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orodochia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5초

Detection of Myrothecium Leaf Spot, A New Disease of Watermelon

  • Kim, Dong-Kil;Bae, Dong-Won;Lee, Sun-Chul;Han, Ki-Soo;Kim, Hee-Kyu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9권4호
    • /
    • pp.200-202
    • /
    • 2003
  • Leaf spots were first observed on watermelon (Citrullus vulgaris Schrad) under polyethylene film-covered green-house in November 2002. Symptoms appeared as dark-brown circles or large irregular spots on the leaves of watermelon. Occasionally, zonal growth of the lesions was observed. Under humid conditions, small black sclerotium-like bodies (sporodochia) were produced on the surface of the lesions. The sporodochia on leaf lesions were sessile, polymorphic, variable in size, 35-850 $\mu\textrm{m}$ in diameter, and 30-470 $\mu\textrm{m}$ in depth. Conidia in sporodochium were black in mass, one-celled, rod-shaped, with rounded ends, hyaline, guttulate, and measured 6-8$\times$1.6-2.2 $\mu\textrm{m}$ in size. The pathogen was identified as Myrothecium roridum Tode ex Fr. This is the first report of Myrothecium leaf spot on watermelon naturally occurring in commercial greenhouses.

벼키다리 병원균(病原菌)인 Fusarium moniliforme의 균주특성(菌株特性)에 의(依)한 Strain 분류(分類) (Classification of Fusarium moniliforme Isolates into Four Strains Based on Mycological Characteristics)

  • 성재모;양성석;이은종;박종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69-175
    • /
    • 1983
  • 벼키다리병(病)에 이병(罹病)된 벼에서 531균주를 분리(分離)하여 5가지 기준(基準)을 두고 분류(分類)한 결과(結果) Strain I, II, III과 IV로 분류(分類)한 수 있었다. 그중에서 Strain IV가 가장 많이 우리나라 분포(分布)되었으며 병원성도 강(强)한 것으로 나타났다. 5가지기준(基準)은 기주(寄主)의 병징(病徵), 포자형성(胞子形成), 대형분생포자격막수(大型分生胞子隔膜數), 균총의 색깔과 약제(藥劑)의 반응(反應)이었다. Strain I은 병원성(病原性)이 약하게 나타났으며 pionnotes안에 $6{\sim}7$개(個)의 격막(隔膜)을 가진 대형분생포자(大型分生胞子)를 형성(形成)하며 균총의 색깔은 표면(表面)과 이면(裏面)에 전부(全部) reddish purple을 보인다. Strain II는 병원성(病原性)은 약(弱)하나 pionnotes안에 소형분생포자를 형성(形成)하며 균총의 색깔은 표면(表面)과 이면(裏面)에 전부(全部) reddish purple을 보인다. Strain III는 병원성(病原性)이 강(强)하여 심하게 도장(徒長) 시키며 sporodochia안에 4개의 격막(隔膜)을 가진 대형분생포자(大型分生胞子)를 형성(形成)하며 균총의 색깔은 표면(表面)에는 yellowish red 이면(裏面)에는 reddish purple를 보인다. Strain IV은 병원성(病原性)이 강(强)하여 심하게 도장(徒長)시키기도 하고 고사(枯死)시킨다. sporodochia안에 주로 3개(個)의 격막(隔膜)을 가진 대형분생포자(大型分生胞子)를 형성(形成)하며 균총의 색깔은 표면(表面)과 이면(裏面) 전부(全部) yellowish red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 PDF

포장(圃場)에서 Fusarium속균(屬菌)의 종자(種子) 감염(感染)과 소독제(消毒劑)의 선발(選拔) (Rice Seed Infection of Fusarium spp. at Paddy Field and Selection of Seed Disinfectants)

