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hingomonas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26초

Sphingomonas sp. HS362에 의한 Phenanthrene 분해특성 (Characterization of Phenanthrene Degradation by Sphingomonas sp. HS362)

  • 김수화;홍승복;강희정;안진철;정재훈;손승렬
    • 미생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01-207
    • /
    • 2005
  • 유류에 의해 오염된 토양으로부터 난분해성 물질인 phenanthrene을 유일한 탄소원과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며 성장하는 균주들을 분리한 후, 그중에서 분해능이 가장 우수한 균주를 선별하여 HS362라고 명명하였다. HS362는 생화학적 검사로는 Sphingomonas paucimobilis와, 16S rDNA 염기서열 분석으로는 Sphingomonas CF06과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고, 지방산분석 결과도 그람음성 간균인 Sphingomonas 속으로 판명되었으므로 Sphingomonas sp. HS362라고 명명하였다. 이 균은 500 ppm의 phenanthrene을 단일 탄소원으로 첨가한 경우, 10일 만에 $98{\%}$ 이상을 분해하였고,3000 ppm의 phenanthrene이 첨가된 경우에도 10일 만에 약$30{\%}$ 이상을 분해하는우수한 균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 균은PAH들(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중에서 phenanthrene 이외에도 분자량이 적은 indole, naphthalene은 분해할 수 있는 반면에, 분자량이 큰 pyrene, fluoranthene은 분해하지 못하였다. Spitingomonas sp. HS362에 의한 phenanthrene 분해는$30^{\circ}C$, pH $4{\~}8$, NaCl $1{\%}$ 이하의 농도인 조건하에서 배양했을 때 가장 우수했으며, 특히 전분과 SDS, Tween 85, Triton X-100와 같은 계면활성제를 첨가해 주었을 때 분해가 증진되었다. 또한, 전배양을 통해서 phenanthrene의 분해가 증진되는 것을 볼 때에 분해효소가 유도되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었다. Spltingomonas sp. HS362는 5개의 plasmid를 가지고 있는데, 그중에서 plasmid p4를 잃었을 때에는phenanthrene을 분해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아plasmid p4가 phenanthrene분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Sphingomonas sp. 224 균주에 의한 살균제 tolclofos-methyl의 분해 (Biodegradation of Fungicide Tolclofos-methyl by Sphingomonas sp. 224)

  • 곽윤영;신갑식;이상만;김장억;이인구;신재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88-395
    • /
    • 2010
  • 미생물을 이용한 인삼 재배지 내 잔류 tolclofos-methyl의 효과적 분해를 목적으로, tolclofos-methyl에 대한 분해능을 보이는 미생물을 선발하였다. 선발된 미생물은 16S rDNA 염기서열분석을 통하여 Sphingomonas 속으로 동정되었다. 선발 미생물 Sphingomonas sp. 224는 1/10 농도의 LB 배지에 함유된 20 mg/L 농도의 tolclofos-methyl을 배양 72시간 이내에 95% 이상 분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이 미생물이 tolclofos-methyl을 분해하여 얻어지는 산물로 2,6-dichloro-4-methyl phenol이 확인됨에 따라 미생물이 생산하는 가수분해 효소에 의한 분해 경로를 가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Tolclofos-methyl 분해 미생물 Sphingomonas sp. 224를 인삼경작지 토양에 처리하여 이들 토양에 잔류되어 있는 tolclofos-methyl에 대한 분해능을 확인 한 결과, 20 mg/Kg 농도의 토양 잔류 tolclofos-methyl에 대하여 14일 이내에 약 50%의 분해력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것은 단일 미생물을 이용한 배지 및 토양 내 tolclofosmethyl의 생분해 효과를 처음으로 확인한 연구 결과이다.

Sphingomonas chungbukensis DJ77의 Glucosyl-Isoprenyl Phosphate-Transferase를 암호화할 것으로 추정되는 spsB 유런자 (A spsB Gene Putatively Encoding Glucosyl-Isopreny Phosphate-Transferase in Sphingomonas chungbukensis DJ77)

  • 이수연;최정도;신말식;김영창
    • 미생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8-12
    • /
    • 2005
  • S. chungbukensis DJ77의 genome project수행 결과 다당류 생 합성 에 관련된 유전자들의 염기서열을 찾아내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유전자들 중 sphigan형 다당류 생합성에 관여하는 glucosyl-isoprenyl phosphate-transferase를 암호화 하는 유전자의 완전한 서열을 결정하였고, spsB로 명명하였다. 이 유전자는 ATG를 개시코돈으로 사용하며, TGA를 종결코돈으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총 1392 bp의 open reading frame을 포함하며, 463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있다. SpsB를 구성하는 아미노산 서열은 동일한 속의 sphingan 형성 균주인 Sphingomonas spp S88의 SpsB와 $50\%$, Sphingomonas paucimobilis ATCC 31461의 GelB와 $48\%$의 유사성을 나타내었다.

