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wning activity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32초

제주도 주요 하천에 서식하는 은어(Plecoglossus altivelis)의 번식 특성 비교 (Comparison of the Reproductive Characteristics of Sweetfish Plecoglossus altivelis in the Main Streams of Jeju Island)

  • 김한준;박창범;이영돈;최영웅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2권5호
    • /
    • pp.496-510
    • /
    • 2019
  • We investigated the reproductive characteristics of the sweetfish Plecoglossus altivelis, including changes in the gonadosomatic index (GSI), frequency of gonad developmental stages, and abundance of drifting larvae, in three streams (Gangjeong, Yeonoi, and Ongpo) on Jeju Island from May 2004 to December 2005. The GSI values of female P. altivelis in all Jeju streams began to increase in September and reached a maximum in October and November. Peak GSI values in males occurred in Gangjeong from October to November, in Yeonoi from November to January, and in Ongpo from September to October. The gonadal development of P. altivelis was classified into four stages: growth (March to October), maturity (September to December in females; July to December in males), spawning (September to January), and degeneration (October to March in females; after November in males). Drifting larvae were collected from October to Januar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ain spawning activity of P. altivelis in Jeju streams occurs from October to November. The information about the reproductive characteristics of P. altivelis obtained in this study is critical to fishery management for this species.

환경조절에 의한 돌돔 Oplegnathus fasciatus 성 성숙 유도 (Sexual Maturation Inducement of Striped Knife-Jaw, Oplegnathus fasciatus by Manipulating Environmental Condition)

  • 김성연;방인철;김석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6-53
    • /
    • 2000
  • 돌돔 Oplegnathus fasciatus의 인위적인 성 성숙 및 산란 유도를 위한 연구에서, 3년생 돌돔 친어를 대상으로 수온 및 광주기 조절에 의한 생식소 발달을 조직학적으로 조사하였다. 수온 및 광주기 조절구 (Exp. I)는 1996년 12월부터 1997년 2월까지 수온은 $14.5^{\circ}C$에서 $21.0^{\circ}C$ 그리고 광주기는 10 : 30 L에서 15 : 30 L로 증가시킨 후 4월까지 계속 유지시켰다. 수온 조절구 (Exp. II)에서 수온은 Exp. I과 동일하게 조절하였고, 광주기는 3월 초순까지는 자연 광주기로 조절하였다가 이후 장일 광주기 (15 : 30L)로 재조절 하였다. 대조구는 1996년 12월부터 1997년 4월까지 해상 가두리의 자연 조건하에서 사육하였다. 생식소 활성은 1 월부터 Exp. I, II 모두에서 시작되었다. 그리고 성숙과 산란은 Exp. I에서는 수온과 광 주기가 각각 $21.0^{\circ}C$와 15 : 30L까지 도달한 2월부터 시작되었으나, Exp. II는 3월 초순까지도 부분적 성숙만 유도되다 장일 광주기 (15 : 30 L)로 조절한 후 3월 하순 부터는 성숙과 산란이 시작되었다.

  • PDF

Cinnamon Clownfish Amphiprion melanopus의 산란 주기, 산란 행동 및 Clownfish류의 부화장치 개발 (Spawning Periodicity and Behavior of Amphiprion melanopus and Development of Mass Hatching System for Clownfishes)

  • 노경언;노섬;신상옥;장영진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5권2호
    • /
    • pp.133-141
    • /
    • 2011
  • 본 연구는 Amphiprion melanopus의 산란 주기 행동 및 산란 후 습성을 조사하고 이를 기반으로 부화장치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중 수온, 염분 및 광주기가 일정한 인공적인 환경에서 사육된 4쌍의 어미들은 산란주기 및 횟수가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반면, 수정 후 알 관리는 수컷에 의해서 주로 관리가 되었다. 부화일이 가까워질수록 수컷의 eggfanning 횟수가 증가하였고, 특히, 부화 직전에 더욱 격렬한 행동을 나타냈다. 이러한 정보를 기반으로 에어레이션형, 스프레이형, 회전 수류형 등 3종의 부화장치에 대한 clownfish류 4종의 부화율을 조사한 결과, 회전 수류형 시스템의 부화율이 87.3%로 스프레이형(74.4%)과 에어레이션형(60.5%)보다 높았다. 그리고 회전수류형에서 부화판 개수별(2, 3, 5개)에 따른 부화율은 서로 차이가 없었다. 그러므로 부화자어의 사육 크기를 고려하여 수조 크기를 결정하면 많은 개수의 부화판을 넣어 대량으로 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느타리버섯 재배기간중 배지의 성분변화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ompositional Change of Media During Oyster Muchroom Cultivation)

