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orts convergence

검색결과 625건 처리시간 0.024초

해외의 스포츠시설 안전관리 네트워크 및 시스템 현황 (Safety Management Network of Sports Facilities Abroad and System Status)

  • 김일광;권혜원;최진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6호
    • /
    • pp.547-562
    • /
    • 2016
  • 해외의 선진국 사례를 중심으로 스포츠시설 안전관리 네트워크 및 시스템 현황을 분석하여 한국 스포츠시설 안전관리 법적 규제를 마련하고, 안전관리 매뉴얼을 구축하는데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스포츠시설 안전관리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각국의 스포츠시설 안전관리 시스템과 대처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벤치마킹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미국은 국토안보부(DHS)를 필두로 국가의 안전을 위협하는 것으로부터 수호하고자 하는 포괄적인 국가 전략을 감독하고 조직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일은 법 규정의 제도화, 스포츠시설 안전 가이드라인, 스포츠시설 안전관리전문가 육성시스템 등 미국과 호주보다 더욱 현실적이고 입체적인 대안을 마련하고 있다. 호주는 주요위험시설(MRF)의 운영자들에게 실용적인 지침을 제공하고 있으며, 특히 비상사태 운영시스템(EMS)을 통해 대규모 재난뿐만 아니라 위험 물질 등에 대한 계획과 협력을 다루고 있다.

스포츠센터의 서비스보증이 서비스품질, 서비스가치, 고객만족,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ports Centers' Service Guarantee on Service Quality, Service Value,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 김효진;한상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9호
    • /
    • pp.127-138
    • /
    • 2013
  •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스포츠센터의 서비스를 평가하는데 있어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을 다차원적으로 모색하여 스포츠센터의 전략적인 운영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센터의 서비스보증, 서비스품질, 서비스가치, 고객만족, 고객충성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소재의 2개의 스포츠센터를 선정한 후 스포츠센터 회원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6.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및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 18.0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및 가설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스포츠센터의 서비스보증이 서비스품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고객충성도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서비스품질이 서비스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서비스가치는 고객만족, 고객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포츠센터에서 서비스보증의 마케팅적 유효성을 실증하였으며, 실무적인 운영방안을 도출하였다고 말할 수 있다.

체육지도자 자격제도에 대한 응시자들의 인식 연구: 실기·구술 자격검정을 중심으로 (A Study on Cognition of Applicants for the Sports Coaching Certificate System : Focusing on the Practical and Oral Certifying Test for the Sports Coaching Certificate)

  • 안재한;김미숙;김승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7호
    • /
    • pp.461-473
    • /
    • 2016
  • 본 연구는 체육지도자 자격제도와 실기 및 구술 자격검정에 대한 응시자들의 인식을 분석하여 향후 체육지도자 자격제도의 발전적 방향을 제시하였다. 2015년 2급 생활, 유소년, 노인, 2급 장애인스포츠지도사의 실기 및 구술 자격검정에 참여한 응시자 18,90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신된 유효표본 2,895부를 대상으로 첫째, 조사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파악을 위한 빈도분석, 둘째,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을 위한 요인분석, 셋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자격제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분석을 위한 교차분석, 넷째, 실기 및 구술 자격검정에 대한 인식 분석을 위한 기술통계분석, 마지막으로 체육전공 여부에 따른 실기 및 구술 자격검정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첫째, 조사응답자의 연령, 학력, 체육전공여부에 따라 체육지도자 자격제도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응답자의 성별, 연령대, 학력, 체육전공여부에 따라 실기 및 구술 자격검정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골프 퍼팅 시 지면 경사도에 따른 운동학적 변인 분석 (Analysis of Kinematic Variables according to Ground Slope Angle during Golf Putting)

  • Park, Jun-Sung;Shin, Sung-Hoon;Lim, Young-Tae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4-49
    • /
    • 2021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kinematic variables according to ground slope angle during golf putting. Method: 26 collegiate golfers (age: 22.54±2.15 kg, height: 174.64±6.07 cm, weight: 71.35±9.27 kg, handicap: 5.11±4.50) were participated, and 8 motion capture cameras (250 Hz), Nexus, and Kwon3DXP software were used to collect data. It was performed repeated measures ANOVA and Bonferroni adjustment. Alpha set at .05. Results: Body alignme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address. Putter head trajectory and loft angl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nd AP direction of acceleration of putter head was significantly different. However, ML and SI direction of acceleration of putter hea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onclusion: Therefore, it was identified that ground slope angle was affected the kinematic variables during putting, and it will be performed that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putting success rate and kinematic variables according to ground slope angle during golf putting.

