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Material

검색결과 774건 처리시간 0.037초

강 압축부재의 단면 항복에 따른 접선탄성계수 고찰 (A Review on the Tangent Modulus of Elasticity Associated With Partially Yielded Section of Steel Member Under Axially Compressed)

  • 시상광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127-134
    • /
    • 2018
  • This study suggests the tangent modulus $E_t$ associated with partially yielded section of steel member under axially compressed. The provisions for column strength does not provide a information about failure mode of structural system. So, designers can not evaluate that a failure comes from member buckling or material yielding. The material of the axially compressed column under inelastic behavior reaches yielding point before the axial force renders the column bent. If axial members yields not by buckling effect but gradually yielding effect of material, the design code should accept related tangent modulus Et which is based on gradual yielding effect of material. This study provides the new effective tangent modulus $E_t$ derived in the case that residual stress is 30 percent and 50 percent of yielding stress respectively. The study considers idealized I section of steel which ignores web and general I section of steel with web respectively and makes conclude that tangent modulus $E_t$ with idealized I section of steel is rational.

미국 플로리다 지역의 폴 루돌프 주택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aul Rudolph's Florida house)

  • 최성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360-371
    • /
    • 2016
  • 폴 루돌프의 플로리다 지역 주택은 2차 세계대전 이후 형식적인 근대 건축에서 탈피한 다양한 공간 구성, 지역 재료 및 구법의 사용으로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사례이다. 플로리다 주택 작품은 시대적, 지역적인 특성을 기반으로 하여 공간의 확장 및 연결 그리고 지역 환경을 고려한 재료 및 구법, 구조 시스템을 표현해야 한다는 설계 개념이 반영된 건축이다. 플로리다 주택의 특성은 공간 확장 및 외부 공간 연결 기법으로 목재 구조체를 중심으로 한 공간 확장과 가변적 공간구현 그리고 외부공간의 적극적인 연계성을 유도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스크린 지붕, 오픈 지붕, 내부 파티오)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지역 재료 사용 그리고 지역 환경에 적합한 디테일 및 구법 사용으로 플로리다 지역의 석회암과 사이프러스 목재를 주된 재료로 사용하고, 고온 다습한 기후에 적합한 디테일과 지역 건설 환경을 고려한 구법을 사용하였다. 폴 루돌프의 플로리다 주택 연구를 통하여 현대 건축의 지역성을 고려한 계획에 구체적으로 적용 가능한 공간적, 기술적 적용 방법에 대한 모범사례로서 제안하는데 그 의미를 찾고자 한다.

기능경사재료 변단면 보에서 축방향 탄성계수의 공간적 불확실성에 의한 응답변화도 평가 (Evaluation of Response Variability of Functionally Graded Material Beam with Varying Sectional Area due to Spatial Randomness in Elastic Modulus along Axial Direction)

  • 노혁천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3호
    • /
    • pp.199-206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변단면 기능경사재료 보에서 중립면 탄성계수가 축방향을 따라 공간적 불확실성을 가질 경우에 대한 구조 응답변화도 산정을 위한 정식화에 대해 논한다. 기능경사재료는 두 이질재료의 체적비가 두께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변하며 고체화되는 과정으로 제작되는 재료로서 온도 및 응력 등에서 연속적인 변화를 가능하게 하여, 전통 복합재료에서 나타나는 층분리나 균열 발생 등이 제거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론적으로 설정된 기능경사에 맞는 재료의 제작이 어려우며, 이에 따라 내재적인 불확실성을 가지고 있다. 이를 모사하기 위하여 중립면 탄성계수에서의 불확실성을 추계장으로 모델링하고, 추계적분에 의한 확률변수를 도입하여, 변위의 1, 2차모멘트를 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안된 해석 방법은 스펙트럼모사법을 적용한 몬테카를로 해석으로 검증하였다. 추계장의 상관관계거리에 따른 분산계수의 변화, 재료지수 및 기하인수가 변위의 분산계수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찰하였고, 몬테카를로 해석 대비 제안 해석법의 효율성에 대해서도 논하였다.

