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Regression Analysis

검색결과 471건 처리시간 0.029초

Selection of Spatial Regression Model Using Point Pattern Analysis

  • Shin, Hyun Su;Lee, Sang-Kyeong;Lee, Byoungkil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25-231
    • /
    • 2014
  • When a spatial regression model that uses kernel density values as a dependent variable is applied to retail business data, a unique model cannot be selected because kernel density values change following kernel bandwidths. To overcome this problem, this paper suggests how to use the point pattern analysis, especially the L-index to select a unique spatial regression model. In this study, kernel density values of retail business are computed by the bandwidth, the distance of the maximum L-index and used as the dependent variable of spatial regression model. To test this procedure, we apply it to meeting room business data in Seoul, Korea. As a result, a spatial error model (SEM) is selected between two popular spatial regression models, a spatial lag model and a spatial error model. Also, a unique SEM based on the real distribution of retail business is selected. We confirm that there is a trade-off between the goodness of fit of the SEM and the real distribution of meeting room business over the bandwidth of maximum L-index.

A Comparative Analysis of Landslide Susceptibility Assessment by Using Global and Spatial Regression Methods in Inje Area, Korea

  • Park, Soyoung;Kim, Jinsoo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579-587
    • /
    • 2015
  • Landslides are major natural geological hazards that result in a large amount of property damage each year, with both direct and indirect costs. Many researchers have produced landslide susceptibility maps using various techniques over the last few decades. This paper presents the landslide susceptibility results from the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model using remote sensing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data for landslide susceptibility in the Inje area of South Korea. Landslide locations were identified from aerial photographs. The eleven landslide-related factors were calculated and extracted from the spatial database and used to analyze landslide susceptibility. Compared with the global logistic regression model, the Akaike Information Criteria was improved by 109.12, the adjusted R-squared was improved from 0.165 to 0.304, and the Moran’s I index of this analysis was improved from 0.4258 to 0.0553. The comparisons of susceptibility obtained from the models show that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has higher predictive performance.

A Spatial Regression for Hospital Data

  • Choi, Yong-Seok;Kang, Chang-Wan;Choi, Seung-Bae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7권4호
    • /
    • pp.1271-1278
    • /
    • 2006
  • Recently, a profit analysis in hospital management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marketing concept. When spatial variability is presented, we must analyze the hospital data with spatial statistical methods. In this study, we present a regression model using spatial covariance for adjustment. And we compare the nonspatial model with spatial model.

  • PDF

개선된 지역수요예측 알고리즘 (An Improved Spatial Electric Load Forecasting Algorithm)

  • 남봉우;송경빈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97-399
    • /
    • 2007
  • This paper pres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data update to improve present spatial electric load forecasting algorithm of the DISPLAN. Spatial electric load forecasting considers a local economy, the number of local population and load characteristics. A Case study is performed for Jeon-Ju and analyzes a trend of the spatial load for the future 20 years. The forecasted information can contribute to an asset management of distribution systems.

  • PDF

기후요소와 지형 공간요소를 이용한 일사량 모델링 (Insolation Modeling using Climate and Geo-Spatial Elements)

  • 김병우;강인준;한기봉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79-86
    • /
    • 2010
  • 본 연구는 태양광 에너지 발전 시설의 효율 증대와 입지 선정을 위한 태양광 역추적에 관한 연구이다. 기후 및 지형요소들을 가지고 소규모 지역의 태양광을 역추적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6가지 기후요소들에 대해 상관 분석을 수행, 상관계수 및 유의확률을 확인하여 상관관계가 없다고 판단된 풍속과 구름의 양은 제외하였다. 나머지 기후요소 및 지형요소를 가지고 각각 회귀분석을 수행해본 결과, 일사량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요소로는 일조량과 지형의 고도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정확한 일사량 모델링을 위해 기후 및 지형요소를 가지고 일사량 모델링을 수행한 결과, 기후요소가 지형요소에 비해 더 큰 계수 값을 가졌다. 이는 기후요소가 지형요소에 비해 더 큰 영향력을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시설물 유형에 따른 화재 발생의 공간 계량 분석 (Spatial Econometrics Analysis of Fire Occurrence According to Type of Facilities)

