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location

검색결과 1,866건 처리시간 0.031초

노선선정을 위한 GSIS와 전문가체계의 연계 (Linkage of GSIS and Expert System for Route Selection)

  • 이형석;배상호;강준묵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37-146
    • /
    • 2001
  • 도로의 노선선정에 필요한 지형공간정보의 분석 및 처리에 따른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지형공간정보체계의 분석기능이 필요하다. 또한 합리적인 노선 선정을 위해서는 각 노선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법으로 전문가의 지식과 경험을 필요로 하는 체계의 연계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형공간정보체계의 위치정보 구축과 분석과정을 통한 노선선정모형을 제시하고 전문가 체계를 연계한 노선선정체계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체계는 세 단계 계층 기반의 객체지향기법을 적용한 도형 사용자 접속 환경의 윈도우용 체계로서 조건에 따른 노선선형을 제시할 수 있도록 사용과 유지관리를 손쉽게 하였다. 지형공간정보체계를 이용하여 노선선정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구축하고 3차원 지형 분석을 실시하여 대상지역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파악하였으며, 영향권 및 중첩 분석과 위치정보연산을 통해 통제지역을 추출하였다. 노선선정체계를 통해 입력된 시종점간에 3개의 비교노선을 선정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개발 체계를 실제 대상지역에 적용하여 구체적인 비교 평가를 시도함으로써 노선선정체계의 적용 가능성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 PDF

GSIS와 인공신경망의 결합에 의한 토지적합성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f Land Suitability Analysis by Integrating GSIS with Artificial Neural Networks)

  • 양옥진;정영동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79-189
    • /
    • 2000
  • 본 연구는 도시토지이용의 적합성분석을 실시하는데 있어 GSIS와 인공신경망의 유기적인 결합을 시도해 보았다. 인공신경망은 학습이라는 과정을 통해 신경망 노드(node)간의 연결강도를 합리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점에서 공간분석에서 요구되는 인자간의 경중률과 신경망의 연결강도는 대체가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두 종류의 신경망을 구성하였다. 1차 신경망은 토지이용별 적합성 분석에 적용했으며, 2차 신경망은 최적의 토지이용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구성하였다 이들 신경망은 C++로 작성된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된 최급강하법에 의한 역전파 알고리즘에 의해 학습을 실시하였으며, 활성화 함수는 시그모이드 함수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현행 용도지역제에서 주거, 상업, 공업, 녹지에 대한 토지이용 적합도면과 4가지 유형의 토지이용에 대한 대상지역의 최적토지이용패턴을 제시한 도면으로서 Arc/Info의 Grid 형식으로 작성하였다. 또한 토지이용별 적합도면상에 나타난 적합지역과 최적토지이용패턴은 위치적인 면과 공간 구성에 있어 실제의 도시토지이용계획의 이론적인 개념에 매우 합치되는 분포형태를 보였다.

  • PDF

전형적인 호우와 연관된 대기순환 (Typical Patterns of the Heavy Rains and their Associated Atmospheric Circulation)

  • Hi-Ryong Byun;Mo-Rang Her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77-184
    • /
    • 1998
  • 1981년부터 1990년까지 10년간 발생한 274개의 호우사례를 분류하여,한반도에서 호우시에 나타나는 강수량의 공간분포를 여섯 종류로 나누고 각각의 정관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첫때, 강하게 발달한 지표 저기압에 연관되어 발생하는 호우보다 상, 하층 제트를 동반한 채 발달중인 저기압에 연관되어 발생하는 호우가 많다. 둘째, 재부분의 호우역은 하층 제트의 위치와 방향 그리고 지표 온나전선의 위치에 연관되어 있다. 셋째, 500hPa 면의 저기압 중심이나 기압골의 위치가 서쪽으로 멀어질수록 한반도에어 호우는 고위도에서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넷째, 한반도에 호우를 초래하는 500hPa의 저기압 중심은 하계몬순의 발달을 따라 서쪽으로 자리잡는 경향이 있으나 해마다 차이가 있다.차이가 있다.

