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location

검색결과 1,866건 처리시간 0.034초

The Study of Strategies for acquisition of moving object location

  • Min, Kyoung-Wook;Jang, In-Seung;Park, Jong-Hyu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111-116
    • /
    • 2002
  • The types of service using location Information are being various and extending it's domain as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is developing and it's application part is widespread, so it is prospected that LBS (Location-Based Services) will be killer application in wireless internet services. This location information is basic and high value-added information, and this information services make prior GIS (Geography Information System) to be useful to anybody. The acquisition of this location information from moving object is very important part for these LBS. After this, when LBS is familiar to everybody, we can predict that LBS system load is so heavy for the acquisition of so many subscribers and vehicles. Moving object database (MODB) system manages objects like subscribes and vehicles that are moving and have telecommunication terminal checked one's location. MODB is consists of 4 part, moving object location acquisition part, moving object location storage part, moving object query processing part, and moving object application p art. In this MODB system, acquisition of moving object location part must provide guarantee location information as well as reduce telecommunication overhead. In this paper, we study of problems in acquisition a huge number o f moving objects location and design some acquisition strategies to reduce telecommunication overhead. And after implementation these strategies, we estimate performance of this system and quality of information.

  • PDF

공간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에서 순환 속성을 지원하는 공간색인구조의 성능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a Spatial Index Structure Supporting the Circular Property in Spatial Database Systems)

  • 김홍기;선휘준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4권3호
    • /
    • pp.197-204
    • /
    • 2001
  • 공간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동적 및 정적 환경에서 발생하는 공간객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공간색인방법이 필요하다. 그리고 검색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공간국부성을 고려한 공간색인 방법이 요구되며, 공간국부성은 객체들의 위치 속성과 관계가 있다. 기존의 공간색인 방법들에서는 객체가 가질 수 있는 순환적인 위치 속성이 고려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순환 및 선형 도메인들로 구성된 검색공간에서 공간적으로 이웃하는 객체들을 결집시키기 위한 공간색인구조인 CR-트리를 소개한다. 그리고 객체의 순환적인 위치 속성을 고려한 공간색인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적중률 및 버켓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하여 보인다

  • PDF

GIS를 활용한 대전시 주유소 입지와 판매권역 분석 (An application of GIS technique to analyze the sales area and the location of gas stations in Tae-jeon city)

  • 김민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2권2호
    • /
    • pp.211-228
    • /
    • 2004
  • 본 연구는 대전시를 사례로 하여 주유소의 입지적 특성과 판매권역을 분석하기 위해 설문과 면접 조사, 그리고 GIS의 그리드 분석을 활용하였다. 주유소의 입지적 특성을 분석해 본 결과 고수익 입지유형은 인구밀도와 1일 통행량이 일정수준 이상으로 배후 상주인구와 통행인구가 많아 고수익이 예상되었고, 반면에 저수익 입지유형은 토지이용상 녹지와 개발제한구역 등으로 통행량도 낮아서 높은 수익을 기대하기 어려웠다. 대전시 인구수에 기반하여 판매권역의 공간분포 패턴을 살펴본 결과, 주유소 판매권역의 크기는 인구밀도가 조밀한 중심지역에서 인구밀도가 낮은 외곽지역으로 갈수록 확대되었다. 또한 인구수에 대비하여 주유소가 과다한 주유소 과밀지역과 과소 지역이 분포하는 불균형적 주유소 분포패턴을 보여주었다. 입지-배분모델을 적용한 결과 주유소 과밀 지역에서는 주유소의 수가 줄어들었고, 과소한 지역에서는 신규로 주유소가 입지하여 보다 균형적인 분포패턴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석유제품 유통기관별로 최소 배후지 규모를 만족시키면서 균형적 공간 분포패턴을 가질 수 있도록 배치하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두경부 질환의 인터벤션 시술 시 시술자의 피폭선량평가를 위한 공간선량측정에 관한 연구 (Measurement of Spatial Dose Distribution for evaluation operator dose during Neuro-interventional Procedures)

