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cial Education Technology

검색결과 360건 처리시간 0.023초

중요도·실행도 분석에 근거한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학업성취도 평가 영역 고찰 (A study on the evaluation area of academic achievement in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based on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alysis)

  • 신서영;박창언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9호
    • /
    • pp.815-823
    • /
    • 2017
  • 본 연구는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학업성취도 평가 영역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에 근거하여 특수교육 현장의 실제적 평가에 대한 요구를 고찰한 것이다. 중요도-실행도 분석을 위한 평가영역 및 요소는 델파이 분석으로 도출한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대상학생의 4개 생활교육 범주, 22개 내용영역과 국가 교육과정의 7개 교과 범주, 27개 내용영역으로 설정하였다. P광역시에 소재하는 126명의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중요도-실행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범주에서 중요도와 실행도 간에 통계적 유의차가 나타났다. 또 이를 평균점을 기준으로 실행도를 x축, 중요도를 y축으로 하여 산점도로 분석한 결과 교과교육의 일부영역은 중요도와 실행도 모두 낮은 인식수준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의 학업성취도 평가영역 및 평가체제에 대한 재구조화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더 나아가 국가수준 기본교육과정의 교과목 편제 및 내용영역, 내용요소의 양에 대한 심도 깊은 개정 논의가 필요함을 암시한다.

멘토링 수업을 통한 특별보충과정 운영 사례 (A Case Study of Students' Mentoring Activities for the Special-Supplementary Curriculum in Math Classrooms)

  • 최영선;유원석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483-502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학습결손이 심한 학생들에게 학교수업 정규시간에 이해하지 못한 내용을 별도로 보충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주고자 제7차 교육과정에서 도입한 중학교 수학교과 특별보충과정을 동료친구에 의한 멘토링 수업방법으로 운영하여 성과를 얻고 있는 사례를 질적으로 분석하여 멘토링 수업을 특별보충과정 운영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고 이 방법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PDF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반한 2015 특수교육 교육과정 중학교 체육과 성취기준 분석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of 2015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Bloom'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 이옥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9-16
    • /
    • 2022
  • 본 연구는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근거하여 2015 특수교육교육과정 중학교 체육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해당 교육과정 체육과 중학교 공통교육과정과 기본교육과정 성취기준 문장수 184개를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 지식 4개차원과 인지과정 6개차원 총 24개 조합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교육과정 체육과 중학교 성취기준의 경우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초등학교 기본교육과정 분석과 달리 '절차적 지식-적용하다' 조합이 가장 많았으며 학교급별 위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지식과 인지과정 차원이 비교적 다양하게 나타나 장애학생을 위한 체육과 중학교 수업의 중점사항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하위 교육과정중 공통교육과정의 경우 '기억하다'와 같은 인지과정 차원을 제외하고 비교적 다양하게 지식과 인지과정 차원이 나타났으며, '메타인지 지식'과 '창안하다'와 같은 고등 지식 및 인지과정 차원도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하위 교육과정 중 기본교육과정의 경우 '절차적 지식-적용하다' 조합이 60.7%로 과도하게 집중되는 현상이 나타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실업계 고등학교의 통합교과 활용을 위한 컴퓨터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uter Education Curriculums for the Application of Integrated Instruction in Industrial High School)

  • 김창수;김봉제;권오현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3권1호
    • /
    • pp.19-36
    • /
    • 2001
  • The Government revised the sixth education curriculum plan because of rapid growth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variance of computer applicable fields and curriculum plan related intelligence information. In according to this principle, the seventh curriculum plan remodeled not only knowledge cultivation as cultured person but also new curriculum correspond to special character of industrial high schools. The revised main contents are organized practicable subjects considering actual educational environments, deleted duplicated subjects and also added practicable another contents of multimedia and telecommunication fields. In this paper, we study curriculum for integrated computer education of industrial high schools according to the seventh education plan. For this research, it is searched opening classes and completion models of special subjects related computer fields of industrial high schools in Busan, we propose completion model for each school year and new curriculum of industrial high schools. We also recommend another approach methods for training and election of teachers. Therefore, this research can apply to the basis research data for the future curriculum model related computer science of industrial high schools.

  • PDF

중소규모 건설현장을 고려한 특별안전보건교육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Plans for Special Safety & Health Education Considering Small and Medium-sized Construction Sites)

  • 최혁락;오태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473-478
    • /
    • 2023
  • 건설업은 타 산업 대비 재해율이 매우 높으며 안전관리자가 미선임 되는 공사금액 50억 미만의 중소규모의 건설현장의 경우에는 건설업 전체 재해율의 68%를 차지하고 있고 안전관리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어 이에 관한 관심이 필요하다. 따라서, 건설업의 재해율을 상당 부분 줄이기 위해서는 중소규모의 건설현장에 적합한 안전관리 및 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기초안전보건교육 제도와의 통합 운영을 통해 중소규모 건설현장에 적합한 특별안전보건교육 제도를 개선하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선행연구조사와 설문조사 방법을 통해 중소규모의 건설현장의 특별안전보건 교육의 현황 및 개선점, 기초안전보건교육와의 통합에 대한 선호도가 분석되었다.

