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continuity

검색결과 154건 처리시간 0.03초

감염병 전문병원의 병동부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the Ward in Infectious Disease Hospitals)

  • 최광석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7권1호
    • /
    • pp.7-15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architectural planning factors of the ward in infectious disease hospitals, such as functional unit planning, ward configurations, spatial compositions & circulation, and detailed architectural planning. Through these, the facility guidelines of infectious disease hospitals are summarized, focusing on the differences from the wards of non-infectious hospital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literature review of research reports, papers, design cases, and guidelines, based on the experiences of field surveys for infectious disease hospitals. Result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to a few points. 1) Infectious disease hospitals need to establish an operation plan with the concept of continuity of care, as an extension of existing facilities. 2) The types of ward configuration for infectious disease hospitals has many variables, so an appropriate type should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hospital's operating policy. 3) Various spatial composition types of the ward can be planned by the arrangement of traffic cores and areas of patient groups. At this time, the main planning considerations are safety, efficiency, and comfort. 4) As elements of the detailed pla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types & dimensions of patient rooms, the relationships between nursing stations & sub-stations, and supplementations of medical support functions & convenience facilities. Implications: Since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function from the ward of non-infectious hospitals, appropriate facility guidelines for infectious disease hospital are required.

20세기 초 영화에 나타난 근대인의 공간적 실천 분석 연구 (An Analysis of Spactial Practice of Morden People appeared in the early 20th century film)

  • 이영수;노은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6호
    • /
    • pp.124-134
    • /
    • 2011
  • The space has been interpreted from various perspectives, such as hierarchical, cultural, economic, political factors, etc. So we can see the space as a social existence. Space is now being formed through the dialectical relations of these elements.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started to research the spatial practice of morden people through the case in the early 20th century film. With the discourse of Henri Lefebvre and David Harvey, and Michel de Certeau's theory, this research tried to find the mechanisms of spatial practice. Also Benjamin is a philosopher who intervenes the relationship between modernity and cultural production and his way of reading cultural phenomena seems to serve as the useful methodology of cultural studies. Modern people were individual unawared of the era, awakened to the ego. They were wandering the room and the street, private and public places. They were city dwellers walking around, collecting goods, and living of everyday life. Spatial practice is a fixed activity and have continuity. spatial practice appeared in the early 20th century film is at the intersection of social practices and the practice of everyday life. Social practices are a fixed practice and continuous practice. The practices of everyday life are nomadic practice and amusable practice. Modern people accommodate and adapt to a given space of the city through fixed practice. They realizes the access and the distance from spaces through continuous practice. They select and approved the spaces through nomadic practice. And they possess exclusively and utilize the spaces through amusable practice. Through These research spatial practices, it could easily foun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modern space on the early 20th century and contemporary space of 21st century. True modern is not the past but the present.

공간적 상관도 측정을 위한 변이도 분석 : 태백지역의 지화학자료를 이용한 사례 연구 (Variogram Analysis for Spatial Similarity Measures : A Case Study using Geochemical Data Sets in the Taebaek Area)

  • 이기원;권병두
    • 자원환경지질
    • /
    • 제28권3호
    • /
    • pp.271-277
    • /
    • 1995
  • 공간통계를 바탕으로 한 지질정보의 정량적 처리및 분석을 위한 여러 응용방법들이 최근에 광물탐사문제와 관련되어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화학자료와 관련된 이상점판단(outlier detection)과 방향성 상호 변이도 측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고, 아울러 태백지역내의 광물탐사를 위한 지화학자료에 에 대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상점판단방법으로는 이동창(moving window)통계법이 이용되었다. 한편 상호 변이도는 공간적 연속성 측정을 위한 통계적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이 개념을 자료의 공간적 상관도 문제로 확장하였다. 한편 다섯가지 행태의 변이도 표현식을 이상점처리전후의 결과와 연관하여 비교하였다. 이러한 비교연구의 결과로 이 두가지 공간 통계법에 의한 자료처리과정및 분석방법은 실제의 결정판단단계에서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광역적 광물탐사에서 유용한 해석보조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미술관 전시벽 구성과 시각적 공간구조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개실형 미술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useum Display Wall Composition and the Visual Spatial Configuration - Focusing on the room to room art museum -)

  • 이종숙;임채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63-70
    • /
    • 2007
  • A relationship between the museum display wall composition and the visual spatial configuration is investigated in this study. From the previous research, existing types are classified in order to define the exhibition space of room to room. Based on the classification, an open room to room of art museum is defined as a room to room of museum, and the plane of museums is investigated. With the museums under this study, the wall of a room to room exhibition space as well as the visual spatial configuration are analyzed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an opening, centering on the composition of unit space. In addition, two types of spatial composition are compared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opening. One type of spatial composition is lied on a straight line with visual continuity, and the visual line is found to be simple. Whereas, the other type has an invisible configuration between spaces due to a criss-crossed opening, so the space is perceived to be closed and disconnected. When comparing these two types, the advantage and disadvantage of each space are compared. As a result, a similar type and size of unit space are derived. In addition, the ratio of the opening compared to the total wall was found to be uniform, and a distribution of the opening and walls were found.