  • 성재모;이종은;양성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99-103
    • /
    • 1985
  • 품종(品種)별로 포장(圃場)에서 임의(任意)로 채집(採集)하여 병원균(病原菌)을 분리(分離)한 결과(結果) Fusarium moniliforme와 F. roseum 'Graminearum' 품종(品種)에 따라 분리(分離) 비율(比率)이 다르나 공시(供試)한 품종(品種)에서 거의 다 분리(分離)되었다. 특(特)히 F. roseum 'Graminearum'은 현미(玄米)에서도 높은 분리비율(分離比率)을 보였다. 참새 피해(피해)를 받은 이삭에서 F. moniliforme의 Sporodochia가 많이 형성(形成)되었으며 벼 별구에서도 . F. moniliforme등 많은 병원균(病原菌)이 분리(分離)되었다. 저지원 시험결과 P242가 F. moniliforme에 대하여 저지비교(效果)가 가장 좋았으나 소독(消毒)후 종피(種皮)에서는 병원균(病原菌)이 거의 분리(分離)되지 않았으나 현미(玄米)에서는 키다리병원균(病原菌)인 F. moniliforme가 많이 분리(分離)되었다. 소독시간별(消毒時間別) 약효(藥效)를 보면 4시간 동안 처리하면 12시간 24시간 36시간 보다 약효가 띨어졌으며 $30^{\circ}C$에서 36 시간 처리한것이 가장 종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Zonate Leaf Spot of Sorghum Caused by Gloeocercospora sorghi in Korea

  • Chul Heo;Kim, Jung-Nyo;Hyun, Ik-Hwa;Heo, Noh-You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5권4호
    • /
    • pp.242-246
    • /
    • 1999
  • Gloeocercospora sorghi caused the zonate leaf spot on sorghum (Sorghum bicolor Moench) in fields in Korea. The zonate spots were conspicuous on sorghum leaves as circular, reddish purple bands alternating with tan or straw-colored areas, which formed a coarsely zonate pattern. The lesions often occurred in semicircular patterns along the margin of leaves. The fungus produced sporodochia on the surface of infected leaves in a moist chamber. The conidia, born in a pinkish to salmon-colored slimy matrix, were hyaline, elongate to filiform, straight or slightly curved, 3- to 17-septate, and of variable lenght (28-197 x 1.6-$3.4\mu\textrm{m}$). G. sorghi isolated from diseased leaves of sorghum caused characteristic reddish-brown water-soaked leaf spots when inoculated to seedlings.

  • PDF

Characterization of Myrothecium roridum Isolated from Imported Anthurium Plant Culture Medium

  • Kwon, Hyuk Woo;Kim, Jun Young;Choi, Min Ah;Son, Seung Yeol;Kim, Seong Hwan
    • Mycobiology
    • /
    • 제42권1호
    • /
    • pp.82-85
    • /
    • 2014
  • During an investigation of microorganisms and pests in plant culture media from imported anthurium pots, a fungal isolate (DUCC4002) was detected. Based on its morphological characters including colony shape on potato dextrose agar, the microstructures of spores observed by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the results of phylogenetic analysis using an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DNA sequence, the fungal isolate was identified as Myrothecium roridum. Pathogenicity testing on anthurium leaves revealed that the fungus could colonize and produce sporodochia on the inoculated leaves. This is the first report of M. roridum detected in imported plant culture medium in Korea.

A New Record of Volutella ciliata Isolated from Crop Field Soil in Korea

  • Babu, Anam Giridhar;Kim, Sang Woo;Yadav, Dil Raj;Adhikari, Mahesh;Kim, Changmu;Lee, Hyang Burm;Lee, Youn Su
    • Mycobiology
    • /
    • 제43권1호
    • /
    • pp.71-74
    • /
    • 2015
  • During a survey of fungal species in South Korea, a species of Volutella ciliata was isolated and describ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 of its rDNA and it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is is the first record of Volutella ciliata isolated from crop field soil in Korea.

딸기 뿌리썩음병(病)에 관여하는 Cylindrocarpon destructans의 분리(分離) 동정(同定) (Identification of Cylindrocarpon destructans Associated with Root Rot Disease of Strawberry)