부산·경남지역 작업환경측정기관의 산업안전보건법 준수 실태 및 준수율 제고를 통한 측정기관 종사자 건강보호 방안 고찰 (A Study on the Compliance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by Busan and Gyungsangnam-do Province Working Environment Measurement Institutions)

  • 이현석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40-450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working environment measurement institutions(WEMIs) are conducting safety and health education, risk assessment, and oversight of special management materials, and whether working environment measurement and special medical examinations are being conducted as prescribed in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OSHA). Methods: In of February 2021, a questionnaire was prepared and distributed to 33 WMEIs registered with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MoEL)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Province. The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then analyzed. Results: The findings show that 5 WEMIs(15%) complied fully with OSHA. Risk assessment was conducted by 13 WMEIs(39%) and safety education by 11 WMEIs(33%). Eighteen WMEIs(55%) conducted working environment measurement, and 29 WMEIs(88%) conducted special medical examinations. The implementation rate of the risk assessment in the health industry(85%) was higher than the one in the special technology industry(11%)(p<0.05). The implementation rate of the special medical examination in the examiners(54%) was not as high as the one in the analysts(91%)(p<0.05). Conclusions: The MoEL needs to check whether basic OSHA requirements are being observed during regular inspections by WEMI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lan to improve the rate of compliance with OSHA regulations.

소형 선박 해기사의 교육 제도에 관한 기초 연구 -법정 교육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ducation System of Seamen's Competency Certificate in Small Ships under the Concerned Laws)

  • 김용복;김종화;김정창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1호
    • /
    • pp.179-202
    • /
    • 201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reduce the number of marine accidents on versatile small ships and to minimize the casualties. The study looked into the compulsory education systems regarding embarkation on small ships such as the Korean Marine Officers Act,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on the education receivers to suggest problems, and drew a conclusion.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eded to give education opportunities in the system by increasing the recipients of the Ships Officers Act, and to simplify the compulsory education by separating similar courses from the education regulated by the Korean Marine Officers Act, and by establishing integrated courses suitable to each size and facility of ships. Second, in cases where the compulsory education courses of different purpose of ships by other legislations are similar,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the inter-education so that corresponding year's education is exempted. Third, by classifying the education ares, the education courses should be based on case studies and the audiovisual or field education that correlates relevant expertise should be managed within a reasonable time frame. Fourth, it is needed to enhance the education effect by converting the regular education courses to practical courses by different ships for safe navigation, and is also needed to review the system so that special courses for safe navigation can be carried out in each region on a regular basis by expanding both human and financial support of special institutions.

북한의 영재교육 제도 고찰 (A Study on the Gifted Education System in North Korea)

  • 강경석
    • 영재교육연구
    • /
    • 제11권3호
    • /
    • pp.221-244
    • /
    • 2001
  • 북한은 최근 ‘강성대국’론이라는 통치이념 아래 영재교육을 과학기술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필수적인 교육정책으로 내세우고 있다. 북한은 과학기술 분야 중에서도 정보통신, 컴퓨터 교육을 강조하면서 영재교육을 통해 현대적 지식과 기술을 겸비한 과학기술 인력을 양성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북한은 이미 1960년부터 음악학교·외국어학교·조형예술학교·무용학교·체육학교 등을 설립하여 다양한 분야에서의 영재교육을 추진하였으며, 1984년부터는 제1고등중학교라는 과학영재학교를 설립하여 운영해 오고 있다. 또한 군사분야의 영재학교로 만경대혁명학원을 설립하였다. 대학에서의 영재교육도 강화하고 있는데 제1고등중학교를 졸업한 학생들을 위하여 김일성종합대학, 김책공업종합대학, 리과대학 등에는 특별 과정을 개설하여 첨단 과학기술 분야에서의 영재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예·체능 전문대학의 경우에는 어릴 때부터 소질 있는 영재아들을 조기에 발굴하여 꾸준한 연계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 PDF

3D프린터를 활용한 교구 개발 프로그램이 예비유아특수교사의 보편적 학습설계 인식 변화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Program Using 3D Printer on the Recognition of Universal Design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 이승훈;주교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113-119
    • /
    • 2018
  • 본 연구는 3D 프린터를 활용한 교구개발 프로그램이 예비유아특수교사의 보편적 학습설계 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은 3D 프린터를 활용한 교구개발 프로그램에 참가한 예비유아특수교사 30명이었으며, 보편적 학습설계에 대한 설문을 중재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에 실시하여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예비특수교사들은 3D 프린터를 활용한 교구 개발 프로그램을 통해 보편적 학습설계의 4개 하위영역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보편적 학습 설계 인식 향상을 위해 3D 프린터를 이용한 직접적 교구개발 경험이 매우 효과적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예비유아교사에게 교구개발 경험은 수업설계 능력 향상을 위해 중요하며, 그들에게 다양한 요구를 지닌 학생 지도를 위하여 최신 기술을 활용한 교구개발 실습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