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oilage Bacteria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28초

식중독 유발 세균의 증식에 미치는 패장과 연교 추출물의 상승 효과 (Synergistic Antimicrobial Effect of Patrinia scabiosaefolia and Forsythiae fructus Extracts on Food-borne Pathogens)

  • 배지현;손국희;이은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30-135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식중독 유발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천연 항균성 물질을 검색하기 위해 예로부터 민간과 한방에서 널리 이용되어 온 패장을 각종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식중독 유발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해 보았다. 패장을 petroleum ether, chloroform, ethly acetate, methanol을 이용하여 실온에서 각각 용매별로 계통 분획하고, 열수추출물을 얻은 후, 9종의 식중독 유발세균(S. aureus, S. epidermidis, Salmonella paratyphimurium, S. flexneri, E. coli, Salmonella typhimurium, S. dysenteriae, P. aeruginosa, S. sonnei)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패장 추출물의 농도별 항균 활성 검색에서는 패장의 ethyl acetate 추출물이 가장 큰 항균 효과를 보였으며 E. coli와 S. sonnei가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균주였다. 패장의 ethyl acetate 추출물과 연교의 물 추출물을 혼합하여 항균력을 측정해 본 결과 두 추출물을 섞어 첨가했을 경우가 단독으로 사용했을 시 보다 약 $20\%$ 정도의 더 큰 상승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패장의 ethyl acetate 추출물이 식중독 유발세균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S. epidermidis 및 S. sonnei의 배양액에 패장의 ethyl acetate 추출물을 각각 4,000 ppm 농도로 첨가했을 시, S. epidermidis의 생육이 72시간 이상까지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고, S. sonnei의 생육도 72시간까지 지연시킬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 패장의 ethyl acetate 추출물은 S. epidermidis와 S. sonnei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킴을 알 수 있었다.

연교 추출물의 항균활성 검색 및 일부 식중독균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Antimicrobial Effect of Forsythiae Fructus Extracts on Several Food-Borne Pathogens)

  • 배지현;김홍연;장지연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19-325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식중독 유발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천연 항균성 물질을 검색하기 위해 예로부터 민간과 한방에서 널리 이용되어 온 연교를 각종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식중독 유발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해 보았다. 연교를 petroleum ether, chloroform, ethly acetate, methanol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각각 용매별로 계통 분획하고, 열수추출물을 얻은 후, 9종의 식중독 유발세균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Salmonella paratyphimurium, Shigella flexneri,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Shigella dysenteriae, Pseudomonas aeruginosa, Shigella sonnei)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연교 추출물의 농도별 항균 활성 검색에서는 연교의 열수 추출물이 가장 큰 항균 효과를 보였으며 Staphylococcus epidermidis와 Shigella flexneri가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균주였다. 연교의 열수 추출물과 느릅나무의 methanol 추출물을 혼합하여 항균력을 측정해 본 결과 두 추출물을 섞어 첨가했을 경우가 단독으로 사용했을 시 보다 상승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연교의 열수 추출물이 식중독 유발세균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Staphylococcus epidermidis 및 Shigella flexneri의 배양액에 연교의 열수 추출물을 각각 10,000 ppm 농도로 첨가했을 시, Staphylococcus epidermidis의 생육이 12시간 이상까지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고, Shigella flexneri의 생육도 24시간까지 지연시킬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 연교의 열수 추출물은 S. epidermidis와 Shigella flexneri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킴을 알 수 있었다.

고구마 소주 주박의 항균 및 항혈전 활성 (Anti-microbial and Anti-thrombosis Activities of Lees of Sweet Potato Soju)