  • 한수철;홍동희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9권3호
    • /
    • pp.323-328
    • /
    • 2016
  • 두경부 질환의 인터벤션 시술 시 시술자가 받는 피폭선량의 평가 및 감소연구를 위한 선행 연구로써, 이온 전리함을 이용하여 인터벤션 시술 시 시술자의 위치하는 공간선량 분포를 측정하였다. Bi-plane 인터벤션 시술 장비를 대상으로 4개 구역(45, 135, 225 그리고 315도)으로 나누어 가상의 시술자가 있다는 가정아래에 시술자의 결정장기위치에서 거리(80, 100, 120, 그리고 140 cm)에 따라 조사선량을 측정하였으며, 방사선발생장치의 위치를 변화시켜 선량변화를 분석하였다. 시술자의 대부분이 위치하는 225도의 구역의 조사선량은 가장 가까운 거리인 80 cm에서 시술자 눈의 높이에서 114.5 mR/h, 가슴의 높이는 143.1 mR/h, 그리고 생식기위치는 147 mR/h이었다. 그리고 방사선 발생장치의 위치를 시술자 가까이로 변화시켰을 경우, 평균적으로 $18.1{\pm}10.5%$의 선량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인터벤션 시술 동안 시술자가 위치할 수 있는 곳의 공간선량분포를 확인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시술자의 방사선 방어에 대하여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부산측후소(釜山測候所)를 중심으로 본 근대기 측후소 건축의 설치과정과 공간적 특성에 관한 고찰 (Study on the Installation proces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Modern Meteorological Observatory Construction, Centering on the Busan Meteorological Observatory)

  • 김영분;김기수
    • 건축역사연구
    • /
    • 제23권2호
    • /
    • pp.39-52
    • /
    • 2014
  • This study researched changes over time regarding the location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modern meteorological stations,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meteorological station construction using the location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Busan Meteorological Station. First, meteorological stations were located in port areas, and then moved to high altitude areas for stable meteorological observation beginning in the transition phase. Here, office buildings and residences were joined, but were separated due to the increase in functions from the stabilization phase. Second, as for spatial composition, in the establishment phase, existing buildings were used, and the scale of newly constructed buildings differed according to time and area. However, after the Japan-Korea Annexation, with increased funds and increased observation equipment, floor plans subdivided by function started to appear. In the stabilization phase, space was subdivided with redundancy due to the increase in functions. In the wartime transition phase, '一' shaped floor plans with redundancy became the norm. Meanwhile, the location of the maritime customs where the first meteorological observations took place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s, and the location and construction of the Busan Temporary Observatory built in the meteorological observation transition phase (1905) were investigated. Also,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Busan Meteorological Observatory, newly constructed before 1934, the location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modern era meteorological observatories were studied.

효율성과 형평성을 고려한 공공시설 입지분석에 관한 연구 - 금산군 문화시설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Location Analysis of Public Service Facilities Considering Spatial Efficiency and Equity)

  • 윤정미;이신훈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10
    • /
    • 2010
  • 본 연구는 공공재 성격을 가지고 있는 공공시설의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로서, 공공시설 입지시 효율성뿐만 아니라 형평성을 고려한 입지선정 모델을 구축하고, 보다 실세계를 반영할 수 있는 공간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충청남도 금산군 문화시설의 최적입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 첫째, 입지결정인자를 선정하기 위하여 전문가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상대적 가중치를 적용하기 위해 AHP를 적용하였다. 둘째,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시가화 구역을 추출함으로써, 실세계를 모델에 반영하였다. 셋째, 공공시설 입지분석을 위해 입지배분모델을 사용하였으며, 분석시 불균등한 인구분포를 모델링에 구현하였다. 이를 통하여 기존의 일반적 입지분석 기법인 그리드 분석과 네트워크 분석 두 기법을 동시에 적용하여, 보다 정확하고 실세계를 반영할 수 있는 공간분석을 하였다.