  • 서민송;유환희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29-141
    • /
    • 2019
  • 최근 급속도로 성장하는 도시에는 많은 인구와 시설물들이 증가하고 집중이 심화함에 따라 재해와 재난에 취약함을 나타낸다. 특히, 화재는 우리나라의 도시 내에서 교통사고와 더불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재해 중 하나로 많은 인명 및 재산피해를 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화재 발생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진주시를 대상으로 2007년부터 2017년까지 10년간 화재데이터를 취득하였다. 먼저 공간 자기 상관성 분석을 시행하여 진주시 화재 발생의 공간 분포 패턴을 파악한 후, 상관관계 및 다중 회귀 분석을 통해 인문 사회 요인과 물리적 요인 간의 공간적 종속성 및 비정상성을 확인하였고 이를 토대로 화재 발생 위치와 각 요인별 위치를 고려하여 공간 가중치를 활용한 OLS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진주시 화재 발생의 LISA분석 결과 화재 발생 빈도가 높은 용도지역은 중심상업지역, 공업지역, 주거지역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 사회적 변수 및 물리적 변수를 통합하여 다중회귀분석의 최종 모형으로 도출된 요인들을 중심으로 공간가중치를 적용하여 OLS회귀모형을 분석한 결과 제2종 근린생활시설이 화재 발생과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다음으로 단독주택, 판매시설, 제1종 근린생활시설, 가구수의 순으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도시 지역의 시설물별 화재 발생 요인을 분석하고 화재 안전대책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공간 자료를 이용한 대기오염이 순환기계 건강에 미치는 영향 분석 (A Study on the effects of air pollution on circulatory health using spatial data)

  • 박진옥;최일수;나명환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677-688
    • /
    • 2016
  • Purpose: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effects of circulatory diseases mortality in South Korea 2005-2013 using the air pollution index, Methods: We cluster the region of high risk mortality by SaTScan$^{TM}$9.3.1 and compare this result with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air pollution. We use the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GWR) to consider the spatial heterogeneity of data collected by administrative district in order to estimate the model. As GWR is spatial analysis techniques utilizing the spatial information, regression model estimated for each region on the assumption that regression coefficients are different by region. Results: As a result of estimating model of the collected air pollution index, circulatory diseases mortality data combined with the spatial information, GWR was found to solve the problem of spatial autocorrelation and increase the fit of the model than OLS regression model. Conclusion: GWR is used to select the air pollution affecting the disease each year, the K-means cluster analysis discov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tribution of air pollution by region.

당뇨병 유병률의 지역 간 변이와 지역 특성과의 관계 분석 (Spatial Distribution of Diabetes Prevalence Rates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 조은경;서은원;이광수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0-38
    • /
    • 2016
  • Background: This study purpo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distribution of Diabetes prevalence rates and regional variables. Methods: The unit of analysis was administrative districts of city gun gu. Dependent variable was the age- and sex- adjusted diabetes prevalence rates and regional variables were selected to represent three aspects: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factor, health and medical factor, and physical environment factor. Along with the traditional ordinary least square (OLS) regression analysis,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GWR) was applied for the spatial analysis. Results: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age- and sex-adjusted diabetes prevalence rates were varied depending on regions. OLS regression showed that diabetes prevalence rates ha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percent of population over age 65 and financial independence rate. In GWR, the effects of regional variables were not consistent. These results provide information to health policy makers. Conclusion: Regional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in allocating health resources and developing health related programs for the regional disease management.

공간회귀분석을 이용한 부산지역 공공도서관 접근성 영향 요인 분석 (Spatial Regressio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Spatial Accessibility of the Public Libraries in Busan)

  • 구본진;장덕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67-87
    • /
    • 2021
  • 공공도서관 접근성은 도서관의 이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며, 접근성의 불균형적인 분포는 도서관 서비스의 공평한 제공을 제한하는 결정적인 요인이 된다. 이러한 관점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의 공간적 접근성을 분석하고, 공간회귀분석을 통해 공공도서관의 접근성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부산지역 공공도서관 접근성은 지역별로 편차가 크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공공도서관이 인구수나 대중교통 이용과 무관하게 입지하고 있을 뿐 아니라 사회적 형평성 측면에서도 공공도서관 입지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부산지역 공공도서관 접근성 현황을 이해하고, 접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할 수 있으며, 향후 공공도서관 접근성 격차 완화 및 신규 입지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공간자료 주성분분석 (Principal component regression for spatial data)

  • 임예지
    • 응용통계연구
    • /
    • 제30권3호
    • /
    • pp.311-321
    • /
    • 2017
  • 주성분 분석은 통계학 뿐만 아니라 기상학에서 널리 사용되는 방법론이며, 고차원 자료에 대한 차원축소 역할 뿐만아니라 기상자료에서의 의미있는 패턴을 찾아내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론이다. 또한 주성분분석에 기반을 둔 주성분 회귀분석 방법론은 기후예측이 가능하므로 미래 시점의 기후값 예측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Wang과 Huang (2016) 논문에서 제안한 제한된 공간 주성분 분석을 기반으로 한 주성분 회귀분석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이를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확인하였고, 실제 자료인 동아시아 지역 온도예측에 적용하여 기존의 주성분 회귀분석 예측 값에 비해 예측력이 높아짐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