  • 김미선;이예슬;김종식;신우창;손호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58-266
    • /
    • 2014
  • 고구마 소주는 전분과 섬유질이 많은 고구마를 발효시킨 후 상압증류하여 제조되어 특유의 부드러운 맛과 향미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별도의 용도가 없어 폐기되고 있는 고구마 소주 주박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 주박의 ethanol 및 열수 추출물을 조제하고 이들을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하여 각각의 hexane, ethylacetate (EA), butanol 분획물과 물 잔류물을 조제하여 각 시료의 항균 및 항혈전 활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주박의 ethanol 추출 효율이 열수 추출 효율보다 1.36배 높았으며, 분획물 중에서는 EA 분획물이 가장 높은 total polyphenol 함량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고구마 소주 주박의 추출물 및 분획물(0.5 mg/ml)은 인간 적혈구에 대한 용혈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열수 및 ethanol 추출물의 EA 분획물에서만 광범위 항세균 활성과 강력한 혈액응고 저해 활성이 나타났다. 또한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의 경우 열수 추출물의 EA 분획에서만 아스피린과 유사한 응집저해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는 폐기되고 있는 고구마 소주 주박의 열수 추출물의 EA 분획이 신규의 항세균 및 항혈전제로 개발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식중독유발 세균의 증식에 미치는 천초근 추출물의 영향 (Antimicrobial Effect of Rubia akane Nakai Extract on Food-Borne Pathogens)

  • 배지현;장혜정;정정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89-394
    • /
    • 2005
  • 약리실험 결과 강심작용, 지혈촉진작용, 항균작용, 항암작용 등이 밝혀진바 있는 천초근을 이용하여 항균성 및 천연 식품보존제로서의 이용가능성을 검색하여 보았다. 먼저 천초근의 뿌리성분을 petroleum ether, chloroform, ethylaetate, methanol 및 증류수를 이용하여 항균성분을 추출하여 9종의 식중독균(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Salmonella Enteritidis, Shigella flexner, Escherichia coil, Salmonella Typhi, Shigella dysenteriae, Pseudomonas aeruginosa, Shigella sonnei)에 추출물의 농도를 250ppm, 500 ppm, 1,000ppm으로 달리하여 disc method로 실험한 결과 Salmonella Typhimurium애서 아주 약한 clear zone이 형성되긴 하였으나 거의 모든 균에서 항균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큰 clear zone이 형성된 균은 Pseudomonas aeruginosa였고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비례하여 항균효과가 크게 드러났다. 또 methanol 추출물에서 항균활성이 가장 잘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ethylacetate, chloroform, petroleum ether, 증류수 순이었다. 항균활성이 가장 잘 나타난 천초근의 methanol 추출물과 또 다른 겨우살이 추출물을 사용한 상승효과 여부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결과 그람 양성균인 Bacillus cereus와 그람 음성균인 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해 상승적인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천초근의 methanol 추출물이 Bacillus cereus와 Pseudomonas aeruginosa균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해 본 바 천초근 추출물의 농도가 진해짐에 따라 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Pseudomonas aeruginosa에서 더 두드러지게 증식이 억제되었다. 또 72시간 동안 그 성장 억제 효과가 지속됨을 알 수 있었다.

해산어(海産魚)의 부분동결(部分凍結)에 의한 Microflora의 변화(變化) (Changes in the Microflora of Marine Fishes during Storage by Partial Freezing)

  • 박찬성;최경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6-62
    • /
    • 1986
  • 정어리, 갈전갱이, 전갱이 및 말쥐치의 4종(種)의 시료어(試料魚)를 $-3.5^{\circ}C$에서 50일간(日間) 저장(貯藏)하면서 저장기간(貯藏其間)에 따른 Microflora 변화(變化)를 조사하였다. 세균수(細菌數)의 측정(測定) 및 세균(細菌)의 분리(分離)에는 50% 인공해수한천평판배지(人工海水寒天平板培地)로서 도말법(塗抹法)으로 하였으며 분리(分離)한 세균(細菌)의 동정(同定)은 오적(奧積)등의 방법에 따라 행하였다. 저장전(貯藏前)의 신선한 생선에는 피부 $1cm^3$$10^4{\sim}10^5$마리의 세균(細菌)이 존재하였으나 저장(貯藏) 22일(日) 이후(以後)부터 $10^6{\sim}10^8$에 달하여 전형적인 생선의 부패취를 발생하였다. 저장기간(貯藏其間)을 통하여 300주(株)의 세균(細菌)을 분리(分離)하였으며 선어(鮮魚)에서는 Pseudomonas I/II, Pseudomonas III/IV-H, Vibrio, Moraxella가 대부분으로 전체(全體)의 87%를 차지하였다. 부패후(腐敗後)에도 이들 균주(菌株)가 주종(主種)을 이루었으나 Pseudomonas III/IV-H, Vibrio, Moraxella가 감소하는 반면에 Pseudomonas I/II가 최우위를 점하였으며 Pseudomonas가 소수 분리(分離)되었으나 저장초기(貯藏初期)에 소멸(消滅)하였다. 비동정균(非同定菌)이 분체(全體) 분리균주(分離菌株)의 9%를 차지하였는데 이중 약 절반이 저장(貯藏) 22일(日)에 분리(分離)되었다.