  • 홍재식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7-46
    • /
    • 1979
  • 나왕과 소나무배지에서 느타리버섯 재배기간 중 배지의 성분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종균접종시부터 수확이 끝나는 폐상시까지의 두 가지 배지와 버섯의 여러가지 성분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느타리버섯의 전체수량은 나왕배지에서 6.39kg/$m^2$, 소나무배지에서 6.31kg/$m^2$이었고, 양배지 모두 94% 1, 2주기에서 얻어졌다. 2) 재배기간중 양배지의 회분량은 증가 되었으나 유기물은 감소되었으며 수분은 종균접종시 약 79%이던 것이 균사번식기간 중에 다소 감소되었고 그 이후부터는 큰 변화가 없었다. 3) 두 가지 배지의 전질소는 점차적으로 감소되었고 불용성질소의 절대감소량은 수용성 질소보다 컸으며 아미노태 질소는 계속 증가의 추세를 보이었다. 4) 두 가지 배지에서 pentosan, $\alpha$-cellulose, lig-nin 및 C/N율은 점차적으로 감소되었고 환원당, trehalose, mannitol은 계속 증가의 추세를 보이었다. 5) 두 가지 배지에서 P, K, Mn, Zn은 감소되었고, Mg, Ca, Fe, Cu는 불규칙하게 변화되었다. 6) 재배기간중 CMC 당화활성과 CMC 액화활성은 균사번식후부터 2주기 수확까지는 두 가지 배지에서 점차적으로 증가되었으나 그 이후부터는 감소되었다. Xylanase활성은 1주기보다 2주기에서 급격히 상승되었고 3주기부터는 서서히 감소되었으며, protease 활성은 균사번식 후 최고의 활성도를 보였다가 점차로 감소하였다. 또한 배지의 pH는 재배기간에 걸쳐 다소 감소되었다. 7) 두 가지 배지에서 버섯의 각 주기별 성분변화는 1~3주기까지는 거의 비슷하였으나 4주기에서는 다소 감소의 추세를 보였다.

  • PDF

전남지역에 발생하는 풀무치(Locusta migratoria)의 형태적 특징 및 발생생태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cology of Locusta migratoria (Orthoptera: Acrididae) in Jeonnam Province)

  • 최덕수;마경철;김효정;이진희;오상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421-426
    • /
    • 2017
  • 본 실험은 풀무치의 군집형 대발생 대비 예찰매뉴얼 개발을 위하여 형태적 특징, 발생생태, 먹이선호도, 산란조건 시험을 수행하였다. 전남 무안지역에 자연발생한 풀무치 274마리의 성비는 암컷과 수컷이 18.2 : 81.8로 수컷비율이 높았고, 녹색형이 60.9%, 갈색형이 39.1%로 녹색형이 많았다. 몸길이와 체중이 암컷은 6.5 cm, 2.8 g이고, 수컷은 5.0 cm, 1.5 g으로 암컷이 컸으며, 색깔에 따른 몸 크기는 차이가 없었다. 야외에서 풀무치의 산란활동은 8월 하순부터 10월 하순까지 관찰되었는데, 9월 하순부터 10월 상순에 산란한 알은 이듬해 5월 하순에 부화하였다. 성충의 일일 섭식량은 암컷 3.5 g, 수컷 1.6 g 이었다. 풀무치의 먹이선호도는 옥수수 > 조 > 기장 > 억새 > 벼 순이었으며, 억새와 벼는 좋아하지 않았다. 풀무치가 산란을 가장 선호하는 토양은 순수 모래였으며, 산란유도 후 토양 수분함량이 높을수록 누적부화량이 많았다.