의미 패턴 추출을 위한 이동 객체의 위치 일반화 (Location Generalization of Moving Objects for the Extraction of Significant Patterns)

  • 이연식;고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451-458
    • /
    • 2011
  • 최적 이동 경로 탐색이나 스케줄링 경로 예측 등 최적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이동 객체의 위치 이력 데이터들에 대한 시공간적 속성들을 고려한 이동 객체들의 의미 있는 이동 패턴 추출 기법이 요구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의미 있는 이동 패턴 추출을 위하여 이동 객체의 연속적 위치 변화를 보다 효과적으로 패턴화하고 2차원 공간 영역으로의 인덱싱을 위한 $R^*$-tree 기반의 이동 객체 위치 속성 일반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위치 일반화 방법은 이동 객체들의 각 공간 영역 데이터를 이용하여 영역 간의 시간 간격에 대한 제약을 만족하는 이동 시퀀스를 생성하며, 생성된 이동 시퀀스들을 통하여 의미 있는 이동 패턴들을 추출한다. 추출된 이동 패턴들은 최적의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이동 객체의 시간 패턴 마이닝이나 객체의 이동 추이 분석 등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위치기반서비스의 법률적 규제범위 분석 (An Analysis of the Regulation Limits for Location Based Services)

  • 진희채;선요섭;남광우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77-182
    • /
    • 2009
  • 위치기반서비스는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하고 광범위한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러한 위치기반 서비스들은 개인 위치정보 보호를 위하여 위치정보보호법에 의한 규제를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치정보보호법에 의한 위치정보의 형태와 의미를 살펴보고, 위치정보 흐름을 분석하여 그 사용방법 및 한계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이를 바탕으로 위치정보가 다양한 분야의 서비스 개발 등에 활용되어 보다 광범위하게 활용되었으면 한다.

  • PDF

서울시 미세먼지 관측망 위치 적정성 평가를 위한 공간정보 활용방안 (Spatial Information Application Case for Appropriate Location Assessment of PM10 Observation Network in Seoul City)

  • 정종철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7권2호
    • /
    • pp.175-184
    • /
    • 2017
  • 최근 미세먼지는 국내에서 중요한 사안으로 되어가고 있다. 왜냐하면 미세먼지는 호흡기 질환, 안과 질환과 같은 수많은 질병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GIS 공간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PM10 관측소의 위치에 대한 적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공간정보의 활용 사례를 제시하였다. 미세먼지 측정소 최적 위치를 평가하기 위한 공간정보 활용사례는 국가 공간자료와 건강위해성과 밀접하게 관련있는 PM10 측정 자료의 최적 위치와 함께 조사되었다. 서울시에는 31개 관측소가 있으며, 이들 측정소에서 관측된 PM10 자료를 가지고 추정된 PM10 농도는 공간보간기법을 적용하여 적정한 측정소 위치평가기법을 제시하는데 적용하였다. 서울시에서 PM10 측정망의 농도지도와 IDW와 크리깅 방법으로 추정된 농도는 강우량, 유동인구, 초등학교 위치정보와 같은 국가공간정보와 비교하였다. 일평균, 계절평균, 연평균 등의 PM10 농도는 현재의 PM10 측정소 위치와 위치적정성을 분석하는데 사용하였다. PM10농도는 2015년 유동인구와 지역 통계분석법에 적용된 계산된 PM10 분포와 비교하였다. 국가공간데이터는 PM10 오염분포와 부가적인 PM10 모니터링 사이트를 분석하는데 적용 가능하였다. 본 연구의 향후 연구과제는 PM10 모니터링 측정소의 새로운 위치를 선정하는데 사용된 국가공간정보의 활용성을 제안하는데 있다.

시각적 공간분할로 본 Dart 위치의 조형적 설계 (The plastic design of dart location from the viewpoint of visual-spatial division)

  • 정옥임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3-40
    • /
    • 1987
  • To study the body trunk basic to Clothing construction, and study the peculiarities of visual spatial division, necessary items are measured indirectly from 216 unmarried women from 19 to 24 years old by a photographic net-work method. In so doing, the problem of Fashion Design in establishing the location of Darts for Basic Dress is not considered. The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1) Indirect measuring method, is obtained approximate to actual size, with an error of .+-. 2.8cm. 2) In the modeling plan of Dart location viewed from the visual-spatial division in Basic Dress, it is concluded that Darts are to be placed at the point of 1/3k+1/5k form the waist. From the aesthetic point of wiew, it is more appealling for darts to be placed at the point of 6cm .+-. 0.6cm right or left of center. 3) From direct measurement dart location can be set based on bust point width, and from indirect measurement, dart location can be set based on waist width.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