it has regularly surveyed the runoff and verified the reliability of data using the uncertainty analysis at the gaging station. So, this study has developed the stage-discharge curve(rating curve) and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as fundamental data for analyzing the circulation of water through surveying evapotranspiration, soil moisture and level of groundwater in watershed.

  • PDF

Bayesian과 Bootstrap 방법을 이용한 수위-유량 관계곡선의 불확실성 분석 (Uncertainty Analysis of Stage-Discharge Curve Using Bayesian and Bootstrap Methods)

  • 임종훈;권형수;주홍준;왕원준;이종소;유영훈;김형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14-124
    • /
    • 2019
  • 본 연구는 수위-유량 관계곡선을 이용한 하천 유량 산정방법의 불확실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하천 유량 자료는 수문해석과 수자원 관리를 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자료이기 때문에 정량적으로 정확한 산정 방법을 고찰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Bayesian 및 Bootstrap 방법을 이용한 수위-유량 관계식의 매개변수와 기존의 매개변수를 비교하였으며, 불확실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표준오차법에 t-분포를 적용한 추정치 결과의 신뢰구간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회귀분석에 의한 추정값은 약 1~5 %미만의 차이가 보이며, 각 지점에서 수위에 따라 기존보다 더 적용성이 우수한 결과를 보이는 부분도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별로 하천의 특성 및 수위에 맞게 적용한다면 보다 더 신뢰성 있는 유량 자료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엔트로피 개념에 의한 부정류 유량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Discharge in Unsteady Condition by Using the Entropy Concept)

  • 추태호;채수권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6159-6166
    • /
    • 2012
  • 수자원에서 특히 중요한 홍수기에 대한 유량 측정은 어려움이 있고 모든 하천에 대한 지속적인 유량측정은 현재 시스템상에서는 불가능하다. 그래서 유량의 생산을 위해서 그동안 수위유량 관계 곡선이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수위-유량 관계 곡선은 그 편리성에도 불구하고 수위와 유량만의 관계를 사용하므로 정확성 면에서 항상 문제가 있어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hiu의 엔트로피 개념의 2차원 유속공식을 사용하여 새로운 평균유속공식을 유도하였다. 본 공식은 수심, 중력가속도, 동수경사, 에너지경사, 동점성 계수 등 하천의 수리적 특성을 잘 반영하고 최대유속도 산정할 수 있다. 또한 최대유속과 평균유속사이의 선형관계를 검증할 수 있었고 그 결과로써 하천단면의 특성을 잘 나타내는 평형상태의 ${\phi}(M)$을 산정하였다. 평형상태의 ${\phi}(M)$을 사용하여 평균유속을 산정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유량을 산정하였다. 본 공식의 검증을 위해서 고리형 특성을 보이는 부정류 상황에서의 실험실 측정 데이터를 사용하여 계산된 유량과 실측된 유량을 비교하였고 그 결과는 매우 잘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다양한 실험실 데이터 및 하천 데이터를 이용하여 연구가 지속되어 진다면 수자원 분야에 널리 이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자갈 및 암반 하상 산지하천의 고리형 수위-유량 관계 분석 (Analysis of Loop-Rating Curve in a Gravel and Rock-bed Mountain Stream)

  • 김동수;양성기;류권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5권9호
    • /
    • pp.853-860
    • /
    • 2012
  • 홍수 발생 시 모래하천의 수위-유량 관계가 고리형을 이룬다는 것은 많은 현장 계측을 통해 보고되어 왔다. 또한, 홍수파 해석이나 사련에서 사구로 변동되는 하상해석을 통해 고리형 수위-유량 관계의 원인이 규명되어서 고리의 형태나 진행방향 등에 대해서는 이론적으로도 상당부분 입증되어 있다. 그러나 경사가 급한 자갈 및 암반으로 구성된 산지하천의 경우, 현장유량계측의 어려움과 관측 정확도의 문제로 고리형 수위-유량 관계에 대한 연구가 매우 드물었다. 본 논문은 자갈 및 암반지형의 산지하천인 제주도 한천에서 2011년 태풍 무이파 때 계측한 홍수 유량을 바탕으로 수위-유량 관계를 구축하고, 자갈하천에서 형성되는 고리형 수위-유량곡선을 분석하고자 한다. 유량계측 방식으로는 홍수기에 적합한 비접촉식인 전자파 표면유속계를 사용하여, 홍수의 상승기와 하강기의 유량을 시간 단위로 계측하는 데 성공했다. 계측결과 수위-유량관계에서 뚜렷한 고리 형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고리의 이력이 모래하천과 정반대로 동일수위에서 상승기의 유량이 하강기의 유량보다 작은, 고리 경로의 역전 현상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역전현상은 자갈하천의 조도의 변화가 모래하천의 경우와 반대로 발생하는 데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한다.

평균유속공식의 최적매개변수 산정에 의한 유량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Discharge by Estimating Optimum Parameter of Mean Velocity Equation)

  • 추태호;채수권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5578-5586
    • /
    • 2012
  • 이수 및 치수, 수공구조물 설계 등을 위한 하천 설계의 중요한 요소로써, 유량의 정확한 산정은 매우 중요하다. 현재 하천의 유량 생산은 수위-유량관계 곡선법을 사용하고 있다. 수위-유량 관계 곡선법은 측정된 수위와 유량자료를 바탕으로 홍수기 때의 유량을 회귀 분석으로 예측하여 사용하는 방법이다. 비교적 간편하게, 특히 측정이 어려운 홍수기 때에 유량을 예측하여 사용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수위와 유량만의 관계를 이용하므로 동수반경, 에너지경사, 지형, 조도 등 하천의 수리적 특성인자를 반영하지 못하므로 기본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사항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천유량을 예측하는 새로운 방법론의 하나로 KSCE에 기 게재된 Choo 등(2011)에서 제안한 Manning식과 Chezy식의 경험적 매개변수의 편리한 산정법을 이용하여 하천의 유량을 예측하였다. 실험실 사행 개수로와 India 운하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를 증명하였고 결정계수 0.8 수준의 정확성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된다면 수리적 특성을 반영하면서도 간단하게 유량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통하여 실무에서도 간편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