  • PDF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식품위해성 세균의 증식 억제 및 세포구조 변화 (Inhibition of Foodborne Pathogens and Spoilage Bacteria and Their Structural Changes by Ethanol Extract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 김세령;김미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09-11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의 천연 항균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식품 위해성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Paper disc diffusion test와 최소저해 농도(MIC) 측정에서는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이 Listeria monocytogenes, Bacillus cereus, Escherichia coli O157:H7에 대해 큰 생육저해환과 낮은 MIC를 나타내었다. Time-kill assay에서는 L. monocytogenes의 생육이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에 의해 가장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E. coli, E. coli O157:H7, 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에서는 ${\beta}$-galactosidase와 o-nitrophenyl-${\beta}$-D-galactoside가 높은 반응을 나타냄으로써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로 인해 세포막 손상이 유발됨을 유추할 수 있었다. 또한 E. coli, E. coli O157:H7, P. aeruginosa, Salmonella Typhimurium 등 그람음성균에서는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의 처리 농도가 높을수록 세포구성물의 유출과 세포 외막의 투과성이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시차주사현미경(SEM)과 투과전자현미경(TEM)을 이용하여 관찰한 세포구조에서도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 처리 시 세포막의 부분적인 파괴와 세포 팽윤이 일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들 결과는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이 식품위해성 세균에 대해 높은 항균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천연 항균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리기다소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 및 생리특성 (Antimicrobial &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Ethanol Extract from Pinus rigida Miller Leaves)

  • 오병태;최성길;조성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29-633
    • /
    • 2006
  • 리기다소나무 잎추출물의 항균력을 조사한 결과, $100{\sim}250{\mu}g/mL$ 이상의 농도에서 뚜렷한 항균활성을 보였고, 광역의 병원성 및 부패성 미생물들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리기다소나무 알코올 추출물에서는 $100{\mu}g/mL$의 낮은 처리농도에서도 뚜렷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미생물의 생육저해환의 직경도 커졌으며, 알코올추출물에서 좀 더 뚜렷한 항균력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리기다소나무 잎추출물은 넓은 범위의 열 및 pH에서 안정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리기다소나무 잎추출물의 항균물질은 항균활성이 높고, 항균 spectrum이 광범위 할뿐 아니라, 넓은 범위의 온도 및 pH에 안정하여 이상적인 천연 항균제로서의 개발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리기다소나무 잎추출물의 주요 항균작용기작은 미생물 세포막의 perturbation 기능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fomalin 투여후 PRLE처리로 혈청내 formaldehyde의 분해가 촉진되어 제거비율이 증진되는 효과를 보였으며, formalin 투여로 인한 생체내 hemoglobin 생성비율도 짧은 시간내에 회복됨을 예측할 수 있었다.

가공(加工) 식품(食品)의 내열성(耐熱性) 부패균(腐敗菌) 분포(分布) 조사(調査) 연구(硏究) 제(第)2보(報) : 내열성(耐熱性) 부패균(腐敗菌) 최적(最適) 살균(殺菌) 조건(條件) 시험(試驗) (Study on Heat Resistant Putrefactive Spore Formers in Korean Soil and Processed Foods Part 2. Study on Thermal Resistance of Selected Spore Formers in Thermal Process of Mushroom Cans)

