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cialized Subject

검색결과 216건 처리시간 0.027초

고등학생의 스마트 기기 활용 실태와 조리교육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대한 인식 비교 연구 (The Recognition Comparison for the Utilization State of Smart Devices and Culinary Education Application Development of High School Students)

  • 강경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1호
    • /
    • pp.619-626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계고와 특성화고의 스마트 기기 활용 실태와 교육용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대한 인식수준을 비교 분석하여 보다 효과적인 조리교육 애플리케이션 개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특성화고 학생이 일반고 학생보다 스마트 기기 활용 학습 방법을 더 선호하고, 하루 사용 시간이 더 많았다. 학습 분야는 일반고는 어학, 특성화고는 자격증에서 높게 나타났다. 스마트 기기 활용 학습의 장점은 자투리시간 활용이었고, 인프라를 가장 필요로 하였다. 가장 기대되는 콘텐츠는 일반고는 동영상 강의, 특성화고는 협력학습이었고, 가장 만족하는 것은 이동성이었다. 조리교육용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대해 특성화고 학생이 더 많은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고, 더 많이 활용할 계획을 갖고 있었으며, 실습 동영상을 더 선호하였다. 희망 요리 영역은 일반고는 간편 요리, 특성화고는 조리기능사요리를 선호하였고, 애플리케이션은 포털 사이트와 학과 홈페이지에 탑재되기를 희망하였다. 그러므로, 조리교육용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 실습 동영상과 조리 레시피가 포함된 시뮬레이션 학습 위주로 제작하고, 평가 기능을 추가하여 학업 성취 수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조리기능사 요리가 포함된 5분 이내의 콘텐츠가 될 수 있도록 제작하며, 각 차시별 과제 목표를 제시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정보를 구체적으로 제공한다. 학습 몰입도를 높이기 위해 영상, 음악, 텍스트가 포함된 콘텐츠를 첨부한다. 수업의 시작과 전개, 정리의 흐름이 있도록 하며, SNS 협력학습 서비스를 활용하여 학습 주체간의 소통이 증진될 수 있도록 한다.

메이크업 일러스트레이션 교육 활성화 방안 (An Activation Plan for Make-up Illustration Education)

  • 김경태;최근희
    • 한국패션뷰티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5-12
    • /
    • 2006
  • Make-up illustration is a field of creativity with visible creative and artistic values; its ultimate functions include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artistic expression, and recording. Establishing the make-up illustration education environment for the twenty-first century, there is an urgent need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professional curricula for basic art education and illustration education. It is extremely important for educators and institutions teaching make-up illustration to recognize that training of highly creative and professional beau designers through systematic educational structures is the ultimate foundation for enhancing competitiveness of the beauty industry despite the present reality that there are insufficient studies and publications on beauty illustration and that there is lack of illustration lecturers and artists equipped with professional beauty knowledge.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search and analyze offering of illustration subjects by 160 beauty-related vocational schools and 16 4-year undergraduate colleges in the make-up field, which is the field with most creative art activities among the three representative beauty majors, namely make-up, hair, and skin. Education of make-up illustration must not remain as simple short-term education. The curricula must be specialized for providing solid foundation of basic majors. In terms of education content, strong emphases must be made for original and creative mark-up designs as well as purposes, functions, and necessity of make-up design and illustration. The curricula must include systematic, logical and artistic elements. Through the course of this study, which researched, analyzed and proposed measures for education content of make-up illustration, it was found that make-up illustration is the most appropriate subject that fulfills both the ultimate education objectives of beauty colleges and the demand by the society for beauty professionals. It is hoped that make-up illustration is emphasized and recognized for its importance and necessity as an education subject so that similar basic major subjects will further be researched and developed for specialized education.

  • PDF

청주지역 중학교 휴게·편의시설의 배치 및 공간구성 연구 (A Study on Arrangement and Space Layout of Resting·Convenience Facility for Middle Schools in Cheongju Region)

  • 이재형;이지영;정진주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21-28
    • /
    • 2010
  • As the issues such as safety, hygiene, convenience of school facility from the perspective of living environment for students and teachers arise as an important task in recent, there is increasing concern for resting convenience facility in school. In recent, the government is planning to change middle high school into the departmental classroom system. The departmental classroom system refers to the school operation system in which the classroom is structured as a subject-specialized classroom and the students move to the classroom according to their class schedules. This departmental classroom system is advantageous in that each subject can be equipped with professional facilities or preparations; the usage rate of the classroom can be enhanced; the common study space or living space can be used substantially; the school can plan and operate its own specialized space. On the contrary, it has the weaknesses that there is need to prepare the home base for the guidance of the class or student guidance; there is need for the facilities including personal lockers. Thus, the departmental classroom system requires the space expansion for home base or the resting convenience space for students and thus has to provide various spaces. Under this background, it is also important to check and plan the resting space for the schools.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and analyze the arrangement location and space Layout of the resting convenience space among school facilities to propose the architectural data for future resting/convenience spaces for the schools.

