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Information

검색결과 10,675건 처리시간 0.044초

BIM 적용을 위한 공간정보의 정확도 기반 활용성 평가 (Accuracy-based Evaluation of the Utilization of Spatial Information for BIM Application)

  • 김두표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6권4_2호
    • /
    • pp.669-678
    • /
    • 2023
  • Recently, spatial information has been applied to various fields and its usability is increasing day by day. In particular, in the field of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BIM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is being applied to all construction industries and related research has been conducted. BIM is a technology that utilizes spatial information from the design phase and aids in the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buildings, including the management of their attributes. However, to apply BIM technology to existing buildings, it takes a lot of time and money to produce models based on design drawings along with current surveying. In this study,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acquired data and the applicability of BIM by generating data and analyzing the accuracy using UAV images and ground lidar, which are representative spatial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s. Quantitative analysis revealed that TLS (Terrestrial Laser Scanner) showed reliable accuracy in both planar and elevation measurements, whereas unmanned aerial images exhibited lower accuracy in elevation measurements, resulting in reduced reliability. Qualitative analysis indicated that neither TLS nor unmanned aerial images alone provided perfect completeness. However, the combination of both spatial information sources, tailored to specific needs, resulted in the most comprehensive completeness.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he appropriate utilization of spatial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unmanned aerial images and TLS holds the potential for application in the fields of BIM and reverse engineering.

A Review of Ecological and Natural Map Grades and Public Appeals in Korea

  • Wooseok Oh;Jangsam Cho;Kihyun Park;Hyosun Leem;Eui-Jeong Ko;Changhoon You;Jeong-Cheol Kim;Hye-Yeon Yoon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 /
    • 제4권4호
    • /
    • pp.141-145
    • /
    • 2023
  • This study surveyed the changes in the proportion of Ecological and Natural Map (ENM) grades in Korea, the distribution ratio of ENM 1st-grade areas by region, and the current status of regional public appeals for the five-year period from 2017 to 2021. The nationwide changes in ENM grades revealed an increase in 1st-grade, 3rd-grade, and separately managed areas but a decrease in the ratio of 2nd-grade areas. Nationwide, Gangwon had the highest distribution ratio of 1st-grade areas, at 46.77%, while Gwangju had the lowest, at 0.05%. In the five-year study period, 383 appeals concerning ENM grades were received and processed. Gangwon had the greatest number of appeals, with 96, while Sejong had the fewest, with 1.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distribution ratio of 1st-grade areas and public appeals.

EJB 기반 Directory Web Service (Directory Web Service based on EJB)

  • 김재철;허태욱;김성수;김광수;박종현;이종훈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중)
    • /
    • pp.781-784
    • /
    • 2003
  • 본 논문은 Directory Service(white page, yellow page, green page)를 분산환경에 적합하고 시스템 유연성을 고려하기 위해서 EJB(Enterprise Java Bean)기반 Webservice로 구현한 방법론 및 그 시스템에 관한 논문이다. 기존 개발된 Directory Service가 대부분 폐쇄적 네트워크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시스템 자체에 유연성이 없는 정적인 시스템으로 구현이 되어있고, 플랫폼에 의존하는 아키텍쳐로 설계 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서비스 비개방 특성을 극복하기 위해서 개발 아키텍쳐를 웹서비스(Web Service)환경을 기본으로 하고 분산컴퓨팅환경(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의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서 EJB로 개발이 되었다.

  • PDF

GML 문서의 유효성 및 독립성을 고려한 지리공간 데이터 가시화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Geospatial Data Visualization System Considering Validation and Independency of GML Documents)

  • 정동원;김장원;안시훈;정영식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05-218
    • /
    • 2008
  • This paper proposes a geospatial data visualization system supporting validation of GML documents. GIS systems manage and use both of spatial and non-spatial data. Currently, most GIS systems represent spatial data in GML (Geography Markup Language) developed by OGC. GML is a language for representation and sharing of spatial information, and until now many systems have been developed in GML. GML does not support expression of non-spatial data, i.e., relational information of spatial objects, and thus most systems extend GML to describe non-spatial information. However, it causes an issue that the systems only accepting standard GML documents cannot process the extended documen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GIS data visualization system to resolve the aforementioned Issue. Our proposed system allows the representation of both types of data supporting independency of spatial data and non-spatial data. It enhances interoperability with other relevant systems. Therefore, we can develop a rich and high Quality geospatial information services.

풍수해 피해 추정을 위한 공간정보 DB의 활용방안 및 품질 점검 기준 제안 (Proposal for application of spatial data and quality check criteria for estimating damage from storm and flood)

  • 원석환;김현덕;김상민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0권2호
    • /
    • pp.81-100
    • /
    • 2020
  • 본 연구는 풍수해로부터 발생 가능한 피해를 추정하기 위한 공간정보 DB 활용 방안과 공간정보의 품질 점검 기준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국가재난관리정보시스템, 국가공간정보통합체계 공개자료 목록을 대상으로 공간정보 DB 중 풍수해 피해 추정을 위해 활용될 수 있는 데이터를 피해유형별로 매핑하였으며, 해당 데이터를 활용하여 피해 분석을 위한 품질 점검 기준 항목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풍수해 피해 추정을 위한 공간정보 DB 활용이 가능할 것이며, 품질 점검 기준을 통해 분석 결과의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을 것이다.