스포츠미디어의 유통 콘텐츠 결정요인으로서 스포츠 스타: 의제설정 이론의 암묵적 전제를 중심으로 (Sports Celebrities as a Determinant of Sport Media Distribution Contents: Focusing on Tacit Premise of Agenda Setting Theory)

  • 유상건;김용은;서원재
    • 유통과학연구
    • /
    • 제17권10호
    • /
    • pp.83-91
    • /
    • 2019
  • Purpose - Media is a significant distributional channel in sport. In terms of determining the influencer in building sport media contents, recent sport media studies have employed agenda-setting theory, assuming media itself as the agenda provider. In a real-world situation, however, sports stars have been deemed key factor determining distribution contents in sport. The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is the "tacit premise" of agenda-setting theory. Given the agenda-setting theory, the current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function of sport stars as an agenda provider, which is a key determinant of sport distribu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has reviewed articles of Yuna Kim, Sang-hwa Lee, and Hyun-jin Ryu from daily newspapers including as dong-a ilbo and joongang ilbo (2013 to 2017). The study collected data, portable document format (PDF), from the online archive of dong-a ilbo and joongang ilbo. We coded the length of the article, the frequency, the size of the picture, and the structural form of the article. Inter-coder reliability was compared with data previously investigated by the researcher. Inter-coder reliabilities for study 1 and 2 was .89 and .85. To examine hypotheses,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s, and cross-tap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 The results partially supported the hypotheses proposing the significant role of sports stars as the agenda setters in distributing sport media contents. In specific, the study found that the number of articles about sports stars prevailed the number of articles about regular athletes. Besides, studies found that the use of photos was more frequent in articles of sports starts than that of regular athletes. In sports newspaper articles, featured story articles were used more than straight-articles for news relating to sports stars. Also, sports newspaper of sports stars contained more information associated within an event rather than outside of an event. Conclusions - In sports journalism, this study challenges the current theory that the media affects the composition and the content of sports coverages. As the principle of the agenda-setting of sports media, the influence of sports stars must be continuously studied along with a follow-up study.

빅 데이터!, 당신의 생각은 어떠하십니까? : 스포츠실무자의 주관성을 바탕으로 (Big Data! What do you think about that ? ; Using the Subjectivity of Sports Practitioner)

  • 최재석;이도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149-156
    • /
    • 2021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이하여, '빅 데이터'라는 용어가 우리 일상에 활용 및 논의되면서, 과연 빅데이터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서 출발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빅 데이터 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최종 30개의 Q표본을 선정하고, 응답자 23명을 확보하여 Q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각 유형별 설명력은 <유형 I>은 34.30%, <유형 II>는 8.03%, <유형III>은 7.21%, <유형IV>는 6.24%로 전체 55.69%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둘째, <유형I>은 다양한 직업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며, '빅 데이터'에 대해서는 '디지털', '미래'. '통계분석', '인공지능' 등의 진술문을 강조하고 있어, 「디지털형」으로 명명하였다. <유형 II>는 '사회복지사'의 분포가 많고, '빅 데이터'는 '미래', '협업', '복지', '지역주민' 등을 강조하여, 「복지형」으로 명명하였다. <유형III>은 응답자의 직업분포가 고르게 나타났고, '융합', '디지털', '미래', '스포츠' 등의 진술문을 강조하고 있어, 「융합형」으로 명명하였다. <유형 IV>는 협회관계자, 스포츠강사 및 대학원생 응답자로, '인공지능', '뉴 패러다임', '네트워크', '스포츠' 등을 강조하고 있어, 「인공지능형」으로 명명하였다. 산업화, 정보화에 이어진 지식산업화 및 지식정보화시대에는 그 동안 쌓아온 수많은 데이터를 어떻게 잘 가공하여 활용할 것인가가 중요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바로 지금은 스포츠에서도 그 동안 축적된 빅 데이터의 활용과 활성화 방안 모색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스포츠 의류 라벨의 표준화 디자인 제안 -시각 정보디자인을 중심으로- (A Proposal for Standardization of Label Design on the Sports apparel -based on the visual information design-)