PAHs를 분해하는 Sphingomonas sp. K-19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AHs Degrading Sphingomonas sp. K-19)

  • 한규동;김성환;손승렬
    • 미생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88-292
    • /
    • 2003
  •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PAHs)들에 오염된 토양시료를 채취한 후, phenanthrene을 유일한 탄소원과 에너지원으로 배양하여 PAHs를 분해하는 균주 K-19를 분리하였다. 이 균주는 지방산 조성 실험에서 Sphingomonas 속 균주의 특징인 2-hydroxy fatty acid들과 18:1w7를 포함하고 있었으며, 16S rDNA 염기서열을 이용한 계통유전학적 분석결과 Ribosomal Database에서 Sphingomonas CF06과 가장 가까운 유연관계를 보였다. K-19는 phenanthrene 존재 하에서 빠른 성장률과 높은 phenanthrene 분해율로 10일만에 500 ppm의 phenanthrene을 92% 분해하였으며, phenanthrene 이외에 indole, naphthalene 등도 분해하였다. 또한 전 배양 방법을 통하여 phenanthrene 분해능이 더욱 증진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의 유류 오염토양에 Sphingomonas 속의 미생물이 존재하며 이 미생물은 여러 종류의 다중 고리 방향족 화합물을 분해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Sphingomonas 속 세균의 명조건 생장에서 티아민의 필수적인 역할 (Novel insight into the role of thiamine for the growth of a lichen-associated Arctic bacterium, Sphingomonas sp., in the light)

  • 팜눙;팜코이;이창우;장세헌
    • 미생물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17-24
    • /
    • 2019
  • 극지에 서식하는 세균은 강한 빛과 자외선을 받는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북극에 서식하는 지의류 Cetraria sp.에서 분리한 호냉성 세균 Sphingomonas sp. PAMC 26621의 생장에 빛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 세균은 암조건에서 명조건에서 보다 생장이 느렸다. 놀랍게도, 이 세균은 M9 최소배지에 티아민 혹은 아스코브르산을 첨가하면 명조건에서 생장이 증가하였지만, N-acetylcysteine을 첨가한 배지에서는 생장의 변화가 없었다. 첨가한 티아민과 아스코브르산은 포도당-6 인산 탈수소효소와 항산화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켰다. 이 연구의 결과는 지의류와의 공생에서 제공된 티아민이 Sphingomonas sp. PAMC26621의 빛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항산화제 역할을 함을 의미한다. 이 연구는 강한 빛과 자외선이 만연한 북극에 서식하는 세균에 대한 생리적, 생화학적 관점에서 고찰할 점을 제시한다.

Effect of Rhamnolipids on Degradation of Anthracene by Two Newly Isolated Strains, Sphingomonas sp. 12A and Pseudomonas sp. 12B

  • Cui, Chang-Zheng;Zeng, Chi;Wan, Xia;Chen, Dong;Zhang, Jia-Yao;Shen, Pi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1호
    • /
    • pp.63-66
    • /
    • 2008
  • Anthracene is a PAH that is not readily degraded, plus its degradation mechanism is still not clear. Thus, two strains of anthracene-degrading bacteria were isolated from long-term petroleum-polluted soil and identified as Sphingomonas sp. 12A and Pseudomonas sp. 12B by a 16S rRNA sequence analysis. To further enhance the anthracene-degrading ability of the two strains, the biosurfactants produced by Pseudomonas aeruginosa $W_3$ were used, which were characterized as rhamnolipids. It was found that these rhamnolipids dramatically increased the solubility of anthracene, and a reverse-phase HPLC assay showed that the anthracene degradation percentage after 18 days with Pseudomonas sp. 12B was significantly enhanced from 34% to 52%. Interestingly, their effect on the degradation by Sphingomonas sp. 12A was much less, from 35% to 39%. Further study revealed that Sphingomonas sp. 12A also degraded the rhamnolipids, which may have hampered the effect of the rhamnolipids on the anthracene degradation.