창덕궁 내전 일곽 공사로 보는 일제강점기 궁궐 별전 (The Examination of the Palace Byeoljeon, the King's non-ceremonial space, during Japanese Occupation Period to look into inner palace construction of Changdeokgung Palace)

  • 김지현
    • 건축역사연구
    • /
    • 제29권2호
    • /
    • pp.63-74
    • /
    • 2020
  • The palace byeoljeon(別殿), the King's non-ceremonial space, were created as a space for the king to comfortably use and for the king to do what he wanted to do. The byeoljeon housed various types of spaces and were flexible in that they could be repurposed to meet the demands of the times. Nevertheless, their characteristic as palatial building created for the King's convenience has remained unchanged.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process by which such royal spaces were created by focusing on the reconstruction of the Changdeokgung Huijeongdang during Japanese occupation period, with a view to continuity and the transformation process. The reconstruction of Huijeongdang at the time may be considered along internal and external characteristics. Internally, Huijeongdang connected the symbolism of the king's space as the palace byeoljeon. Externally, Huijeongdang is characterized by its mixture of traditional and western style, where western style structures were housed within traditional buildings. The plans for the block of Huijeongdang also included the coexistence of traditional building, western style building, and mixture of traditional and western style building. This reflects the characteristic continuity of the byeoljeon as well as the architectural techniques of the time, manifested together within a specific spatial block.

기하형태의 연속적인 조형성 -분자구조를 중심으로- (Continuous Formative Beauty of Geometrical Shapes)

  • 김민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172-179
    • /
    • 2010
  • 물질에 대한 본질과 그 안에 내재된 시지각적 구조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시작된 본 작품연구의 목적은 분자의 형태상 특징인 원, 선과 같은 단순기하형을 시공간에서 입체화시켜 이들 간의 결합이 갖은 조형적 연속성을 표현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현대미술에서의 기하형태는 무엇이며, 분자구조의 구조적 결합과 상징성이 어떠하였는가를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고찰을 바탕으로 분자구조의 단순기하형태를 입체화시켜 단위체간의 반복적인 결합에서 오는 연속적인 조형성을 표출하였다. 작업의 유형은 분자모형과 전자현미경상에서 보이는 분자를 선을 매개체로 사용하여 단위체를 결합하는 방법과 단위체간을 직접 결합하는 방법으로 신체장신구와 금속조형물을 표현해 보았다. 결국은 단위체간의 직접결합을 통한 "분할과 복제의 연속성" 및 구와 곡선과 같은 분자이미지를 입체화 시킨 단순기하형들의 결합에서 오는 "순환적 연속성"이 공간적 구성에서 발생하는 조형화를 시도해 보았다.

녹지축의 생태적 기능 강화를 위한 도시녹지 연결경로 도출 연구 - 수원시 대상 - (Research on the Urban Green Space Connection Paths forthe Enhancement of Ecological Function - Focused on Suwon -)

  • 최재연;김수련;박찬;송원경;정경민;김은영
    • 환경영향평가
    • /
    • 제31권4호
    • /
    • pp.201-213
    • /
    • 2022
  • 도시의 환경문제 해결과 관리방안으로 자연기반해법(Nature based Solution, NbS)이 대두되면서 도시지역의 녹지 확보 및 관리가 강조되고 있다. 개발 압력이 높은 도시지역은 녹지의 파편화 및 단절로 도시녹지의 연속성 확보를 위한 계획적 접근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행 제도에서 녹지축은 구체적인 녹지와 연결이 필요한 경로의 위치를 제공하지 못하고, 개별 녹지조성사업과 연계되지 못해 연속성 관점에서 일관된 녹지관리 체계로 활용성이 낮다. 따라서 본 연구는 NDMI (Normalized Difference Moisture Index), 불투수율, 녹지조성비용의 정보를 기반으로 연결경로를 도출할 수 있는 방안을 구상하고 수원시에 시범 적용하여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통해 기존의 녹지축보다 비용효율성이 높은 구체적인 연결경로의 도출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계획적 활용 방안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지형요소를 활용한 전라도 논매기소리의 공간분포와 전파에 관한 연구: 아리시고나 류, 산아지 곡, 방게 류를 사례로 (A Study on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Diffusion of Rice-paddy Weeding Songs Using the Geomorphic Elements in Jeolla-do: A Case of Arishigona, Sanaji and Bang-gae)