묵납자루 Acheilognathus signifer (Pisces: Acheilognathinae)의 곳체두드럭조개와 작은말조개 내 산란 양상 (Spawning Pattern in the Freshwater Mussel Lamprotula leai and Unio douglasiae sinuolatus of Acheilognathus signifer (Pisces: Acheilognathina))

  • 김형수;양현;고재근;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83-88
    • /
    • 2014
  • 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이며 한국고유종인 묵납자루 Acheilognathus signifer를 대상으로 2011년과 2013년 4~6월 동안 산란숙주로 곳체두드럭조개를 선호하는 충북 괴산군 청천면 달천 일대 (괴산집단)와 작은말조개를 이용하는 충북 단양군 어상천면 가대천 일대(단양집단)에서 조개 내 산란양상을 조사하였다. 괴산집단의 곳체두드럭조개가 단양집단의 작은말조개보다 각장이 크고 묵납자루의 알 및 자어도 더 많이 보유하고 있었다. 또한, 괴산집단 묵납자루의 산란관 길이가 단양집단보다 길었고 인공 채란 수도 단양집단보다 많았다. 곳체두드럭조개는 4장의 반새 모두를 보육낭으로 사용하였고 작은말조개는 2장의 외반새만을 보육낭으로 사용하였다. 괴산집단 묵납자루는 보육낭이 없는 곳체두드럭조개가 보육낭이 있는 곳체두드럭조개보다 알 및 자어 수가 많았으나 단양집단에서는 보육낭이 없는 작은말조개가 보육낭이 있는 작은말조개보다 알 및 자어 수가 적게 보유하는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노래미, Agrammus agrammus의 성성숙에 따른 간세포의 활성변화 (Changes of the Activity of the Liver Cells Accompanied with the Reproductive Cycle of Greenling, Agrammus agrammus(Temminck et Schlegel))

  • 정의영;김형배;이택열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83-91
    • /
    • 1986
  • 1983년 9월부터 1984년 8월까지 부산시 해운대 동백섬의 조간대에서 채집된 노래미. Agrammus agrammus를 대상으로 생식소의 발달과 간의 활성변화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간숙도지수(HSI)의 연간변화를 조사하였고 아울러 생식주기에 따른 간세포의 활성변화를 광학 및 전자현미경적 방법에 의해 조사하였다. 간숙도지수(HSI)의 연간변화는 수컷의 경우 뚜렸하지 않으나 암컷의 경우는 추계에 증가하기 시작하여 난소가 성숙하는 동계에 최대에 이른다. 암컷에 있어서 난모세포들이 난황물질을 축적하는 시기에는 간세포들의 크기는 점차로 커지며 핵과 인도 역시 커진다. 이때에 글리코겐과 지방적들의 양은 점차로 감소되나 호염기성의 핵산물질(RNA)은 증가된다. 또한 간세포질내에는 조면소포체들이 발달 증가하는데 이들은 단백질합성과 vitellogenin 축적에 관여하고 핵근처에 나타나는 골지체는 lipoprotein 합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방난 직전의 암컷의 간세포질내에는 글리코겐과 지방적들이 급격히 감소되나 호염기성물질(RNA)은 세포질의 주변구역에서 특히 고농도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방난 이후에는 이와 반대의 현상이 관찰된다. 수컷의 경우는 성적으로 성숙해 감에 따라 간세포질내에 호염기성물질이 점차로 증가하며, 암컷과 달리 글리코겐과 지방적의 양도 다량으로 관찰된다. 반면, 방정기 이후에는 간세포질내의 호염기성물질은 감소된다.

