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ck effect

검색결과 324건 처리시간 0.031초

초고층 복합건축물 엘리베이터에서의 연돌현상 저감방안 평가 (Evaluation of the Alternatives to Minimize Stack Effect Problems with Elevators in Tall Complex Buildings)

  • 유정연;송규동;조동우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118-125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tack effect reduction alternatives in tall complex buildings in cold climates. The main problems in tall buildings occur in elevators. Such problems as elevator doors that do not close and exhaust airflows result in excessive pressure differences across elevator doors due to stack effect. Under the expected conditions causing these pressure differences, Field measurements are performed in three tall buildings. Each result of the measurements is analyzed in architectural design aspects. With these analysis, building design guidelines are proposed and analyzed by field measurements and computer simulations.

10W급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스택의 구조적 차이에 다른 운전 특성 비교 (Effect of stack configuration on the performance of 10W PEMFC stack)

  • 임성대;김병주;손영준;윤영기;양태현;김창수;김영채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86-286
    • /
    • 2009
  • A small PEM fuel cell has two different stack configurations such as active and passive stacks. The active stack has a distintion of high power density although it makes system complex by using alr blower and related BOPs resulting in large system volume. On the contrary, passive stack has an advantage of compact system because it doesn't need air supplying devices although it reveals relatively low stack power density. In this study we fabricated two 10W PEMFC stacks with different stack configurations, active and passive stacks, and tested their performance and stability. The active stack consists of 13cells with an active area of $5cm^2$. The passive stack has 12cells with an active area of $16cm^2$. When we compared the stack performance of those stacks, the active stack showed higher power density compared to the passive stack, particularly at high voltage regions. However, at low voltage and high current regions, the passive stack performance was comparable to the active stack. The stack stability was largely dependent on the fuel humidity, particularly for active stack. At low humidity conditions, the active stack performance was decreased continuously and the cell voltage distribution was not uniform showing seriously low cell voltage at center cells mainly due to the cell drying. The passive stack showed relatively stable behavior at low humidity and the stack performance was largely dependent on the atmospheric conditions.

  • PDF

연돌효과가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현장실험 (Field Experiment on Influence of Stack Effect to Pressure Differential System for Smoke Control)

  • 김정엽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194-200
    • /
    • 2008
  • 고층건물에서 급기가압 제연시스템과 같이 연기제어를 위해 제연구역에서의 압력차를 이용하는 제연시스템을 성공적으로 설계하고 운영하기 위해서는 건물내 압력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건축적 요인들을 검토해야 하며 그중 큰 영향을 발휘하는 요인이 연돌효과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충건물의 피난환경과 제연시스템에 대해 연돌효과가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서 여름과 겨울철에 각각국내 고층건물을 대상으로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을 가동하면서 피난계단, 부속실 및 거실에서의 압력변화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연돌효과의 영향이 커지는 겨울철의 경우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이 가동되면 부속실에서 계단쪽으로의 누기현상과 연돌효과가 합쳐지면서 고층부의 계단실내 압력이 크게 상승하여 재실자가 대피를 위해 피난문을 열고자 할 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C 언어에서 프로세서의 스택관리 형태가 프로그램 보안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Processor Stack Frame Mechanism on Secure Programming in C Language)

  • 이형봉;차홍준;노희영;이상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8C권1호
    • /
    • pp.1-11
    • /
    • 2001
  • 전통적으로 프로그램이 갖춰야 할 품질조건으로 정확성, 신뢰성, 효율성, 호환성, 이식성 등 여러 가지가 제안되어 왔지만, 최근에는 보안성이란 새로운 항목이 요구되고 있다. 보안성은 설계된 프로그램의 흐름을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함으로써 보안 침해수단으로 사용하는 사례가 늘어나면서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보안 침해기법은 기본적으로 스택의 조작에서부터 출발한다. 스택과 관련된 일련의 동작들은 프로세서에 따라 고유하게 이루어지고, C 언어는 그러한 고유한 특성에 따라 스택을 관리한다. 본 논문에서는 스택 조작을 통한 보안침해의 개념을 살펴보고, 팬티엄(Pentium), 알파(Alpha), 스파크(SPARC) 등이 제공하는 스택 메커니즘을 자세히 조명해 본 후, 그 것들이 프로그램의 보안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함으로써 안전 한 프로그램 작성을 위한 치침에 기여하도록 한다.

  • PDF

실측과 시뮬레이션을 통한 초고층 주거건물에서의 연돌효과 문제의 해결 (Solving the Problems Caused by Stack Effect in a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 through Field Measurement and Simulation; Case Study)

  • 구성한;조재훈;여명석;김광우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73-80
    • /
    • 2005
  • A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 experienced stack effect problems during the winter such as difficulties in opening residential entrance doors and whistling noise from elevator doors generated by airflow. Field measurements were carried out on the building and the problems were verified by the analysis of the measurement results from three points of view: the total stack pressure difference, pressure distribution on each floor, and the location of the neutral pressure level.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three key parameters, possible solutions were proposed, such as zoning vertical shafts, lessening the airflow from the entrance doors on basement floors and lobby floor by installing vestibules, improving the airtightness of exterior walls, and installing separation doors where the problems occur. Simulations of proposed solutions were conducted and the effects of reducing the pressure difference were evaluated. Stack effect problems in a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 were verified through field measurements and could be mitigated by the solutions which were drawn from the analysis of the field measurements and the simulation results.