정책정보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정책정보 자료원의 특성 연구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Policy Information Resources for Activating Policy Information Services)

  • 이명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33-55
    • /
    • 2019
  • 정책연구기관에서 생산되는 지식정보자원의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연구과정의 지식정보자원, 연구결과의 지식정보자원, 연구결과 가공의 지식정보자원으로 구분하고, 13개 정책연구기관 홈페이지에서 지식정보자원의 명칭과 메타데이터 항목과 8개 유형별 특화 지식정보자원의 제공 현황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정책연구기관 홈페이지가 관련분야 지식자원관리시스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 제언으로, 동일한 연구주제에 따른 연구결과물의 종합적 검색시스템 구성, 정책정보의 지식맵 개발, 정책당국자용 연구결과물의 압축 가공, 주제 전문가 데이터베이스 구축, 영상보고서의 제작, 메타데이터 표준의 개발, 주제 분야별 통계 데이터베이스와 지표 등의 개발을 제안하였다.

CAN WE MEASURE A REMOTE SENSING SCIENCE? BIBLIOMETRIC ANALYSIS OF THE LITERATURE, 1975-2005

  • Nabiullin, Ahat A.;Shoom, Mariya Yu.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
    • /
    • pp.340-343
    • /
    • 2006
  • Remote sensing science is a rapidly growing field of Earth sciences. Since emergence and to present day, an extensive literature has evolved which traces the wide application of remote sensing in human activities. According to the ISI Web of Science in the 1975-2005 time span more then 20,000 papers were published on remote sensing. The number of papers grew exponentially with doubling period of about 6 years. Notwithstanding all specialized proceedings, there is a lot more remote sensing papers published in a vast list of source titles (up to 350 proceedings). Only 25% of retrieved papers are published in 10 proceedings which ISI assigns to subject category of remote sensing. In 2005 all these proceedings published 1291 articles and received cca 24,000 citations. Average impact factor of the proceedings is equal to 1.181 and average cited half-life is 7.1. It means that an average paper in remote sensing proceedings is cited more then once per year and half of citations the paper receive within the next 7 years after publication. The time line of remote sensing periodicals issued in 1927-1995 shows an exponential growth with doubling period about 15 years. After 1995 there is a prominent deviation from the exponential curve which shows the demand saturation for specialized proceedings. The features revealed are discussed in terms of dynamics and impact of remote sensing in current Earth sciences development.

  • PDF

음악 전담교사에 의해 실시되는 영유아 음악교육의 실태 및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A Study on Teacher's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 송여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257-274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에서 음악 전담교사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영유아 음악교육의 실태 및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총 173명의 어린이집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기술 통계(descriptive statistic)로 결과를 얻었다. 연구 결과, 1) 실시현황분석에서 실시대상은 2세, 대상인원 10~20명, 소요되는 시간은 20~30분, 음악 실시횟수는 주 1회, 1년 이상 실시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2) 음악 전담교사의 교육계획안과 어린이집 교육계획안의 연계여부에서 잘 연계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담임교사와 협의하여 수정, 보완하는 과정을 거치는 정도가 낮았다. 3) 수업을 위한 교재 준비는 잘 하지만 영유아에게 전달하는 방법은 보통으로 보고 하였으며 창의적인 음악활동점수는 낮았다. 4) 음악 전담 교육 실시 기간 중 교사가 교체 된 경우가 있었다.

수도권 일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구강보건에 관한 지식과 태도, 행동의 상관성 연구 (Correlation study of the oral health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in the high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in some regions of the metropolitan)

  • 김석환;김재홍;김지환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95-503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data that can be utilized in the planning of oral health education plan, by surveying the correlation between oral health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among high grade students elementary school in some regions of the metropolitan. Methods: The subject of this study through the survey of the recognition of the oral health,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548 male and female students who were in the 4th, 5th,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some regions of the metropolitan.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12.0 with t-test, ANOVA, and correlation. Results: Knowledge of oral health was very high. Correct attitudes and positive behavior were indicate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ral health knowledge according to school year and parents' dental condition(P<.05). The student one recording oral health behavior degree where the oral health knowledge is high appears highly, considers statistically the difference which it was visible. Positive correlation was significantly observed among oral health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 Especially, attitudes and toothbrush method were highly correlated(r=.853). Conclusion: Oral health program through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for the development of proper oral health care education programs continue to be made should be considered.