2차원 소방대상 시설물도면의 3차원 공간정보 구축방안 (Establishment Strategy of 3D Spatial Information from 2D Facility Drawing Related to Fire Fighting)

  • 이윤;김인현;최윤수;오규식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8권5호
    • /
    • pp.47-54
    • /
    • 2010
  • 기존의 소방대상시설물 도면은 이미지도면이나 CAD도면 형태의 2차원 도면형태로 존재하고 있다. 구축되어 있는 데이터의 형태도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소방방재업무에서 필요로 하는 신속 정확한 대응체계를 위해서는 기존의 2차원 도면형태로 구축된 도면을 3차원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방방재 대상이 되는 2차원 건축도면을 3차원 공간정보로 손쉽게 구축하기 위하여 건축도면에 대한 분석과 3차원 공간정보 데이터모델을 설계하고 이를 3차원 공간정보로 변환할 수 있는 툴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소방대상 2차원 도면의 3차원 변환방법을 통하여 다량의 2차원 도면을 3차원 공간정보로 쉽게 변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방방재 업무의 활용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초연결 시대 공간정보 패러다임 변화와 대응전략 (Paradigm Shift and Response Strategies for Spatial Information in a Hyper-connected Society)

  • 사공호상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81-90
    • /
    • 2018
  • 사람과 사물, 장소 등 공간상의 모든 객체가 네트워크로 서로 연결되어 정보를 공유하는 '초연결 시대'가 점차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이와 같은 정보통신 환경의 변화에 따라 공간정보도 중요한 도전에 직면해 있다. 정부는 자율주행자동차, 드론, 3차원 공간정보 등 '초연결'로 인한 공간정보의 사회적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대응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초연결 시대가 필요로 하는 공간정보의 수요에 효과적이고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인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중장기 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초연결 시대'라는 커다란 패러다임의 변화에 직면한 공간정보의 미래 수요변화와 활용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미래 사회의 공간정보 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전략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에이전트 기반의 해양공간정보시스템 모델링 연구 (A Study on Spatial Modeling Framework for Marine GIS)

  • 박종민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8권10호
    • /
    • pp.917-923
    • /
    • 2004
  • 공간정도의 생산과 수요가 본격화되고 있으나 공간정보의 본질과 응용특성을 고려한 공간정보모델링체계에 대해서는 특성화된 연구가 충분히 수행되고 있지 않다. 특히, 기존의 모델링기법들은 대부분 정보의 표현과 분석기능을 대상으로 개발되었으므로 보다 고차원적인 의사결정지원과 자율적인 업무수행을 위한 이론적 모델의 개발에 대한 논의가 최근의 지식정보화환경에서 더욱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정보시스템을 모델링하기 위한 여러 기반개념들과 모델링 유형에 대한 고찰을 통해, 기존 모델링 방법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공간적 업무수행을 위한 요구사항을 도출한다. 또한, 도출된 공간정보모델링의 요구사항에 적합한 이론적인 접근방안으로서 에이전트 기반의 공간모델링 프레임워크를 제안하며, 이러한 프레임워크를 해양지리정보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고려사항도 함께 제시한다.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공간정보 활용에 따른 고객의 지각된 위험, 서비스 품질과 고객만족의 구조적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Causal Relationship of Perceived Risks,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Ubiquitous Environment by Using Spatial Information)

  • 김용범;정남호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45-154
    • /
    • 2008
  • Th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comprise spatial information and mobile technology allow users to receive various services based on Global Positioning Systems (GPS). Although, spatial information based services are very useful, it has lots of possibility to damage privacy protection. But the contents of the legislation by government have problems conflicted between protection of a person's location information and invigoration LBS. Therefore, in this study suggest a causal model to deal with user satisfaction and factors affecting spatial information based services to customer perspective. The proposed research model is tested empirically with one hundred and forty one usable questionnaires and partial least square (PLS) method.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usefulness, playfulness, and service quality play a prominent role in influencing the spatial information services satisfaction compared to other factors. But, easy of use and perceived risk are not significant.

BIM기반 건축문화재 공간정보 구성방식의 보완 가능성 -숭례문 복구공정 3차원 정보구축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reconfigurations of architectural cultural assets spatial Information by BIM -The case of spatial configurations of Sungnyemun recovery process-)

  • 최현상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4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94-295
    • /
    • 2014
  • Recently, it is becoming necessary for architectural heritage to make spatial information structure by using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However, current BIM system can not be used because its information classification and structure is not suitable for architectural heritage. This is a basic study which focuses on upgrading spatial information structure of BIM so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use BIM in management of preservation of architectural heritage, too. This study analyzes Sungnyemun case and its spatial information struc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