단일 단순수직통로의 연돌효과와 중성대에 관한 수치해석 연구 (A Numerical Study on the Stack Effect and the Neutral Plane of a Single Simplified Shaft)

  • 전흥균;최영상;추홍록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143-152
    • /
    • 2009
  • 초고층건물의 수직통로에서 발생하는 연돌효과의 기체역학적 특성과 관련된 차압과 중성대의 위치 계산 및 연돌효과 발생의 가시화를 위하여 3가지 형태의 개구부를 갖는 단일 단순수직통로에 대하여 CFD 모델을 사용하여 수치해석을 하였다. 연돌효과의 차압은 이론식 계산 결과와 비교 시 수직통로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차이가 커진다. 중성대 위치는 연돌효과 초기(t = 10s)에 Type A의 경우 수직통로의 높이가 30m 미만인, Type B의 경우 30m 이상인 모델에서 이론식 계산 결과와의 편차가 5% 미만으로 잘 일치한다. 따라서 수직통로 높이가 30m 이상인 다중개구부 수직통로(Type B)의 경우 CFD 모델을 사용하여 중성대 위치를 계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연돌효과의 가시화를 통하여 연돌효과의 공기 유동 현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Effect of Flue Gas Heat Recovery on Plume Formation and Dispersion

  • Wu, Shi Chang;Jo, Young Min;Park, Young Koo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61-172
    • /
    • 2012
  • Three-dimensional numerical simulation using a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was carried ou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ormation and dispersion of the plume discharged from the stack of a thermal power station. The simulation was based on the standard ${\kappa}{\sim}{\varepsilon}$ turbulence model and a finite-volume method. Warm and moist exhaust from a power plant stack forms a visible plume as entering the cold ambient air. In the simulation, moisture content, emission velocity and temperature of the flue gas, air temperature and wind speed were dealt with the main parameters to analyze the properties of the plume composed mainly of water vapor. As a result of the simulation, the plume could be more apparent in cold winter due to a big difference of latent heat capacity. At no wind condition, the white plume rises 120 m upward from the top of the stack, and expands to 40 m around from the stack in cold winter after flue gas heat recovery. The influencing distance of relative humidity will be about 100 m to 400 m downstream from the stack with a cross wind effect. The decrease of flue gas temperature by heat recovery of thermal energy facilitates the formation of the plume and restrains its dispersion. Wind speed with vertical distribution affects the plume dispersion as well as the density.

제주지역 고층건축물에서의 바람의 영향이 굴뚝효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서울과 제주지역간의 비교 분석) (Influence of Stack Effect in High-Rise Buildings on Wind Effect in Jeju (Comparative Analysis of Seoul and Jeju))

  • 임채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6호
    • /
    • pp.6-1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바람이 강한 제주지역에서 바람의 영향이 고층건축물의 굴뚝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서울소재 고층건축물을 대상으로 서울과 제주지역에서의 지형 및 기상조건을 각각 대입하여 CONTAM 모델링을 실시하였다. 굴뚝효과에 의한 차압은 수직샤프트의 높이와 실내 외 온도차의 함수로서 같은 높이의 건축물에서는 겨울철 서울보다 상대적으로 외기온도가 따뜻한 제주지역에서의 차압이 서울지역의 60% 정도에 그쳐 비교적 안정적인 것으로 판단되어 왔다. 그러나 제주도는 섬지역으로서 서울보다 강한 바람의 영향에 의해 중성면이 56% 이상 큰 폭으로 상승하는 현상을 보였는데, 이는 비록 제주지역이 서울보다 굴뚝효과에 의한 차압은 적게 나타날지라도 상승된 중성면에 의해 저층부에서 형성되는 부압의 영역이나 크기는 넓고 크게 나타나 위험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고온형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스택 내부의 냉각판 수가 스택에 미치는 열 영향성의 수치적 연구 (Analysis of Thermal Effect by Coolant Plate Number in High-Temperatur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Stack)

  • 최병욱;주현철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6권2호
    • /
    • pp.127-135
    • /
    • 2015
  • High-Temperautr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HT-PEMFC) with phosphoric acid-doped polybenzimidazole (PBI) membrane has high power density because of high operating temperature from 100 to $200^{\circ}C$. In fuel cell stack, heat is generated by electrochemical reaction and high operating temperature makes a lot of heat. This heat is caouse of durability and performance decrease about stack. For these reasons, heat management is important in HT-PEMFC. So, we developed HT-PEMFC model and study heat flow in HT-PEMFC stack. In this study, we placed coolant plate number per cell number ratio as variable and analysed heat flow distribution in stack.

초고층건물 샤프트의 수직구획이 연돌효과 및 급기가압 성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Zoning at Shafts of Super-tall Buildings on the Stack Effect and Stairwell Pressurization)

  • 김범규;김학중;여용주;임채현;박용환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92-98
    • /
    • 2012
  • 최근 개정된 초고층건물 특별법에서는 피난안전구역을 최소 30개층 마다 설정함과 동시에 계단실을 수직구획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앙코아 방식의 80층 초고층건물 계단실 수직구획이 연돌효과 및 계단실 급기가압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시뮬레이션 해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해석결과, 계단실 수직구획이 없는 경우 연돌효과로 인해 최대 차압 250 Pa 이상이 발생하였으며, 계단실만 수직구획한 경우에는 10 Pa 정도만 감소하였으나 계단실과 승강기의 승강로를 동시에 수직구획한 경우 최대차압이 약 125 Pa로 낮아져 연돌효과가 약 50 % 감소하였다. 또한, 계단실을 급기가압 할 경우 계단실온도가 실내온도와 외기온도 차이의 약 1/2일 때가 소요급기풍량 측면에서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예측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