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cies differences

검색결과 2,119건 처리시간 0.028초

프랑스 A-71 고속도로변 토양과 부유퇴적물의 중금속 거동 및 오염에 관한 연구 (Th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Geochemical Behavior of Heavy Metals in Roadside Soil and Settling Particles from Retention Pond on A-71 Motorway, France)

  • 이평구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1-34
    • /
    • 1997
  • 고속도로변에 설치된 간이정화시설은 drainage system의 일부분으로 우기에 빗물의 양을 조절하고 고속도로 노면에서 운반되어 간이정화시설에 유입된 오염된 입자를 침전, 제거시키기 위해 설치되었다. 빗물에 입자상태로 이동된 납, 아연, 카드뮴를 제거하기 위해 설치된 간이정화시설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수리지질학적 연구 및 부유퇴적물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부유퇴적물과 비교하기 위해 심하게 오염된 도로변토양과 오염되지 않은 background soil에 대해서도 연구가 수행되었다. 부유퇴적물의 중금속함량은 background Sologne soil에 비해 원소에 따라 2~8배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도로변토양의 중금속함량은 부유퇴적물에 비해 7~26배 높게 나타났다. Sequential extraction methods (Tessier et al., 1979)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심하게 오염된 도로변토양에 존재하는 납, 아연, 카드뮴은 대부분 쉽게 용해될 수 있는 상태 (Fraction FII, FIII)로 존재하며 반면에 규산염광물과 수반되는 금속함량의 비율은 매우 낮았다. 부유퇴적물에서는 규산염광물과 수반되는 금속함량이 전체 금속함량의 113까지 크게 증가하였다. 납과 아연은 fraction FI에서 거의 용해되지 않았는 반면에 (전체 함량의 약 3%) 카드뮴은 가장 용해성이 높은 fraction FI("exchangeable" )에서 상당량이 용해되었으며 특히 도로변토양의 경우 전체 카드뮴 함량의 1/4을 차지하였다. 도로변토양과 부유퇴적물사이의 중금속함량 차이가 매우 큰 것은 중금속의 대부분이 간이정화시설에 이르기전에 고속도로변과 배수로 일부에 축적되어 모두 상실되었기 때문이다.

  • PDF

Phytic acid does not affect the formation of colonic aberrant crypt foci in Fe-overloaded male F344 rats

  • Lee, Yea Eun;Hue, Jin-Joo;Lee, Ki-Nam;Nam, Sang Yoon;Ahn, Byeongwoo;Yun, Young Won;Jeong, Jae-Hwang;Lee, Beom Jun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37-345
    • /
    • 2008
  • There are accumulating evidences that high levels of dietary iron may play a role in colon carcinogenesis. Elevated iron status has been associated with oxidative stress. Phytic acid (PA) functions as an antioxidant by chelating divalent cations and prevents form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esponsible for cell injury and carcinogenesis. The protective effect of PA was investigated on formation of aberrant crypt foci (ACF) induced by azoxymethane (AOM) in iron-overloaded male F344 rats. After acclimation with AIN-93G purified diet (35 ppm Fe, normal control diet) for one week, animals were fed iron-overloaded diet (350 ppm Fe) and PA (0.5% or 2% PA in water) for 8 weeks. Animals received two (1st and 2nd week) injections of AOM (15 mg/kg b.w.) to induce colonic ACF. The colonic mucosa was examined for the total numbers of aberrant crypt (AC) and ACF after staining with methylene blue. The blood and serum were analyzed with a blood cell differential counter and an automatic serum analyzer. Iron-overloaded diet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iron in liver of the rats. But iron-related parameters in blood were not changed among experimental groups. The numbers of ACF per colon and AC per colon were $178.8{\pm}33.2$ and $448.4{\pm}110.2$ in the iron-overloaded F344 rats. The total AC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normal-diet AOM control group (p < 0.05). The treatments of PA at the dose of 0.5% slightly decreased the number of ACF and AC per colon to $153.6{\pm}29.5$ and $396.3{\pm}107.5$.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otal numbers of ACF and AC between the AOM control group and PA (0.5% or 2%)-treated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A may not affect the formation of ACF or AC induced by AOM in ironoverloaded F344 rats.

