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cial Libraries

검색결과 198건 처리시간 0.035초

정리업무와 대학도서관의 아웃소싱에 관한 연구 -부산,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Outsourcing of the Technical Services in the Academic Libraries -With Special Regard to Busan and Hyung-nam Area-)

  • 김영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61-394
    • /
    • 2001
  • 이 연구는 대학도서관(전문대학 포함)의 정리업무의 아웃소싱 적용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앞으로 도서관에서 아웃소싱을 적용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과 정책수립에 필요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설문지 기법을 병행하였다. 분석 결과 아웃소싱을 시행한 도서관은 대개 그 결과에 만족했으며, 대상 업무는 아직까지 목록에 집중되고 있었다. 아웃소싱에 도서관 직원이 참여하는 것이 효율이 높았으며, 아웃소싱 업체의 전문성 부족을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앞으로도 아웃소싱을 고려할 수 없는 업무로는 참고업무를 첫째로 꼽았다.

  • PDF

정보기술의 변화에 따른 전문도서관의 과제

  • 김경수
    • 도서관문화
    • /
    • 제34권1호통권278호
    • /
    • pp.15-20
    • /
    • 1993
  • 이 논문은 일본 전문도서관협의회 평년3년도(1991) 전국연구집회에서 기조강연으로 발표된 일본경응의숙대학교 Hosono Kimio 교수의 글을 저자의 승인을 받아 번역한 것으로, 원문 제목은 다양화 여파에 직면한 전문도서관의 과제(Future of special libraries in the deversified environemnt)이다.

  • PDF

시각장애인을 위한 도서관의 구성요소분석 (A Study for the Factors that Affect the Library Services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 전재봉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4권
    • /
    • pp.139-169
    • /
    • 1993
  •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crutinize and analyze various factors in numerous aspects of two different library systems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namely braille library and a special section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in the public library system. The analyses may provide theoretical and conceptual framework on which strategies to enhance services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is to be developed.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seeks (1) to examine a linkage between the degree of maintenance of staffs, collections, and equipment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s of librarians and (2) to come up with more effective mechanisms of welfare services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in each library system. This research is qualitative-descriptive and uses interview method. Fourteen libraries throughout the nation (4 public libraries with a reading room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and 8 braille libraries) which had been in operation more than one year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the research. Findings and results of the analyse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re seems to be general consensus that each of public and braille library has significant but, to a certain extent, different roles to play in order to enhance library services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Recruitment of qualified librarians, increase of the volume of collection, and enlargement of reading room space are noted as immediate concerns for the former. For the latter, it was suggested that increase of the number of staff for publishing, securing more equipments for pulication in braille, and wider scope as well as more variety of publications are the pressing problems at hand. 2. Both public and braille library employ one librarian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who is required to have educational background in library science and special education. In addition, one must have competence in reading braille types. 3. Majority of reading rooms in those libraries is so small in physical aspect that size and number of seats are 66m2 and 15 seats respectively because circulation services are mainly in use due to the problem of inaccessibility which is commonly suffered by the visually handicapped. 4. Library services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are heavily concentrated upon the large urban area. In fact, most of braille libraries are located in Seoul whereas a reading room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in the public library system are exclusively placed in the large cities such as Inchon, Taejon, and Taegu. 5. All of the public library is neither equipped with necessary facilities to publish in braille nor secured supporting instruments which may facilitate library use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On the contrary, most of braille libraries are equipped with arrangements to publish in braille despite supporting devices are gererally lacking. 6. Consequently, provision of services In the public library is largely confined to reading and circulation of materials purchased from braille libraries while major task of braille libraries centers around publication and distributions of the reading materials in braille.

  • PDF

유럽의 국가 도서관 통합 서비스에 대한 연구 (The European Library, a New Model for Collaborations in Digital Libraries)

  • 표순희;이재윤
    • 정보관리연구
    • /
    • 제36권3호
    • /
    • pp.71-95
    • /
    • 2005
  • 상호운용성과 협력은 디지털 도서관에 있어서 필수요소가 되고 있다. 이의 대표적인 사례인 유럽 도서관(TEL)은 유럽 34개 국가 도서관의 통합 서비스를 목적으로 개발된 범 유럽 도서관 서비스로서, 이를 구축하기 위한 프로젝트의 이름이기도 하다. TEL은 각각의 국가 도서관이 가지는 장서의 방대함, 소장본의 문화유산적 가치, 국가기관으로서의 신뢰성, 디지털화를 통한 부가가치 창출에 우선권을 가짐으로써 유럽 각국의 문화적 이질성을 공유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기술적인 면에서 유럽 도서관은 이질적인 장서 및 도서관 간의 상호운용성을 보장하는 발전된 방안을 개척하였다. 이 연구는 유럽 도서관 실현을 위해 진행되었던 출판사와의 관계, 메타데이터, 검색, 운영현황을 고찰함으로써 국가 도서관 간 통합 서비스 구축의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국내 시각장애인도서관의 대체자료 제작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and the Production State of Alternative Materials of Special Libraries for the Visually Disabled in Korea)

  • 오선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15-246
    • /
    • 2017
  • 시각장애인에게 대체자료는 정보접근 및 이용, 지식정보 격차해소, 사회참여 및 통합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체자료는 최근까지도 점자도서관 등의 자발적 노력과 자치단체의 재정지원 하에 개인의 요청이나 담당자의 판단으로 제작되고 있기 때문에 그 범위가 문학자료와 교양 취미도서로 한정되고 중복제작 될 뿐만 아니라 대체포맷 또한 매우 제한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도서관 및 관련 단체의 대체자료 제작사례를 분석하고 시각장애인도서관과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방식을 적용하여 대체자료 제작현황과 인식을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체자료 제작 및 이용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한국 도서관계에서 독자상담과 독서치료의 의미 (Readers' Advisory and Bibliotherapy in Korean Library Community)

