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Information

검색결과 10,675건 처리시간 0.042초

지자체 3차원 공간정보시스템의 현황 및 활성화 방향에 관한 연구 (Current Status of the 3-D Spatial Information Systems for Local Government and Their Revitalization Plan)

  • 윤정미;김태우;서용철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2-32
    • /
    • 2011
  • 3차원 공간정보시스템은 도시공간의 표현, 분석, 시뮬레이션을 통해 2차원 공간정보시스템에 비해 효율적인 관리를 도모하는 시각적 우수성을 가진다. 지금까지 구축된 3차원 공간정보시스템은 중앙정부 주도하에 개발되어 지역적 특색이 고려되지 않은 단순 보여주기 식의 시뮬레이션에 편중되어 있었다. 3차원 공간정보시스템의 역할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구축되어 있는 각 지자체의 공간정보시스템의 현황을 재차 파악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가 도모해야 하는 중앙정부의 국가공간정보화 정책의 방향을 탐구하고, 지자체의 3차원 공간정보시스템의 현황을 파악한다. 3차원 공간정보에 대한 잠재적 수요를 가지는 업무를 중심으로 단위 지자체별 3차원 공간정보시스템의 업무분야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또한 충청남도 3차원 공간정보시스템의 수요조사를 바탕으로 3차원 공간정보의 현실적 지자체 업무활용이 가능한 부분을 검토함으로써 지자체 3차원 공간정보시스템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다단계 보안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공간 다중인스턴스화 (Polyinstantiation for spatial data for multilevel secure spatial database)

  • 오영환;이재동;임기욱;배해영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43-54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다단계 공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비빌 위상 경로(covert topology channel)를 해결할 목적으로 공간 다중인스턴스화(polyinstantiation fur spatial data)에 대해 연구한다. 위상 구조를 갖는 공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공간 데이터와 서로 인접한 공간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공간 분석을 수행하여야 한다. 그러나, 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 공간 데이터간의 위상 정보를 지원하는 경우 위상관계 의한 정보의 노출(information flow)이 문제가 된다. 즉,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지리정보시스템의 경우 대부분의 응용업무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기밀이 요구되어지는 공간 데이터베이스의 경우, 출력되어진 객체들의 위치 정보나 인접한 객체와의 위상관계를 통해서 많은 정보가 노출되어질 위험이 있으므로 엄격한 사용자의 접근제어가 요구되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 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MLS/SRDM(Multi Level Security/Spatial Relational Data Model)켤 설계하고 공간 데이터의 위 상관계로 인해 생기는 정보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공간 다중인스턴스화를 제안한다

TOWARDS A SPATIAL FRAMEWORK FOR SUPPORTING BUILDING CONSTRUCTION INSPECTION

  • Saud Aboshiqah;Bert Veenendaal;Robert Corner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558-565
    • /
    • 2013
  • The process and efficiency of monitoring building and construction violations is a concern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 detection of violations requires appropriate and sufficiently accurate spatial information to manage and support a comprehensive inspection process and monitor compliance. A building inspection workflow must extract appropriate spatial and measurement in-formation from a variety of sources, identify potential violations across a range of compliance criteria and determine the quality of resulting inspection reports. This paper presents a framework for supporting building inspections using spatial information and methods to detect construction violations and compliance. Current inspection processes involve issues around the identification of building violations, access to building regulations and existing spatial information, integration of a range of spatial and non-spatial information, and the quality of decisions within the inspection workflows. A survey of building inspectors was conducted and used together with the issues identified to establish the requirements for a spatial inspection framework. The results demonstrate how such a framework can support improved decision-making and reduced fieldwork effort in detecting and measuring the accuracy of building violations involving building placements, street offsets and footprint areas.