시스템다이나믹스를 이용한 공간정보산업의 평가예측 (Evaluation of Spatial Information Industry Using System Dynamics)

  • 최기열;조원우;김감래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15-522
    • /
    • 2010
  • 국토의 효율적인 관리와 이용을 위해서는 자료의 최신성과 정확성뿐만 아니라, 정보에 대한 정확한 평가와 이에 대한 정보의 예측과 정책대안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현재의 공간정보산업의 발전과 다양한 활용을 위해서는 공간정보의 발전모델과 평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정보에 대하여 시간에 따라 동적으로 이동하는 특성을 가진 시스템 다이나믹스 이론을 적용하여 평가모형을 개발하고 공간정보산업에 대하여 미래예측평가를 실시하였다.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의 공간감각활동을 위한 교구 개발 및 그 효과 (The development of materials for developing childrens' spatial sense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the analysis of its effects)

  • 이동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9권2호
    • /
    • pp.119-134
    • /
    • 2005
  • The goals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evelop the materials which help students develop spatial sense in elementary school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s. To accomplish those goals, the 7th National Curriculum was analyzed to identify the contents of spatial sense. After analyzing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e principle for developing the teaching aids focusing the realization of the contents in the spatial sense was set up. And then various teaching materials which can enhance students' spatial sense was developed. It is consist of 17 kinds of concretely operating materials, 7 kinds of tangram papers, one web-material. To verify the effect of the materials, surveyed the usability of the materials and two classes was selected and tests wer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Through this application, several conclusion were drawn. First, a survey result says that teachers thought materials developed would be effective in developing spatial sense. Second, the materials developed were effective to develop spatial sense. The score gained by the experiment group after the treatment was statistically meaningful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This means that the materials developed helped children to develop spatial sense.

  • PDF

노후주거지의 특성에 따른 '길'의 디자인 연구 (A Design Study of the 'Pathway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

  • 박수경;문정민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6권2호
    • /
    • pp.39-46
    • /
    • 2015
  • The 'pathways' in the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 is the valuable place which represents the history of the community. The 'pathways' is the physical boundary which connects individual environment of private residential area to public environment and which has value as a medium for the definite site for regeneration of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 Thus, the 'pathways' is considered as the perfect material for the public design for spatial culture to regenerate the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 However, the most of the public design projects utilize the 'pathways' fragmentarily, there are few systematic studies based on the attribute of the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consideration on the attributes of the 'pathways', the detection of the spatial characteristics to find application of the 'pathways', and the cultivation of the baseline data for further research for the spatial nature of the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 For this study, theoretical consideration is practiced in advance to analyze the meaning of the 'pathways' and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 the case research is performed using design elements as the analytic frame, and the approach is inferred for systematic public design based on the above result. The objects of case research were chosen among the latest projects implemented in the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 whose subject was 'pathways' and which showed successful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them were investigated and the details were examined through the homepages of the projects, the reports related to the projects, research material, and interview with the people involved. And to conclude, 'pathways' represents the composition of contents, the space of movement, the formation of community, the landscape design, and the participatory design in the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 The 'pathways' also finds the proper secondary cultural material for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can create the space for the various movements, stay, and communication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movements. The narrow and closed space should be utilized actively to be altered into beautiful space and the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 should be regenerated into coexistent design where people share their lives through sharing spaces.

화학 기계적 연마에서 패드표면 특성이 웨이퍼 불균일도에 미치는 영향 (Pad Surface Characteristics and their Effect on Within Wafer Non-Uniformity in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 정석훈;이현섭;정문기;신운기;이상직;박범영;김형재;정해도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9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8-58
    • /
    • 2009
  • Uniformity related issues in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are within wafer non-uniformity (WIWNU), wafer to wafer non-uniformity (WTWNU), planarity and dishing/erosion. Here, the WIWNU that originates from spatial distribution of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temperature, sliding distance, down force and material removal rate (MRR) during CMP, relies to spatial dependency. Among various sources of spatial irregularity, hardness and modulus of pad and surface roughness in sources for pad uniformity are great, especially. So, we investigated the spatial variation of pad surface characteristics using pad measuring system (PMS) and roughness measuring system. Reduced peak height ($R_{pk}$) of roughness parameter shows a strong correlation with the removal rate, and the distribution of relative sliding distance onwafer during polishing has an effect on the variation of $R_{pk}$ and WIWNU. Also, the results of pad wear profile thorough developed pad profiler well coincides with the kinematical simulation of conditioning, and it can contribute for the enhancement of WIWNU in CMP process.