  • 배정연;김승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243-248
    • /
    • 2017
  • 본 연구는 국외 스포츠의류의 라벨 표준화를 목표로 설정하였다. 라벨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스포츠의류브랜드의 국외 상의 티셔츠를 중심으로 라벨을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32개 라벨 시안을 디자인하여 32명의 남녀 20~30대를 설문 조사하였다. 그 결과 피실험자는 size, fit, washing symbol mark, function의 정보표기를 선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균형성, 간결성, 위계성, 인지성, 조화성을 고려한 보완된 라벨을 디자인하였다. 연구대상은 20~30대 남녀 12명을 심층 인터뷰하였다. 그 결과 피실험자는 자간과 공간, 정보표기 강조의 최대, 최소화로 인하여 라벨의 인지 선호도를 선정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라벨 표준화를 활용하면 의류의 필수 정보를 쉽고 빠르게 인지할 수 있고, 소비자와 브랜드의 원활한 소통이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언어의 통일화와 표준화된 라벨을 통해 소비자들은 얻고자 하는 정보를 쉽게 식별할 것으로 기대한다.

문경시 생활체육 동호인의 생활체육 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ife Sports Participation of Life Sports Athletes in Mungyeong City on Life Satisfaction)

  • 김성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23-130
    • /
    • 2018
  • 본 연구의 대상은 경상북도 문경시 시민으로 생활체육동호회 회원을 모집단으로 선정할 후 현재 각 동호회에 소속되어 있는 250명을 모집선정 하였다. 자료를 위한 표본추출방법은 단순임의추출(Simple ramdom sampling)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rarion method)에 의거하여 설문지 작성 후 배포 및 회수 하였다. 이중 설문내용의 신뢰성 결여(이중기입, 무기입, 부실자료 등)되었다고 판단되는 50부를 제외한 총 200부의 설문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한 분석법은 빈도분석, ${\chi}^2$,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연령대별 운동참여자들의 생활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학력에 따른 운동참여자들의 생활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중학교 여학생의 배구수업 연계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Connection of Volleyball Classes for Middle School Girls)

  • 한동수;김윤상;이주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2호
    • /
    • pp.463-473
    • /
    • 2020
  • 본 연구는 중학교 여학생의 배구수업 연계에 관한 사례연구로 여학생의 학교 내 연계와 학교 외 연계의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하고, 의미를 분석하여 체육수업의 연계 방안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자료 분석은 정규교육과정 배구수업부터 학교스포츠클럽, 동아리 활동, 교내리그, 지역연계 수업까지 분류하여 정리했다. 또한, 범주가 갖는 의미를 분석하고 해석하여 학교현장에서의 실천 가능성을 중심으로 재구성했다. 연구결과는 배구수업의 실천과정에서의 경험, 창의·융합 수업을 활용한 배구수업으로 구분했다. 논의에서는 학교 내의 연계 수업, 학교 외의 연계 수업으로 구분하여 분석했다. 제언으로는 교사의 실천 연구, 수업 연계 우수 사례연구, 학교체육-생활체육-전문체육으로의 연계 방안, 여학생 수업 참여와 연계에 관한 연구를 제시했다.

초고속카메라 센서를 활용한 야구시뮬레이션 게임 제안 (A Suggestion of Baseball Simulation Game Using High Speed Camera Sensor)

  • 김도관;진찬용;신성윤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535-540
    • /
    • 2014
  • 최근 스포츠의 인기에 힘입어 IT 기술을 스포츠에 접목시킨 비즈니스 아이템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다. 스포츠가 가지는 활동성과 게임의 흥미요소를 결합한 '스포테인먼트'는 시간과 지리적 제약이 비교적 작다는 점에서 앞으로 새로운 비즈니스 아이템으로 많은 발전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표적인 인기스포츠인 야구를 실내스포츠화 하기위한 설계를 제안하기 위하여, 기존의 야구 연습장에서 활용되는 기술과 현황을 살펴보고, 나아가 다양한 센서기술들을 활용한 실내 야구 시뮬레이션 게임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야구시뮬레이션 게임은 성공적인 비즈니스 아이템으로 성장한 골프존과 같이 스포츠와 게임을 결합한 "실내 스포테인먼트"의 하나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