  • PDF

플로팅건축의 유형 및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rchitectural Type and Design Characteristics of Floating Architecture)

  • 박성신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407-414
    • /
    • 2011
  • 플로팅건축물은 최근 지구온난화에 따른 해수면의 상승, 소득 증대 및 관광행태 변화에 따라 급증한 해양 레포츠 수요에 대응하는 효과적인 건축물이다. 국내 플로팅건축은 이미 전문회사들이 등장한 유럽과 비교하여 초보적인 도입기 이다. 플로팅건축은 프로그램, 형태, 건축규모, 층수, 위치, 접근방법, 이동성, 에너지 자립도 등 8가지 기준에 따라 유형 구분이 가능하다. 또한 시공된 주거시설을 대상으로 분석 한 결과 플로팅건축의 디자인 특성은 (1) 2층 규모, (2) 면적 비율이 높은 데크, (3) 장방형의 균형감 있는 매스, (4) 조망 극대화, (5) 친수공간 확보, (6) 공간의 통합적 사용 및 합리적 면적 배분의 평면계획, (7) 수면 반사를 고려한 단면계획, (8) 모듈화 및 유닛화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역사적 시간과 장소의 문화콘텐츠적 성격과 관광자원화 -서울을 사례로- (The Nature of Historical Time and Place as Cultural Contents and Their Potential as Tourist Resources : Focused on the Case of Seoul)

  • 이현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408-420
    • /
    • 2006
  • 이 연구는 역사도시의 시간성과 장소성은 문화콘텐츠적 성격을 지닌다는 시각에서 장소에 내재된 시간성을 관광자윈화하는 방안을 탐색하려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관광에 대한 기존 연구는 관광시설, 관광지 조성, 경제적 효과, 문화정책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 연구에서는 역사도시에 대한 문화적 접근을 통해 시간에 의한 장소의 의미 형성, 장소를 통한 시간성의 탐색을 통해 한성부의 시공간적 특성이 관광자원화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한성부의 주요 장소는 당시의 기능과 문화적 의미에 의해 분류되며 이는 지역구조와 연관된다. 한성부는 자연지표, 조선시대의 문화적 특성에 의해 중심부, 경제의 공간, 주변부로 분리되며 한성부 원경관, 왕조도시적 성격의 반영, 성 안의 주변부, 성곽도시적 특성, 전근대 생활양식을 반영한 지역의 차이에 의해 영역별로 관광자원화 될 수 있는 요소가 다르게 나타난다.

  • PDF

낙동정맥 보전을 위한 마을기반 자원평가 (Evaluating Village-based Resources for Conserving Nakdong-Jeongmaek)

  • 김태수;황신희;조기환;김수진;장갑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7-58
    • /
    • 2020
  •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resources distributed around the Nakdong-Jeongmaek which is the eastern ridge line of the Nakdong-river basin with 437km in length. Here we found and/or searched for thousands of resources within each of 210 villages around the ridge, which were divided into six categories including landscape, natural park, protected area, history, tourism and biodiversity. An inventory was also created using an attribute table in a shape file for identifying the spatial location and property for every resource existing in each village. Each of fields for six-typed resources has 210 records representing each village and resources within it. If a resource exists in a village, '1' is assigned for its existence in its corresponding record. Otherwise, '0' is assigned for its non-existence in the record. The number of '1' on six records for a village is meaning the number of resources contained within a village, which can be a barometer to decide the properties of each village. In this study, we found five core villages containing all kind of resources in it, while 52 villages were found having only a single type of resources within it. The other villages were known to have multiple resources like having two or more ones.

사례 분석을 통한 생태 놀이터의 계획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Planning Properties of Ecological Playground through Case Studies)

  • 김자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70-82
    • /
    • 2016
  • The playgrounds installed in the city try a variety of changes in play equipment more than traditional playgrounds, these playgrounds with formal rides are still different from nature friendly playground. For this reason, when in 2014 the department of environment pushed forward 'Aitteulag' project constructing ecological playground, the department aimed to provide the natural ecological spaces that are insufficient in the city and act as play space for children, leisure and community space for residents. Therefore, after inspecting 10 ecological playgrounds in Europe and Japan, in this study we suggested the construction guidelines of ideal ecological playgroun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se cases. We checked the environment-friendliness of these playgrounds in the 2 fields (playground component, ecological program) based on the ecological playground guidelines presen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e playground components are classified as siting location, spatial configurations, natural elements, play area, amusement facilities, play materials, open spaces, additional facilities. The ecological programs are divided into habitat, species, natural material, five senses.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e results about the reflection of eco-friendly planning factors. In terms of "habitat": bush and shade wood were highest at 95%. In terms of "species": local indigene(100%) and habitat for insects(95%) were higher than others. In terms of "natural material": wood(61.1%) was the highest. In terms of "details of wood(61.1%)": wood fence (95%), exploring wood and using sticks(85%) were higher than others. In terms of "five senses": hearing (32.1%), tactile(26.4%), and visual(23.9%) were in order. Therefore,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the planning factors that should be considered and complemented more in the construction of domestic urban ecological playground in future.