  • 성재모;송융남;양성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79-183
    • /
    • 1985
  • Cylindrocarpon속균(屬菌)이 딸기가 재배(栽培)되는 포장(圃場)의 토양(土壤)에서 토양희석법(土壤稀釋法)으로 분리(分離)되었다. 감자한천배지에서 일주일에 10 mm정도 자라는 균(菌)이며 회백색의 conidial slime을 형성(形成)한다. 균사(菌絲)에서 침상의 phialide의 분생자경(分生子梗)으로 분지(分枝)되고 그위에 소형분생포자(小型分生胞子)와 대형분생포자(大型分生胞子)를 형성(形成)한다. 대형분생포자(大型分生胞子)는 $1{\sim}3$개(個)의 격막(隔膜)을 가지며 크기는 $22{\sim}45{\times}5{\sim}6.5\;{\mu}m$이고 무색원통형(無色圓筒形)으로 양끝은 반원형(半圓形)이다. 후막포자(厚膜胞子)는 water agar상에서 균사(菌絲)의 중간(中間)이나 정단부(頂端部)에서 하나 혹 연쇄상으로 형성(形成)된다. 포자(胞子)나 균사(菌絲)는 서로 쉽게 격합(隔合)된다. 병징(病徵)은 지상부(地上部)에서는 위축(萎縮)되든지 황화(黃化)되며 지하부(地下部)의 뿌리는 썩어 병원성(病原性)이 인정(認定)되었다. 본균(本菌)은 포자(胞子)의 형태(形態), 균사(菌絲)의 생장(生長)과 병원성검정(病原性檢定)을 통(通)하여 Cylindrocarpon destructans Scholten으로 동정(同定)되었다.

  • PDF

Monilinia fructicola 에 의한 살구 잿빛무늬병 (Occurrence of Brown Rot on Apricot Caused by Monilinia fructicola in Korea)

  • 최인영;김주;서경원;오훈탁;조종현;김진호;송영주
    • 식물병연구
    • /
    • 제22권2호
    • /
    • pp.122-126
    • /
    • 2016
  • 2015년 6월에 살구나무(Modern과 Alexander 품종)에 잿빛무늬병이 발생하였으며, 과실에 대한 발병률은 5% 정도였다. 잿빛무늬병은 발생 초기 살구 과실의 표면에 작은 갈색 반점이 생기다가 병이 진전된 후에는 점차 확대되어 수침상의 병반이 퍼지고, 시간이 더 지나면 갈변된 원형의 병반 위에 백색의 포자 덩어리가 밀생하여 결국에는 과실 전체가 부패하였다. 특히, 수확기 1-2주를 앞두고 잿빛무늬병 발생이 더욱 심하였다. M. fructicola 분생포자는 분지된 염주상으로 사슬모양을 나타냈으며, 단생, 투명하고, 난형-레몬형으로 크기는 $14.6-18.0{\times}8.5-11{\mu}m$였다. 살구 잿빛무늬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의 형태적 특징, 병원성 검정, rDNA의 ITS 영역의 염기서열 분석을 기초로 M. fructicola로 동정하였으며, NCBI에서 BLAST search한 결과 M. fructicola로 등록된 GenBank accession Nos. KC544809, JN176564, FJ515894, KM279616 등과 100%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핵과류 잿빛무늬병을 일으키는 Monilinia fructicola 병해 특성 (Characteristics of Brown Rot Caused by Monilinia fructicola on Stone Fruit in Korea)

  • 오훈탁;최인영;김주;나영은;이왕휴;이귀재;신현동
    • 식물병연구
    • /
    • 제23권4호
    • /
    • pp.322-333
    • /
    • 2017
  • 2015년과 2017년 6-7월에 전라북도 전주와 임실에서 매실, 복숭아, 살구, 자두, 체리 등 핵과류에 잿빛무늬병이 2-5% 정도 발생하였다. 잿빛무늬병은 일부 꽃과 잎에서도 발생하였지만, 주로 과실에 발생하였다. 초기병징은 과실의 표면에 작은 원형의 갈색 반점이 생기고, 병이 진전됨에 따라서 점차 수침상으로 확대되었으며, 후기에는 갈변된 원형의 병반 위에 백색 내지 회백색의 포자 덩어리가 밀생하여 눈꽃처럼 피고, 과실 전체로 확대되었다. 핵과류에서 분리된 분생포자는 분지된 염주상으로 사슬모양(monilioid chains)을 나타냈으며, 단생, 투명하고, 난형-레몬형이었다. 분리된 균주들의 온도별 균사생장 적온은 $20-25^{\circ}C$이며, 균사생장에 적합한 배지는 OA와 PDA이었다. 핵과류 잿빛무늬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의 형태적 특징, 병원성 검정, ribosomal DNA (rDNA)의 ITS 영역의 염기서열 분석을 기초로 Monilinia fructicola로 동정하였다. 대표 균주에 대한 병원성은 인공접종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의 핵과류에서 발생하는 M. fructicola에 의한 잿빛무늬병에 대한 최초 보완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