  • 구영조;민병용;유태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53-156
    • /
    • 1979
  • 양송용(洋松茸) 부패부(腐敗缶)을 수집(蒐集)하고 아포(芽胞) 형성균(形成菌) 분포(分包) 조사(調査)와 anaerobic mesophiles 34균주(菌株)를 분리(分離)하였다. 이중 내열성(耐熱性)이 가장 강(强)한 균주(菌株) (Cl-5) 및 제(第)1보(報)(한국식품과학회지 10(2), 224 (1978)에서 실험(實驗)한 균주(菌株) (D-29)와 PA 3679를 중성(中性) 인산(燐酸) 완충(緩衝) 액용(液溶)에서 내열성(耐熱性)을 비교(比較)한 결과(結果) Cl-5가 가장 컸으며 이들의 부패성(腐敗性)도 확인(確認)하였다. 내열성(耐熱性)이 가장 큰 Cl-5(김제(金堤) 지방(地方) 양송용(洋松茸) 재배상(栽培床) 복토(覆土)에서 분리(分離), 혐기성(嫌氣性) 중온성(中溫性) 균(菌))의 통조림 부(缶)(4 oz. piece and stem)에서의 열(熱) 저항성(抵抗性)은 $Z=21.3^{\circ}F$, D_{250}=1.8min$ 이었으며 최적(最適) 살균(殺菌) 조건(條件)은 Z=21.3일때 적정(適定) F value 8.95이었다.

  • PDF

키토산 첨가에 의한 식빵의 저장성 증진효과 (Effect of Addition of Chitosan on Improvement for Shelf Life of Bread)

  • 이현영;김성미;김진영;윤선경;최정수;박선미;안동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45-450
    • /
    • 2002
  • 효모, 곰팡이 및 빵의 부패에 관여하는 세균에 대한 키토산의 생육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키토산의 분자량이 약 120kDa 이하, 키토산 첨가량 0.50%까지의 범위에서는 분자량과 첨가량이 높을수록 생육억제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키토산에 의한 효모의 생육억제효과는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실제 발효시간에 해당하는 조건에서는 생육 억제효과가 아주 낮았다. 또한 곰팡이 에 대한 생육억제효과도 아주 낮게 나타났으나, 부패 세균들은 키토산 분자량 약 30 kDa과 120 kDa에서 강하게 생육이 억제되었다. 키토산을 첨가한 식빵의 보존 효과는 분자량 약 5 kDa의 키토산을 첨가한 경우에서보다 분자량 약 30 kDa과 120 kDa의 키토산을 첨가한 경우에 더 컸고, 또한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보존 효과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키토산에 의한 저장 중 항산화 효과는 분자량 약 5 kDa의 키토산을 첨가한 식빵보다 분자량 약 120 kDa의 키토산을 첨가한 식빵에서 그 첨가랑이 증가할수록 그 효과는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식 빵 제조시 반죽에 키토산을 첨가하면 저장성 증진효과가 있었다.

강황추출물이 두부 부패미생물과 병원성 미생물에 미치는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Turmeric(Curcuma aromatica Salab.) Extracts Against Various Pathogens and Spoilage Bacteria Isolated from Tofu)

  • 박경남;정은주;이신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07-212
    • /
    • 2007
  • 강황 에탄올 추출물은 Listeria monocytogenes ATCC 19115, Pseudomonas fluorescens ATCC 21541, Staphylococcus aureus ATCC 29273, Salmonella typhimurium ATCC 21541, Vibrio parahaemolyticus ATCC 17802 그리고 Aeromonas hydrophila KCTC 2358에 대하여 0.05-0.2% 범위에서 뚜렷한 성장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부패한 두부에서 분리한 4종의 Bacillus sp. 에 대해 강황 에탄올 추출물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어 Bacillus sp. KN-4와 KN-6의 성장은 0.05% 이상 첨가시 약 2 log cycle 정도 억제되었고, B. licheniformis KN-10은 0.1% 이상 첨가시, Bacillus sp. KN-20의 경우 0.05% 이상 첨가시 배양 12시간 이후부터 뚜렷한 성장 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공시균주에 대한 강황 에탄올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MIC)는 L. monocytogenes는 0.1%, P. fluorescens, S. aureus, S. typhimurium, V. parahaemolyticus, A. hydrophila는 0.3% 그리고 Bacillus sp. KN-4, KN-6, KN-20의 경우 0.2%, B. licheniformis KN-10의 경우 0.25%로 나타났다. 열처리한, 강황 에탄올 추출물의 공시균주에 대한 항균활성은 소실되지 않아 열에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