Sphingomonas chungbukensis DJ77에 존재하는 Plasmid pSY1의 PAH 분해능 (Attribution of PAH Degradation of Sphingomonas chungbukensis DJ77 to the Plasmid pSY1)

  • 박승기;김성재;신희정;김영창
    • 미생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20-123
    • /
    • 2001
  • Sphingomonas chungbukensis DJ77에서 난분해성 물질 분해 유전자가 chromosome 또는 plasmid 존재하는지를 규명하였다. 야생주 DJ77의 plasmid를 mitomycin C를 이용하여 curing 시킨 후, 각각 phenanthrene과 biphenyl이 단일 탄소원으로 첨가된 최소배지에서 배양한 결과 야생주는 성장을 하지만 plasmid가 제거된 DJ77은 성장하지 않았다. 각각의 plasmid DNA를 분리한 수 이미 클로닝된 방향족 탄화수소 분해에 관련된 DNA를 probe로 하여 Southern hybridization을 한 결과 야생주에서만 positive signal을 발견할 수 있었다.

  • PDF

Association of a Common Reductase with Multiple Aromatic Terminal Dioxygenases in Sphingomonas yanoikuyae Strain B1

  • Mihyun Bae;Kim, Eungbin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38권1호
    • /
    • pp.40-43
    • /
    • 2000
  • The aromatic dioxygenase system in Sphingomonas yanoikuyae strain Bl consists of three components, an oxygenase, a ferredoxin, and a reductase. The insertional knockout of the bphA4 gene encoding a reductase and subsequent complementation experiments showed that the reductase encoded by bphA4 in S. yanoikuyae strain Bl is associated with multiple dioxygenase components including that of toluate dioxygenase (XyIXY).

  • PDF

Degradation of Phenanthrene by Sphingomonas sp. 1-21 Isolated from Oil-Contaminated Soil

  • Ryeom, Tai-Kyung;Lee, Il-Gyu;Son, Seung-Yeol;Ahn, Tae-Yo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0권5호
    • /
    • pp.724-727
    • /
    • 2000
  • A Phenanthrene-degrading bacterium, Strain 1-21 was isolated from oil-contaminated soil. This strain was a Gram-negative, aerobic, and rod-shaped bacterium, and exhibited a 99% sequence similarity of 16S rDNA to that of Sphingomonas subarctica. The major cellular fatty acid was a summed feature 7(18:1 w7c, 18:1 w9t, 18:1 s12t),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the Sphingomonas species. When 200 and 1,000 ppm of phenanthrene was added as the sole carbon source, Strain 1-21 degraded 98% and 67% after 10 days of incubation, respectively. Futhermore, this strain was also able to utilized naphthalene and fluorene as sole carbon and energy sources.

  • PDF

Sphingomonas chungbukensis DJ77의 16S rRNA 염기서열과 이차구조 (Nucleotide Sequence and Secondary Structure of 16S rRNA from Sphingomonas chungbukensis DJ77)

  • 이관영;권해룡;이원호;김영창
    • 미생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25-128
    • /
    • 2005
  • S. chungbukensis DJ77로부터 16S rRNA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식하였다. 염기서열은 총 1,502 bp로 2000 년에 등록된 부분 서열(1,435 bp)보다 5' 방향과 3' 방향으로 29 bp와 37 bp 길이만큼 각각 확장하였으며, 1 bp가 추가로 삽입되었다. E. coli의 16S rRNA유전자를 모델로 이차구조를 제작하였으며, 네 부위가 특이적임을 발견하였다. Sphnigomonas spp.의 16S rRNA 서열과 S. chungbukensis DJ77의 다중서열검색 결과, Sphingomonas종에서만 나타나는 보존부위와 가변부위를 발견할 수 있었다. 특히, Campylobacter jejuni에서만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진 긴 stem loop구조가 서열은 조금 다르지만 구조적 일치를 보이는 유사한 구조를 S. chungbukensis DJ77에서도 발견하였다. 결과적으로, 다중서열검색을 통해 제작한 계통수와 nucleotide signatures분석에 근거하여 S. chugukensis DJ77을 cluster II (Sphingobium)로 분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