참당귀와 일당귀의 부위별 휘발성 정유성분 비교 (Comparison of Volatile Compounds in Plant Parts of Angelica gigas Nakai and A. acutiloba Kitagawa)

  • 조민구;방진기;채영암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352-357
    • /
    • 2003
  • 참당귀의 전초 (꽃봉우리, 줄기, 잎)와 뿌리의 정유성분을 분석한 결과 전초의 정유 함량은 0.063%로 뿌리의 0.389%에 비해서 아주 적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주요 성분에 있어서 전초와 뿌리의 정성적 차이는 없었으나, 함량에 있어서는 큰 차이를 보였다. 주요 휘발성 성분은 nonane, ${\alpha}$-pinene, limonene + ${\beta}-phellandrene$이였으며, 이 중 nonane과 ${\alpha}-pinene$의 경우 전초에서는 각각 7.5%와 14.6%이었으나, 뿌리에서는 각각 24.5%와 31.7%로 많은 양을 나타내었다. 이 외에 ${\gamma}-terpinene$, germacrene-d, (E,E)-${\alpha}-farnesene$, ${\beta}- eudesmol$의 경우 전초에서는 5%에서 8% 사이로 나타났으나, 뿌리 에서는 1% 안팎의 적은 함량을 보였다. 참당귀와 일당귀를 분석한 결과 줄기와 잎에서 각각 0.068%, 0.127%와 0.153%, 0.243%로 정유의 함량은 일당귀가 더 높았고, 부위별로는 잎이 줄기의 약 2배 정도 높았다. 참당귀 줄기와 잎의 성분으로는 각각 18개, 32개로 잎에서 더 다양한 향기성분이 분포되어 있었고, 주요 휘발성 성분으로는 ${\alpha}-pinene$, myrcene, limonene, germacrene-d, eudesmol and butylphthalide로 잎에서 germacrene-d가 높았고, butylphthalide가 낮은 차이를 보였다. 일당귀줄기와 잎의 휘발성 정유 성분으로는 각각 21개, 32개로 참당귀와 같이 잎에서 더 다양했고, 성분은 ${\gamma}-terpinene$과 butylphthalide로 butylphthalide가 70%에 육박하는 주성분을 차지했다. 그러므로 Angelica gigas와 Angelica acutiloba는 관능적으로 확연히 다른 차이를 느낄 수 있지만, 분석결과로도 전혀 다른 향기성분임을 알수 있었다.

PCR을 이용한 육류 내 Salmonella sp. 및 Salmonella Typhimurium 분리 검출 (Selective Detection of Salmonella sp. and Salmonella Typhimurium in Meat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 주종원;홍경표;김용휘;조상범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95-30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육류 식품 시료에서 단시간 내에 살모넬라를 검출하기 위하여 PCR을 이용한 검출용 프라이머들의 특이성과 민감성을 평가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프라이머들은 Salmonella Typhimurium의 mdh와 invA 유전자의 염기서열에 기초하여 제작되었다. 각각의 primer들의 검출 감도를 평가하여 최종적으로 broad spectrum primer SLM1과 S. Typhimurium specific primer SLT4를 선발하였다. 또한, 시료에 오염된 병원균의 최소 검출량이 어느 정도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살모넬라 균수를 reaction tube당 $10^0{\sim}10^3$ cell까지 다양하게 하여 검출 감도를 측정한 결과, 최소 1 cell에서도 PCR 산물을 나타내어 검출 감도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살모넬라 균주를 혼합한 소고기와 돼지고기 시료에서 각각 프라이머들의 검출 감도를 평가한 결과, 증균하지 않은 시료 자체와 세균학적 방법으로 증균 배양한 시료 그리고 증균 배양된 시료로부터 세균의 DNA를 추출한 시료 간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에 육류 식품에서 살모넬라 혹은 S. Typhimurium의 검출을 위한 프라이머로서 효율적으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곤충병원성 선충이 당근뿌리혹선충의 난낭 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ntomopathogenic Nematodes on Egg Mass Formation by the Northern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hapia)

  • 김형환;추호렬;조명래;전흥용;임명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25-231
    • /
    • 2002
  • 곤충병원성 선충인 Steinernema carpocapsae All (ScA)과 포천(ScP) 계통, S.glaseri NC (SgN)와 동래(SgD) 계통, Heterorhabditis bacteriophora NC 1 계통(HbN)이 당근뿌리혹선충 (Meloidogyne hapla)의 난낭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토마토를 이용한 pot실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450마리의 당근뿌리혹선충이 있는 100g 토양에 곤충병원성 선충을 2.5$\times$$10^{5}$ 마리 농도로 처리한 결과 ScA처리에서 9.4-36.5개, SgN처리에서 5.7-24.7개, HbN처리에서 11.2-16.0개로서 당근뿌리혹선충 단독 처리에서의 62.5개보다 난낭수가 매우 적었다. Steinernema선충을 100㎤당 100마리, 200마리의 당근뿌리혹선충에 대해 2,020마리/토양 350g와 1.6$\times$$10^{5}$ 마리 농도로 처리한 결과 Steinernema 선충의 종간, 계통별 또는 처리농도 간에는 난낭수의 차이가 없었으나, 당근뿌리혹선충 단독 처리와 비교하면 난낭수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곤충병원성 선충을 당근뿌리혹선충 처리 3일 전에 처리한 것이 3일 후에 처리한 것보다 난낭 형성 억제에 더 효과적이었다. 한편, 곤충병원성 선충은 토마토의 생육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산사태(山沙汰) 발생요인(發生要因)에 관한 연구(硏究) -평창군(平昌郡) 석회암지대(石灰岩地帶)를 중심(中心)으로- (Studies on the Causal Factors of Landslides on Limestone Soils in Pyeongchangkun)