  • 윤혜연;장동호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71-85
    • /
    • 2021
  • In this study, the effect on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diffusion of Arishigona, Sanaji and Bang-gae appearing in Jeolla-do was analyzed using geomorphic elements. Based on result, the AriShigona is distributed in the western plains of the Yeongsan River basin and around from the Noryeong mountain range to Mudeung mountain range, the Sanaji is mainly diffused in the middle and upper parts of the Seomjin River and the lower parts of the Mangyeong River, Dongjin River and the Boseong River basin, and the Bang-gae is found to be distributed in the Seomjin River and the upper part of the Yeongsan River basin. Although the cultural centers of these Rice-paddy Weeding Songs are different but they appear to have a similar distribution pattern in Jeolla-do. This is used as a diffusion path of cultural elements by crossing lineaments in various directions and serving bridge role at the same time. However, in the region where the lineaments do not intersect, the continuity of Rice-paddy Weeding Songs are relatively low, which are considered to be reflected in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propagation of the sound due to the influence of the drain network rather than the linea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basic data for spatial distribution of Rice-paddy Weeding Songs, and regionality and cultural division by diffusion characteristics.

GOES-9과 MTSAT-1R 위성 간의 일사량 산출의 연속성과 일관성 확보를 위한 구름 감쇠 계수의 조정 (An Adjustment of Cloud Factors for Continuity and Consistency of Insolation Estimations between GOES-9 and MTSAT-1R)

  • 김인환;한경수;염종민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69-77
    • /
    • 2012
  • 표면도달일사량은 전 지구시스템에 대한 기후 연구에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다. 기후 연구에서는 동일 지역을 관측하는 두 개 혹은 그 이상의 위성자료로부터 넓은 공간적 범위를 가지는 장기간의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시간적 연속성을 가지는 서로 다른 위성으로부터 산출 된 표면도달일사량의 연속성과 일관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물리적 모델을 이용하여 GOES-9과 MTSAT-1R 위성의 중복 관측 기간 동안의 표면도달일사량을 산출하고, 두 위성의 채널자료와 실측치 비교를 통해 위성간의 연속성과 일관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두 위성의 적외 채널 온도는 매우 잘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 RMSE=5.595 Kelvin; Bias=2.065 Kelvin. 반면에, 가시채널은 다른 값의 분포를 보였지만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두 위성으로부터 산출 된 표면도달일사량은 실측치와 일치성이 낮았다. 표면도달일사량의 품질 향상을 위해 구름감쇠계수 조정을 통해 표면도달일사량 산출물을 재생산하였다. 그리고 채널 자료의 비교 분석을 통해 GOES-9 위성을 위한 구름감쇠계수를 생산하였다. 그 결과, 구름 효과를 고려한 GOES-9의 표면도달일사량 산출물은 MTSAT-1R과 실측치에 대해 매우 높은 일치성을 보였다 : RMSE=$83.439W\;m^{-2}$; Bias=$27.296W\;m^{-2}$. 구름감쇠계수 조정을 통해 향상 된 정확도는 두 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산출 된 표면도달일사량 산출물의 연속성과 일관성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시 정체성과 시공간 구조의 관계 -장률(張律)의 영화 <군산: 거위를 노래하다>를 중심으로 (Relationship between Urban Identity and Time and Space - Focusing on , Zhang Lu's Film)

  • 조명기
    • 대중서사연구
    • /
    • 제27권3호
    • /
    • pp.151-191
    • /
    • 2021
  • 이 글은, 영화 <군산>이 재현하는 군산 도시 정체성의 내용은 무엇이며 구성 양상은 어떠한지, 그리고 이 도시 정체성 내용과 구성양상이 영화 서사의 구조와 어떻게 호응하는지를 살핀다. <군산>은 군산과 서울을 즉자적인 도시로 전제하는 동시에 상호 영향 관계에 의해 끊임없이 재구성되는 도시로 엮어낸다. 영화 서사 시간이 종료되는 서울은 다시 군산 여행을 위한 출발지로 전환되는데, 관객이 사후적으로 회귀하는 두 곳 즉 영화 서사 시간의 시작 지점 그리고 타이틀이 제시되는 지점이다. 이 영화의 여로형 서사 구조는 2차원의 평면적 원점회귀라기보다는 3차원의 입체적 나선형이다. <군산>은 이 나선형의 시공간적 구조 위에서 두 도시의 성격 그리고 도시 정체성의 선험성에 대해 형상화한다. 서울은 거대서사·집단기억과 미시서사·개인기억의 관계를 불가지한 것으로 단절시키는 도시, 관계·기억을 단절시키고 기억의 지속을 부정하는 도시다. 반면, 군산은 거대서사·집단기억과 미시 서사·개인기억이 공존하는 도시며, 단절의식·고립의식이 치유되고 상호 위로받는 도시다. 동시에 영화는 군산을 서울의 잉여, 대타적 공간으로 재현하는 한편 군산의 정체성을 확고하고 즉자적인 것으로도 그린다. 영화는 스토리와 서사구성의 상응을 통해, 군산과 서울을 역사적 단절과 지속이 교호하는 장(場), 상호대타적인 공간인 동시에 완고한 고유성의 공간으로 이해한다. 이 글은, 도시 정체성을 구성하는 시공간적 관계성과 영화 서사의 구조가 호응하는 양상을 살폈다는 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