  • PDF

Artemia 공급 단계에서 은어(Plecoglossus altivelis),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 ), 감성돔(Acanthopagrus schlegeli ) 및 넙치(Paralichthys olivaeus)의 소화효소 활성 (Comparative Study of Digestive Enzyme in the Artemia Feeding Step of the Sweet Fish Plecoglossus altivelis, Rock Fish Sebastes schlegeli, Black Seabream Acanthopagrus schlegeli, an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eus)

  • 이배익;김이청;김근업;권오남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50-55
    • /
    • 2012
  • We compared the nutritional requirements of whole larvae of the black seabream Acanthopagrus schlegeli, sweet fish Plecoglossus altivelis,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eus and rock fish Sebastes schlegeli. The larvae were 20, 30, 14 and 5 DAH (or spawning) of black seabream, sweet fish, olive flounder and rock fish, respectively. Specific ${\alpha}$-amylase activity (mU/mg protein) was highest (8,324.9 mU/mg protein) in rock fish larvae (P<0.05). Specific trypsin-like protease activity was highest (11,330.1 mU/mg protein) in black seabream larvae (P<0.05), which also exhibited the highest activity, 685.5 mU/mg dry weight (P<0.05). The specific activities per mg protein and mg dry weight of black seabream were the highest (187.4 mU/mg protein and 11.3 mU/mg dry weight, respectively) (P<0.05). A/P, P/L and A/L ratios of rock fish were 1.47, 90.3 and 133.1, respectively (P<0.05). We present here basic larval digestive enzymatic nutritional requirement data.

Comparison of Nucleic Acid Levels, Ratio and Ecophysiological Aspects among Three Populations of the Fleshy Prawn Fenneropenaeus chinensis in Korea

  • Kim Su-Kyoung;Kim Jong-Sheek;Kim Bong-Rae;Kim Dae-Hyun;Cho Yeong-Rok;Seo Hyung-Cheul;Lee Youn-Ho;Kim Jong-Hwa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9권1호
    • /
    • pp.7-13
    • /
    • 2006
  • Using biochemical methods, we determined the potential of local female shrimp populations as breeding stock to select the best adult prawns for improving larval production. As condition indexes, we selected total RNA, DNA, their ratio, and trypsin activity. The DNA content in the pleopods of each local population was similar, i.e., between $0.90{\pm}0.06\;and\;1.02{\pm}0.04(SE){\mu}g/mg$. In comparison, the RNA contents differed markedly between $2.00{\pm}0.09$ and $0.96{\pm}0.08\;{\mu}g/mg$. Therefore, the RNA/DNA (R/D) ratio in the pleopod could be used as a condition index because it represents a biochemical characteristic of the population. The mean pleopodal R/D ratio of the Goheung population was the highest at $2.52{\pm}0.19$, which indicated the best condition. Trypsin activity was influenced little by shrimp condition and more by the amount of food ingested. The gonadosomatic index (GSI) and R/D ratio in the gonads provided offsetting information about the instantaneous gonad maturity. The Goheung population had the highest instantaneous GSI, despite some spawning. Based on the condition indexes and time of gonad maturation, the Goheung shrimp population is suitable for use as breeding stock.

The Expression of Leptin, Estrogen Receptors, and Vitellogenin mRNAs in Migrating Female 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The Effects of Hypo-osmotic Environmental Changes

  • Choi, Young Jae;Kim, Na Na;Shin, Hyun Suk;Choi, Cheol You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4호
    • /
    • pp.479-487
    • /
    • 2014
  • Leptin plays an important role in energy homeostasis and reproductive function in fish, especially in reproduction. Migrating fish, such as salmonoids, are affected by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and salinity changes are a particularly important influence on spawning migratio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test whether changes in salinity affect the expression of leptin, estrogen receptors (ERs), and vitellogenin (VTG) in 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The expression and activity of leptin, the expression of ERs and VTG, and the levels of estradiol-$17{\beta}$ and cortisol increased after the fish were transferred to FW, demonstrating that changes in salinity stimulate the HPG axis in migrating female chum salmon. These findings reveal details about the role of elevated leptin levels and sex steroid hormones in stimulating sexual maturation and reproduction in response to salinity changes in chum sal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