  • 이수욱
    • 농업과학연구
    • /
    • 제6권2호
    • /
    • pp.125-133
    • /
    • 1979
  • 평창군(平昌郡)에 발생(發生)한 산사태지(山沙汰地)의 유형(類型)은 다음과 같으며 그특징(特徵)을 보면, 1. 석회암(石灰岩) 심토지대(深土地帶) 토양단면상(土壤斷面上)에 점토(粘土)의 집적(集積)으로 토성(土性)의 차이(差異)가 뚜렷하여 수분(水分)에 의한 윤활작용(潤滑作用)으로 니류형산사태(泥流型山沙汰)가 발생(發生)한다. 2. 석회암(石灰岩) 암반지대(岩盤地帶) 표토(表土)의 두께가 얇고 평활(平滑)한 암반층(岩盤層)이 존재(存在)하므로 집중호우시(集中豪雨時) 표층토(表層土)가 쉽게 포화(飽和)되고 암반경계부(岩盤境界部)에 수분윤활작용(水分潤滑作用)으로 표토(表土)가 분리(分離) 붕락(崩落)한다. 3. 화강암지대(花崗岩地帶) 조립질토성(粗粒質土性)의 모재(母材)는 응집력(凝集力)이 적으며 공극(孔隙)이 많고 삼투능이 커서 수분(水分)에 의한 식화(蝕和) 및 분리작용(分離作用)이 신속하여 쉽게 기암층(基岩層)으로부터 붕락(崩落) 계안(溪岸)을 침식(浸蝕)한다. 본지역(本地域)의 산사태예방책(山沙汰豫防策)으로 다음을 들 수 있다. 1. 산사태근원지(山沙汰根源地)의 집중조림(集中造林) 및 사방공작물(砂防工作物) 설치(設置). 2. 급경사지(急傾斜地)($25^{\circ}$이상)의 개벌(皆伐) 및 개간경작(開墾耕作)의 억제(抑制) 3. 산사태방비림(山沙汰防備林) 조성(造成).

  • PDF

Megalocytivirus 감염 해산 어류에서 나타나는 임상증상의 정량적 변화 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clinical signs in marine fish induced by Megalocytivirus infection)

  • 진지웅;조혜진;김광일;정준범;박경현;정현도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53-64
    • /
    • 2011
  • Megalocytivirus 감염 시 나타나는 임상적 증상의 정량적인 분석을 위하여, 돌돔에서 분리된 megalocytivirus IVS-1을 돌돔성어와 치어에 인위 감염시켰다. 그 결과 spleen index가 각각 $4.49{\pm}1.13$$4.85{\pm}1.06$로 나타 났으며, 이것은 정상배에 비해 3배 이상 증가한 값이었다. 폐사율은 돌돔성어와 치어에서 모두 100% 폐사한 반면 참돔치어는 30일이 지나도 60%의 폐사만 나타나 돌돔폐사율에 비해 낮은 폐사율을 나타냈다. 또한 IVS-1을 감염시킨 빈사상태의 참돔치어는 spleen index가 동일 크기의 돌돔치어 보다 낮은 $1.47{\pm}0.87$을 보였다.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감염의 진행에 따른 바이러스 농도를 측정한 결과, 돌돔 치어와 성어의 감염 조직 내 바이러스 최고 농도는 각각 $2.03{\times}10^7$ copies/mg과 $2.40{\times}10^7$ copies/mg으로 비슷하였으나 돌돔성어에서 먼저 최고치에 도달하였다. 더구나 비장의 비정형비대세포의 수 역시 돌돔치어의 경우 지속적으로 증가한 반면 돌돔성어의 경우 최고치에 도달 후 오히려 감소히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megalocytivirus 감염 시 조직의 형태적 변화와 조직 내의 바이러스 농도와 같은 임상적인 증상을 정량적인 분석을 통해 나타내었고 이러한 정량적인 수치와 megalocytivirus 감염의 진행 정도와의 상관관계에 대해 조사하였다.