특성화고 고졸청년층의 진로준비 및 진로성숙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 연구 (Study of the effect of career preparation and career maturity on employment among Specialized high school graduates)

  • 이만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4961-4971
    • /
    • 2014
  • 특성화고 졸업자들이 취업을 하는데 중요한 요소는 무엇인가? 특히 특성화고의 각종 취업지원정책과 더불어 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각종 시설 및 교과지원, 직업능력지원, 진로지도, 취업지원 등의 프로그램과 개인이 하는 진로준비행동, 직업탐색행동, 이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증가는 취업에 과연 영향을 미치는 것인가? 이를 위해 먼저 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프로그램 등의 학교지원만족도, 가정에서 실시한 진로준비행동, 취업 전의 예비적 직업탐색행동, 이에 따른 진로성숙도 등을 주요변수로 하여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교지원만족도는 진로성숙도, 가정에서의 진로준비행동 등에 유의미한 영향관계를 보여주고 있고 직접적으로 취업에 영향을 미치거나 간접적으로 취업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다음으로 가정에서의 진로준비행동은 직접적으로 취업에 영향을 주며 예비적 직업탐색행동과 진로성숙도를 높이게 된다. 특히, 가정에서의 진로준비행동은 예비적 직업탐색행동을 통해 취업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성별에 따른 변인간의 영향관계를 본 결과, 학교지원만족도는 취업을 직접적으로 높이고 여성의 경우가 더 높게 나타나, 양질의 학교지원프로그램을 강화하되 특히 여성에 맞는 취업지원프로그램도 개발, 지원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지원만족도가 높으면 여성은 가정에서의 진로준비행동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여성이 가정에서 갖는 진로에 대한 대화 등 진로준비활동은 남성과 달리 취업에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어 여성의 경우 학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지원프로그램들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이 제기되었다.

전기·전자·통신 분야 특성화고등학교의 SWOT 분석을 이용한 학교에서 일터로의 전이 개선 방안 (A Study on Improvement of Specialized High School of Electrical Field-to-Work Transition by SWOT Analysis)

  • 김진권;우상호;이용진;김진수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5-72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전기 전자 통신 분야 특성화고등학교의 학교에서 일터로의 전이를 개선하기 위해 SWOT 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실제적인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국의 12개 특성화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였고, 전문교과 담당교사 19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SO전략, ST전략, WO전략, WT전략으로 도출되었고, 이를 통하여 정부, 시 도교육청, 단위학교별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정부에서는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자를 위한 병역특례 제공, 특성화고등학교장을 위한 CEO연수 강화, 현장실습을 확대하는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 둘째, 시 도교육청에서는 직무연수의 행 재정적 지원 강화, 산업체 초빙교사의 인력풀 제공, 지역 산업체의 인력수요와 지역사회의 요구에 따른 학과 개편을 추진해야 한다. 셋째, 단위 학교에서는 특성화 학과에 부합하는 학교 교육목표 제시, 지역 성장산업과 연계한 전문교과 편성, 이를 위한 인정교과서의 활용과 진로교육을 강화시켜야 한다.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국내 기록관리학 분야 지적구조 분석 (Examining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Records Management & Archival Science in Korea with Text Mining)

  • 이재윤;문주영;김희정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345-372
    • /
    • 2007
  • 이 연구에서는 텍스트 마이닝의 주요 기법인 문헌 클러스터링과 문헌 유사도 네트워크 분석을 적용하여 기록관리학 연구의 지적구조를 분석하였다. 대상 데이터는 2001년부터 2006년까지 발간된 국내 문헌정보학 영역의 대표적인 저널 5종에서 선정된 기록관리학 관련 논문 145건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군집단위 지적구조 분석 결과, 국내에서 수행된 기록관리학 영역의 핵심적인 주제 영역은 <전자기록관리 디지털보존>, <기록관리정책 제도>, <기록물 기술/목록>, <기록관리학 영역/교육>이었으며, 문헌단위 지적구조 분석을 통하여서는 <디지털 아카이빙> 주제 영역이 중심을 이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시기별 분석을 통해서는 <기록정보서비스> 영역이 새롭게 등장하고 있음이 드러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