  • PDF

Next Generation Pseudolite Positioning Technology

  • Barnes Joel;Rizos Chris;Kanli Mustafa;Small D;Voigt G;Gambale N;Lamance J;Nunan T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5년도 Proceedings of Aisa-Pacific International Seminar on Geomatics
    • /
    • pp.150-162
    • /
    • 2005
  • PDF

Design of 4S Web Services Model for the Infrastructures of National Spatial Clearinghouse of Spatial Data and Services

  • Kim, M.S.;Oh, B.W.;Kim, M.J.;Jang, B.T.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834-836
    • /
    • 2003
  • Recently, web services concept is rapidly rising as new solution to solve the integration problem among heterogeneous application systems . This web servic es concept is adaptable in the field of 4S application systems integration that handles the spatial information of GIS, SIIS, GNSS and ITS. So, this paper suggests a new 4S web services model for the infrastructures of nationwide spatial clearinghouse, which is mainly based on the OGC and W3C web services specifications. Conclusively, this proposed model that could serve various spatial data and services has some advantages of being flexibly and powerfully capable of integrating the 4S application systems owing to adapting the international standard specifications of OGC and W3C.

  • PDF

공간정보의 체계적 발전을 위한 법제도적 정합성에 관한 연구 (The Research on Coherence of Legal System for Systematic Development of Spatial Information)

  • 김현희;임형택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5권1호
    • /
    • pp.1-15
    • /
    • 2015
  • 우리나라의 공간정보정책은 "국가공간정보에 관한 법률", "측량 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 "공간정보산업 진흥법" 등을 근거로 제도화 되었으며, 이들은 2015년 6월 새로운 이름과 내용으로 시행된다. 공간정보의 개념이 보편화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공간정보법이 타법과의 관계에서 체계적으로 정합을 이루며 발전하기 위하여 갖추어야 할 사항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대표적으로 공간정보 개념의 유형화, 공간정보 관련법제의 체계화, 공간정보 추진체계의 전문화에 대하여 현행 법률을 검토하고 일부 보완이 필요한 점에 대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개선방안의 근거로는 공간정보에 관하여 우리보다 일찍 발전을 이룬 독일, 프랑스, 미국의 입법례와 정책사례를 참고하였다.

UIL:A Novel Indexing Method for Spatial Objects and Moving Objects

  • Huang, Xuguang;Baek, Sung-Ha;Lee, Dong-Wook;Chung, Weon-Il;Bae, Hae-Young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9-26
    • /
    • 2009
  • Ubiquitous service based on Spatio-temporal dataspaces requires not only the moving objects data but also the spatial objects. However, existing methods can not handle the moving objects and spatial objects together.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existing methods, we propose a new index structure called UIL (Union Indexing Lists) which contains two parts: MOL (Moving Object List) and SOL (Spatial Object List) to index the moving objects and spatial objects together. In addition, it can suppose the flexible queries on these data. We present the results of a series of tests which indicate that the structure perform well.

  • PDF

GeoVideo: A First Step to MediaGIS

  • Kim, Kyong-Ho;Kim, Sung-Soo;Lee, Sung-Ho;Kim, Kyoung-Ok;Lee, Jong-Hu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827-831
    • /
    • 2002
  • MediaGIS is a concept of tightly integrated multimedia with spatial information. VideoGIS is an example of MediaGIS focused on the interaction or interaction of video and spatial information. Our suggested GeoVideo, a new concept of VideoGIS has its key feature in interactiveness. In GeoVideo, the geographic tasks such as browsing, searching, querying, spatial analysis can be performed based on video itself. GeoVideo can have the meaning of paradigm shift from artificial, static, abstracted and graphical paradigm to natural, dynamic, real, and image-based paradigm. We discuss about the integration of video and geography and also suggest the GeoVideo system design. Several considerations on expanding the functionalities of GeoVideo are explained for the future works.

  • PDF

영상정보와 지적정보에의 융복합에 의한 영상응용지적도 개발 (Image-Based Cadastral Mapping with Fusion of Cadastre and Image Information)

  • 이인수;장정화;서용철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5-54
    • /
    • 2012
  • 현재 국내에서 공간정보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공간정보산업진흥원 개원", "공간정보관련 법률의 개정 및 제정", 그리고 관련 제도의 개선 등 다양한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런 시점에 지적정보(벡터)의 장점과 영상정보(래스터)의 장점을 서로 효율적으로 결합한 영상응용지적도의 개발은 공간정보시장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 넣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는 지적정보와 영상정보의 융복합을 통한 영상응용지적도(가칭)의 개발과 그 활용방안 등을 다루고 있다.