피로 검출을 위한 능동적 얼굴 추적 (Active Facial Tracking for Fatigue Detection)

  • 김태우;강용석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2권3호
    • /
    • pp.53-60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얼굴 특징을 추출하는 새로운 능동적 방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운전자의 피로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얼굴 표정 인식을 위해 얼굴 특징을 추적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대다수의 얼굴 특징 추적 방법은 다양한 조명 조건과 얼굴 움직임, 회전등으로 얼굴의 특징점이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얼굴 특징을 추출하는 새로운 능동적 방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방법은 우선, 능동적 적외선 감지기를 사용하여 다양한 조명 조건하에서 동공을 검출하고, 검출된 동공은 얼굴 움직임을 예측하는데 사용되어진다. 얼굴 움직임에 따라 특징이 국부적으로 부드럽게 변화한다고 할 때, 칼만 필터로 얼굴 특징을 추적할 수 있다. 제한된 동공 위치와 칼만 필터를 동시에 사용함으로 각각의 특징 지점을 정확하게 예상할 수 있었고, Gabor 공간에서 예측 지점에 인접한 지점을 특징으로 추적할 수 있다. 패턴은 검출된 특징에서 공간적 연관성에서 추출한 특징들로 구성된다. 실험을 통하여 다양한 조명과 얼굴 방향, 표정 하에서 제안된 능동적 방법의 얼굴 추적의 실효성을 입증하였다.

  • PDF

피로 검출을 위한 능동적 얼굴 추적 (Active Facial Tracking for Fatigue Detection)

  • 박호식;정연숙;손동주;나상동;배철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4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603-607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얼굴 특징을 추출하는 새로운 능동적 방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운전자의 피로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얼굴 표정 인식을 위해 얼굴 특징을 추적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대다수의 얼굴 특징 추적 방법은 다양한 조명 조건과 얼굴 움직임, 회전등으로 얼굴의 특징점이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얼굴 특징을 추출하는 새로운 능동적 방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방법은 우선, 능동적 적외선 감지기를 사용하여 다양한 조명 조건 하에서 동공을 검출하고, 검출된 동공은 얼굴 움직임을 예측하는데 사용되어진다. 얼굴 움직임에 따라 특징이 국부적으로 부드럽게 변화한다고 할 때, 칼만 필터로 얼굴 특징을 추적할 수 있다. 제한된 동공 위치와 칼만 필터를 동시에 사용함으로 각각의 특징 지점을 정확하게 예상 할 수 있었고, Gabor 공간에서 예측 지점에 인접한 지점을 특징으로 추적할 수 있다. 패턴은 검출된 특징에서 공간적 연관성에서 추출한 특징들로 구성된다. 실험을 통하여 다양한 조명과 얼굴 방향, 표정 하에서 제안된 능동적 방법의 얼굴 추적의 실효성을 입증하였다.

  • PDF

인간의 상향식 시각적 주의 특성에 바탕을 둔 현저한 영역 탐지 (Detecting Salient Regions based on Bottom-up Human Visual Attention Characteristic)

  • 최경주;이일병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1권2호
    • /
    • pp.189-202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영상 입력 장치로 입력되는 영상 내의 수많은 정보 중에서 지각적으로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현저한(salient) 영역만을 탐지해내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인간이 가지고 있는 시각적 주의 기능에 기본 바탕을 두고 있으며, 영상을 구성하고 있는 정보의 특징에 기반을 두고 있다. 가장 먼저 인간의 시각적 주의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는 몇 가지 특징들이 입력되는 영상의 모든 영역에 걸쳐 추출되어 각각의 특징에 해당되는 특징지도들로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각각의 특징지도들을 구성하고 있는 특징 값들은 이들 각각의 국부적인 경쟁력 특성에 의하여 영상의 각 영역에서의 중요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변환되어 중요도지도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중요도지도들은 모두 통합되어 하나의 현저함지도를 생성하게 된다. 현저함지도는 영상 내 각 장소의 현저함 정도를 미리 계산된 특징들의 공간적 중요도 측정치에 따른 스칼라 값으로 표시함으로써 영상 내에서 가장 현저한 영역을 찾을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제안하는 방법에 의해 시스템을 구성하여 실험한 결과, 인간이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주요 영역을 만족스럽게 탐지해 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