Estimation of Atmospheric Deposition Velocities and Fluxes from Weather and Ambient Pollutant Concentration Conditions : Part I. Application of multi-layer dry deposition model to measurements at north central Florida site

  • Park, Jong-Kil;Eric R. Allen
    • Environmental Sciences Bulletin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 /
    • 제4권1호
    • /
    • pp.31-42
    • /
    • 2000
  • The dry deposition velocities and fluxes of air pollutants such as SO2(g), O3(g), HNO3(g), sub-micron particulates, NO3(s), and SO42-(s) were estimated according to local meteorological elements in the atmospheric boundary layer. The model used for these calculations was the multiple layer resistance model developed by Hicks et al.1). The meteorological data were recorded on an hourly basis from July, 1990 to June, 1991 at the Austin Cary forest site, near Gainesville FL. Weekly integrated samples of ambient dry deposition species were collected at the site using triple-fiter packs. For the study period, the annual average dry deposition velocities at this site were estimated as 0.87$\pm$0.07 cm/s for SO2(g), 0.65$\pm$0.11 cm/s for O3(g), 1.20$\pm$0.14cm/s for HNO3(g), 0.0045$\pm$0.0006 cm/s for sub-micron particulates, and 0.089$\pm$0.014 cm/s for NO3-(s) and SO42-(s). The trends observed in the daily mean deposition velocities were largely seasonal, indicated by larger deposition velocities for the summer season and smaller deposition velocities for the winter season. The monthly and weekly averaged values for the deposition velocities did not show large differences over the year yet did show a tendency of increased deposition velocities in the summer and decreased values in the winter. The annual mean concentrations of the air pollutants obtained by the triple filter pack every 7 days were 3.63$\pm$1.92 $\mu\textrm{g}$/m3 for SO42-, 2.00$\pm$1.22 $\mu\textrm{g}$/m-3 for SO2, 1.30$\pm$0.59 $\mu\textrm{g}$/m-3 for HNO3, and 0.704$\pm$0.419 $\mu\textrm{g}$/m3 for NO3-, respectively. The air pollutant with the largest deposition flux was SO2 followed by HNO3, SO42-(S), and NO3-(S) in order of their magnitude. The sulfur dioxide and NO3- deposition fluxes were higher in the winter than in the summer, and the nitric acid and sulfate deposition fluxes were high during the spring and summer.

  • PDF

폐섬유화증과 당뇨와 대사 증후군의 연관성 연구 (Association of Diabetes Mellitus and Metabolic Syndrome with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 김유진;박정웅;경선영;안창혁;이상표;박혜윤;정만표;정성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7권2호
    • /
    • pp.113-120
    • /
    • 2009
  • Backgrou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by oxidative stress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athogenesis of various chronic diseases such as diabetes mellitus, obesity, hyperlipidemia, hypertension and malignancy that are linked to metabolic syndrome. Oxidative stress has been implicated in the pathogenesis of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PF).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IPF and presenting factors associated with metabolic disorders. Methods: One hundred fourteen patients who met the current consensus of IPF definition were enrolled from March 2000 to April 2006 in Gil Hospital and Samsung Medical Center in Korea. One hundred thirty-four control subjects without pulmonary diseases were selected from subjects who visited Gil hospital for routine medical examinations, including low-dose chest computed tomography from January 2002 to July 2006. Retrospectively, we analyz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blood examinations, and lung function tests from medical records of both groups. Results: IPF patients and control subjects differed in the prevalence of diabetes mellitus as assessed by univariate analysis. Multivariate analysis demonstrated that diabetes mellitus and obesity were associated with IPF. The adjusted odds ratios for diabetes mellitus were 2.733 (95% confidence interval [CI], 1.282~5.827) and 2.001 (95% [CI], 1.063~3.766) for obesity. The remaining factors tested showed no differences between the patient group and the control. Conclusion: Diabetes mellitus and obesity may be associated with IPF development.

남부지역 도시녹지의 난대상록활엽수 동해피해 특성 (Freezing Injury Characteristics of Evergreen Broad-Leaved Trees in Southern Urban Area, Korea)

  • 정수영;이광수;유병오;박용배;주남규;김형호;박준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4호
    • /
    • pp.528-536
    • /
    • 2014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관심이 증대되는 도시 녹지 내 난대상록활엽수의 동해피해 현황을 조사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각 개체목의 주요 부위별 피해빈도를 분석한 결과, 줄기 피해는 동백나무가 59.6%로 가장 낮았으며, 후피향나무가 83.3%로 가장 많은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도는 지역별로 진주지역이 가장 피해가 심하였으며(p<0.001), 식재구역의 경우 생태공원이 가장 높은 피해도를 보였다(p<0.001). 식재 환경별로 수하식재지(p<0.01), 단목식재(p<0.001), 평탄지(p<0.001) 및 유기물이 많은 곳(p<0.05)에서 피해도가 낮았다. 생육인자와 피해도와 간의 상관분석 결과 수고, 수관폭의 상관계수가 각각 -0.432, -0.470으로 피해도와 부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따라서 효율적인 난대상록활엽수의 도시녹지 조성을 위해서는 수종, 입지환경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