  • PDF

직교이방성을 고려한 Barrel Vault형 지붕 막구조물의 비선형 구조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onlinear Structural Analysis of Barrel Vault-Typed Membrane Roof Structures Considering the Orthotropic Material)

  • 김승덕;정을석;백인성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91-98
    • /
    • 2005
  • 연성구조물의 일종인 막구조물은 대공간 구조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축할 수 있다. 연성구조물은, 축강성은 강하고 휨강성이 매우 작은 재료를 주 구조재로 사용하므로 초기강성에 매우 약한 구조체이다. 초기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초기응력의 도입이 필수적이고, 초기강성을 갖기 전에는 불안정현상을 나타내지만, 초기강성의 도입과 함께 안정상태가 된다. 초기 불안정 구조물에 초기강성을 도입함으로써 야기되는 대변형 현상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기하학적 비선형을 고려한 형상해석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비선형 해석프로그램인 NASS를 이용하여 해석을 수행한다. 해석모델은 Barrel Vault형 지붕 막구조물을 대상으로 하며, 직교이방성을 고려한 형상해석 및 응력-변형해석을 수행한 후 안정성을 검토한다.

  • PDF

GSIS를 이용한 교량 유지보수 이력관리 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Bridge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Using GSIS)

  • 유복모;주현승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33-141
    • /
    • 1999
  • 거대 토목구조물의 붕괴는 막대한 인명 및 재산의 피해를 초래하게 된다. 모든 구조물은 자체의 결함뿐만 아니라 자연의 힘이나 인간의 실수에 의해서도 파괴될 수 있기 때문에, 건설 중이나 건설 후에도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며 건설 후의 유지보수에도 많은 관심이 요구된다. 우리나라에서도 건설안전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여 토목구조물에 대한 유지관리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형공간정보체계(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 GSIS)를 이용하여 교량관리의 편이성 제공 및 유지보수 이력관리를 체계화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각종 도면과 부재에 대한 정보를 항목별로 분류하여 자료기반화 하였으며, 이들 자료에 대한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였다. 본 연구는 이들 관련자료의 기록유지, 보완, 첨가 등을 관계형 자료기반으로 구축하여 영상이나 도면, 이력정보관리화면 등을 통하여 기록된 자료에 손쉽게 접근하여 유지보수 이력관리에 효율성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 PDF

한옥 설계의 최근 경향 연구 - 최근 10년간 건축전문 잡지에 게재된 신축 한옥을 대상으로 - (The Recent Trends of Hanok Design -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Hanoks Appeared in Architecture Magazines in the Last 10 Years -)

  • 이주옥;한필원
    • 건축역사연구
    • /
    • 제21권1호
    • /
    • pp.171-186
    • /
    • 201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cent trends of hanok design based on 58 hanoks appeared in architecture magazines in the last 10 years. The cases are analyzed in terms of location, size, building form, spatial organization, material, roof form, and the ceiling form of living room. The consequence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Most of the recent hanoks are built in rural area (91.4%), which shows the hanok is not accepted as an urban house type. Hanoks tend to be built in 2 stories whose 2nd floor is smaller than the 1st floor. (34.5%) The preferred size is total floor area of $99.2{\sim}165.2m^2$ (62.0%), 3 rooms (46.6%) with a traditional ondol room (60.3%). The buildings with ㄱ-shape (43.1%) and linear-shape (27.6%) are preferred, and the compact plan type similar with apartment house appears (13.8%). In the roof design that greatly influences the appearance of building, the traditional design factors such as half-hipped roof (55.2%), double eaves (27.6%), and eaves curve tend to be sustained. In terms of spatial organization, most of recent hanoks have double-layed plan (74.2%). The living room mostly has separately defined space. (82.8%) The indoor and outdoor tend to be connected by a narrow wooden veranda (39.7%), while some cases don't have any wooden floor space (48.3%). The entrance is adopted as an important spatial element in front part of building (75.9%), and it influences the appearance of building. The living room, the counterpart of the wooden floor hall in traditional hanok, and kitchen tend to be interiorized. In terms of material, the cement roof tile and red clay brick are preferred. Consequently, the walls of recent hanoks have the image of brick structure rather than the wooden frame structure of traditonal han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