  • 이제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5-29
    • /
    • 2009
  • 이 글의 목적은 2009년 현재 한국 도서관계에서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사서 주도의 독서치료 활동이 한국도서관의 새로운 서비스로 자리매김하려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하는데 있다. 논의의 중점은 역사적 관점에서 이론적 뿌리를 찾아가는데 두었으며, 이 과정에서 독서치료에 비해 보편적이지만 도서관적전통과 이론적 기반은 훨씬 튼튼한 독자상담 영역과 비교하면서 논의를 전개하였다. 더불어, 한국 도서관계의 상황을 한국보다 앞서 독서치료를 시행해온 미국 도서관계의 상황에 비교하면서 한국 도서관계에서 벌어지고 있는 독서치료 활동의 특이성과 고유성을 드러내고자 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한국적 현상'이 갖는 의미를 분석하고 발전을 위한 과제에 대해 고민해 보았다.

  • PDF

국립박물관 자료실의 정보서비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formation Services of National Museum Libraries)

  • 조찬식;강성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5-25
    • /
    • 2015
  • 특정분야의 전문정보를 제공하는 전문도서관에 대한 이용과 관심이 증가하면서 정보서비스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박물관에 대한 이용과 관심이 증가하게 되면서 전문정보서비스 기관인 박물관 자료실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론적 배경을 근거로 국립박물관 자료실에서 홈페이지를 통하여 제공되는 정보서비스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고, 조사가 가능한 국립박물관 자료실의 운영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정보서비스의 현황을 조사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국립박물관 자료실의 정보서비스에 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보다 효과적인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국립박물관 자료실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도서관의 특성화 정책과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olicies and Future Directions in Library Specialization)

  • 노영희;신영지;곽우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41-27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특성화 도서관 사례를 조사하고 특성화 정책, 특성화 분야, 특성화 효과 등을 조사하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도서관의 특성화 정책은 국내외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정책이며, 특히 국내의 경우 1998년에도 단기적으로 추진했던 정책이었고, 13개가 특성화도서관으로 지정되어 그 중 9개가 지금까지도 운영되어 오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특성화 유형이나 방향을 보았을 때, 장서 특성화 관련 사례들이 많을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지역대표도서관들도 전체 주제분야를 서비스하되 나름대로 특성화 주제를 지정하여 집중적으로 자료 수집 및 서비스를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향후 특성화 도서관에 배치될 전문인력의 자격, 자질, 역량 등에 대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고 보며, 특히 이미 특성화된 도서관 이용자들의 만족도 조사, 요구사항 등을 파악하여 이후 특성화를 추진하는 도서관들에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근대한국도서관사 연구 - 개화기의 근대도서관 성립과 그 성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History of Korea's Modern Library -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Establishment of Modern Libraries and its Characteristics in the Opening Period. -)

  • 이춘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9권
    • /
    • pp.11-44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modem library which was in a germinal stage at the opening period of Korea.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1. Modern libraries which began to develop during the opening period of Korea were deeply rooted in the spirit of patriotism. After 1905, which was the year of so-called Korean-Japanese Protocal concluded under the Japanese military pressure, the patriotic enlightenment campaign against foreign penetration developed rapidly throughout the country. Accordingly, the movement for establishing modern library was carried out among advanced reformers. 2. The first modern school library was built in the private school of Wonan established by the residents of Wonsan area. They believed that the best way to strengthen the national power to oppose Japanese penetration was to learn the Western culture and technology. 3. The first modern public library named The Central Library of Korea was originated by Oh Ha Young and his comrade in 1906. Included among these promoters of the library were Yun Chi Ho and Min Sang Ho, two persons who had experienced Western culture during their study abroad. 4. Pakmunkuk, the newspaper office of the government, had its own library in 1883 which was the first modernized special library in Korea. 5. Major factors which hindered the rapid growth modern libraries m the opening period are as follows; (1) Lack of people's demand fer the library. (2) Limited scope of the publications(mainly school text-books) (3) Poor financial conditions. 6. Japanese invasion in 1910 had broken the growing roots of modern libraries in formative stage.

  • PDF

Retrieval of Legal Information Through Discovery Layers: A Case Study Related to Indian Law Libraries

  • Kushwah, Shivpal Singh;Singh, Ritu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4권3호
    • /
    • pp.71-83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and evaluate discovery layer search tools for retrieval of legal information in Indian law libraries. This paper covers current practices in legal information retrieval with special reference to Indian academic law libraries, and analyses its importance in the domain of law.Design/Methodology/Approach. A web survey and observational study method are used to collect the data. Data related to the discovery tools were collected using email and further discussion held with the discovery layer/ tool /product developers and their representatives.Findings. Results show that most of the Indian law libraries are subscribing to bundles of legal information resources such as Hein Online, JSTOR, LexisNexis Academic, Manupatra, Westlaw India, SCC web, AIR Online (CDROM), and so on. International legal and academic resources are compatible with discovery tools because they support various standards related to online publishing and dissemination such as OAI/PMH, Open URL, MARC21, and Z39.50, but Indian legal resources such as Manupatra, Air, and SCC are not compatible with the discovery layers. The central index is one of the important components in a discovery search interface, and discovery layer services/tools could be useful for Indian law libraries also if they can include multiple legal and academic resources in their central index. But present practices and observations reveal that discovery layers are not providing facility to cover legal information resources. Therefore, in the present form, discovery tools are not very useful; they are an incomplete and half solution for Indian libraries because all available Indian legal resources available in the law libraries are not covered.Originality/Value. Very limited research or published literature is available in the area of discovery layers and their compatibility with legal information resour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